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을 그린다는 것은,
상처 입은 영혼들을 달래주는 예술이 아닐까?” ―반 고흐
● 반 고흐 편지 75통, 그림 170점 수록!
문학과 예술, 철학과 역사를 아우르는 인문교양 고전을 엄선해서 번역하는 ‘인문학클래식’이 전 세계 가장 많은 사랑을 받는 화가 반 고흐의 서간집 『위로하는 예술가: 반 고흐의 편지와 그림』을 소개한다. 반 고흐가 쓴 편지는 844통이 전해지는데 이번에는 아를(1888년 2월~1889년 5월), 생레미앙프로방스(1889년 5월~1890년 5월), 오베르쉬르우아즈(1890년 5월~7월) 시절 중에서 특히 그의 예술과 삶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편지 75통을 골라 발췌 번역했다.
화폭에 자국을 남기는 붓질이라는 게 얼마나 신기한 일인지! 밖에 나가서 바람과 태양과 사람들의 호기심에 몸을 맡긴 채 최선을 다하고, 내가 그리고 싶은 대로 캔버스를 채우고, 그러면서 진실한 것과 본질적인 것을 낚아채는 거지. 그게 바로 가장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시간이 흐른 뒤 다시 그림 앞에 서서 그림의 대상을 놓지 않으면서 붓질을 하면, 그림은 분명 더 조화를 이루고 보기에도 좋아진다. 그러고 나면 마음속에 담고 있는 차분함과 미소를 덧붙이면 된다.
―빈센트 반 고흐, 『위로하는 예술가: 반 고흐의 편지와 그림』에서
고흐는 1881년에 헤이그에 정착하여 본격적으로 그림을 그리기 시작하여 「감자 먹는 사람들」(1885년)을 완성했는데, 건강과 생활고 문제로 1888년에 따듯한 프로방스 지방 아를로 내려가 「별이 빛나는 밤」(1889년) 등을 그렸다. 이때 고흐도 인상주의 화가들과 함께 파리 앵데팡당전에 참가했다. 『위로하는 예술가: 반 고흐의 편지와 그림』은 고흐가 화가로서 한층 성숙해진 아를 시절에 시작하여 고갱과의 불화로 자신의 귓불을 잘라낸 사건으로 인해 생레미 요양원을 거쳐 오베르쉬르우아즈에서 생을 마감하기 전까지 「까마귀가 나는 밀밭」(1890년) 같은 걸작들을 쏟아내기까지 시기의 편지를 담았다. 그래서 이 책에 수록된 고흐 그림만 170점인데 초기작보다는 주로 1888년 이후의 작품들이 대부분이다. 그 외에 추가로 고흐가 언급한 존경하는 선배 화가들이나 관련 있는 동료 화가들의 그림들도 다수 수록돼 있다.
● 화가로서 고흐의 예술철학을 읽어주는 귀한 자료!
화가의 예술철학은 그의 삶에서 태어나기 때문에 고흐의 편지는 그의 작품을 이해하는 데 소중한 자료다. 『위로하는 예술가: 반 고흐의 편지와 그림』은 “전보다 내가 화가라는 느낌은 더 커졌다.”며 화가로서의 뚜렷한 정체성을 갖기 시작한 1888년 이후의 편지들이기 때문에 특히 예술가로서 고흐를 이해할 수 있는 생각들이 많이 담겨 있다.
이제 나에게 그림은 사냥에 미친 사람들이 기분 전환을 위해 하는 토끼 사냥이 되고 있다. 집중력은 더 강해지고, 손놀림은 더 확실해졌지. 그렇기에 내 그림이 더 좋아질 거라고 너에게 장담할 수 있는 거다. 나에겐 그림밖에 없으니까.
―빈센트 반 고흐, 『위로하는 예술가: 반 고흐의 편지와 그림』에서
무엇을 재현할 것인가는 예술가에게 중요한 과제다. 특히 19세기에 발명된 사진은 예술가들로 하여금 이 과제를 더욱 철저하게 탐구하게 만들었다. 고흐에게 진정한 그림은 인간의 본질을 표현하는 것이다. 그것은 화가로서 기교가 뛰어나거나 교육을 많이 받아야 가능한 게 아니다. 고흐는 그러한 예술의 목적에 목숨 걸고 뛰어들었기 때문에 그의 그림들이 한 세기가 지난 지금까지 우리를 감동시키는 것이다.
그러니까 난 한 세기가 지난 뒤에도 사람들에게 마치 다시 나타난 듯한 느낌을 주는 초상화를 그리고 싶다. 그러니까 사진처럼 닮은 모습을 그리는 게 아니라, 색채에 대한 우리의 지식과 현대적 취향을 인물의 성격을 드러내는 수단으로 삼아서 우리의 열정을 표현한 초상화를 그리고 싶다.
―빈센트 반 고흐, 『위로하는 예술가: 반 고흐의 편지와 그림』에서
또한 예술사적인 측면에서 블레이크, 코로, 드가, 들라크루아, 제리코, 밀레, 모네, 렘브란트, 르누아르, 로트레크, 그리고 일본 판화에 이르기까지 당대의 화가들과 작품에 대한 단상들이나 평들은 미술에 대한 그의 관점을 드러내는 동시에 투박하지만 솔직한 비평가로서의 면모를 보여준다. 또한 플로베르, 졸라, 모파상, 도데 등 프랑스 작가는 물론 셰익스피어, 톨스토이와 도스토옙스키에 이르기까지 그가 편지에서 수시로 인용하고 있는 작가들은 독서광의 모습도 보여준다.
● “더 큰 위안을 주는 그림을 그리기 위해!”
고흐는 그림과 예술가의 역할에 대해 명확히 말하는데, 그것은 무엇보다도 우리를 ‘위로’하는 것이다. 그 자신이 처절한 삶을 살았고, 고흐의 삶은 이 땅을 살아가는 모든 인생에게 해당되는 경험일 것이다. 누구나 고흐처럼 인정받지 못하는 점이 있고 누구나 고흐처럼 정신적인 격변을 겪기도 하며, 우리 모두 고흐처럼 위로가 필요한 사람들이다. 고흐는 자신의 그림들에 대하여 “장담컨대, 그 그림들에서 위안을 받는다는 느낌이 들 거다.”라고 확신한다. 『위로하는 예술가: 반 고흐의 편지와 그림』는 예술가로서 고흐에게 진정한 목표가 무엇인지 잘 보여준다.
승리를 얻지는 못하겠지만 그렇다고 패배하지도 않을 거다. 우리는 이 일이나 저 일을 하기 위해 이 자리에 있는 게 아니라, 위안을 주기 위해 혹은 더 큰 위안을 주는 그림을 준비하기 위해 여기 있는 것이니 말이다.
―빈센트 반 고흐, 『위로하는 예술가: 반 고흐의 편지와 그림』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