머리말
-저희는 유아기의 창의성과 감성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술교육을 즐겁게 탐구하고자 하는 예비교사, 현직교사 그리고 저희 자신과 각 대학의 교수자들을 위해이 책을 저술하게 되었습니다.
-영유아기는 자신의 상상력과 표현력을 최대로 발휘할 수 있는 시기입니다. 영유아는 미술을 통해 언어처럼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고 주변 세계를 탐구하며,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미술교육은 단순히 그림을 그리는 기술을 가르치는 이상의 의미가 있습니다. 영유아가 색채의 매력을 경험하고, 재료와 도구를 다루며, 자신의 작품을 통해 자존감을 형성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는 과정을 통해 아이들의 인지적·정서적·신체적 발달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미술이 영유아들에게 이러한 힘을 기를 수 있도록 어떻게 교사가 지원할 수 있을지, 어떻게 놀이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을 담아 아래의 순서로 『영유아미술교육』의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
-이 책의 1장은 영유아미술교육의 개념과 목적을 설명하면서 그 중요성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더불어 미술교육 이론의 흐름에 대해 간략한 설명으로 교사들의 이해를 돕습니다. 2장의 영유아 미술능력의 발달에서는 영유아의 미술에 대한 발달 이론과 평면, 입체, 감상능력의 발달 단계를 설명하며 영유아 미술표현의 특징을 다양한 예시 그림을 통하여 제시하고 있습니다. 3장의 영유아미술교육과 교육과정에서는 표준보육과정, 개정 누리과정과 더불어 초등 저학년의 미술교육까지 이음교육의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4장에서는 영유아미술교육을 위한 미술이론의 기초로서 미술의 요소와 미술의 원리, 미술표현의 기초에 대한 설명으로 미술 형식과 표현에 대한 이해를 지원하고 있습니다. 5장은 영유아미술교육을 위한 미술사 이해 부분으로,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이어지는 사람들의 삶의 모습으로서의 미술사 흐름을 한국미술과 서양미술의 미술사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습니다. 6장은 영유아미술교육을 위한 환경구성으로서 영유아의 일상적인 삶의 공간에서 미적 체험을 가능하게 하는 미술환경 구성과 전시 및 다양한 미술재료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7장은 영유아미술교육에서 놀이와 교사의 계획된 활동, 온라인 활동, STEAM으로 만나는 미술 접근방법을 사례를 통해 설명하였습니다. 8장은 영유아미술교육의 평가로 유아 발달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어떤 어려움이 있으며 어떻게 지원하는 것이 효과적인지 살펴볼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9장과 10장, 11장은 이 책의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을 나타내는 실제 부분입니다. 탐색활동, 표현활동, 감상활동을 영아 그리고 유아와 어떻게 계획하고 실행해 나갈 수 있으며 이를 위한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지, 표준보육과정 및 누리과정과 연계하여 실제 영유아들과 어떻게 활동할 수 있을지에 대한 예시와 활동의 다양한 Tip이 제시되어 있습니다. 더불어 이 세 장은 서로 연계되어 탐색활동과 표현활동과 감상활동을 할 수 있는 내용들이 매 장의 앞부분에 제시되고 있어 통합적 미술 활동 수행이 가능하도록 지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