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손이 아니어도 모두가 멋진 작품을 만드는
행복한 디지털 미술수업 만들기
이 책의 저자들은 미술 기능 숙달도 때문에 그림 그리기에 자신이 없고 자신의 작품에 매번 아쉬움을 느껴야 했던 학생들을 위해 이 책을 집필하기 시작했습니다. 연필과 붓을 쓰는 기존 미술 수업에서와 달리 디지털 도구를 사용했을 때 많은 학생이 창작의 큰 즐거움을 처음 경험하게 되더라는 데 저자들은 착안하였습니다.
디지털 역량은 덤!
풍성한 미적 경험을 제공해 줄 특별한 디지털 미술활동들
디지털 도구를 이용하더라도 중심이 미술교육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춰 저자들은 이 책의 모든 활동을 만들었습니다. 저자들은 이 책에서 (1) 2022 개정 교육과정 기준 미술교육의 3영역 체험-표현-감상 영역을 모두 아울렀고, (2) 디자인, 디지털 드로잉, 애니메이션 등 요즘 미술활동 인기 트렌드를 빠짐없이 포괄하고자 했습니다. 이를 위해 (3) 기본 프로그램 9개를 엄선하여 프로그램별 작업화면 아이콘들이 한눈에 파악되도록 해주는 친절한 해설 가이드를 제공하였고, (4) 국어, 사회, 과학 등 여타 교과와의 융합교육이 가능한 (4) 개인 창작활동으로서 의미 있는 미술활동 13개를 상세히 안내했습니다.
특히 미술활동들은 일상생활과 최대한 밀착된 것을 선별 개발하여 창작활동의 학습효과와 만족감이 최대화되고 깊이 있는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습니다. 스마트폰 배경화면 만들기, 굿즈 제작하기, 로고 만들기, 캐릭터 제작하기, 포스터 만들기, 도트 애니메이션 창작하기, 온라인 전시회 열기 등의 활동을 선별 제시하고, 이 활동들의 초점이 기기 활용이 아니라 미술적 능력 신정에 맞춰지도록 모든 활동을 특별하게 다듬었습니다. 기본 프로그램으로는 캔바, 미리캔버스, 메디방페인트, 프로크리에이트, 피스켈, 패들렛, ZEP 등을 선정해 사용법과 사용 예를 수록하였습니다.
부록에는 ‘미술 감상 수업 개론’을 수록하여 감상활동의 모형과 활동 예, 잘못된 감상 수업의 예를 제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작품 공유가 특히 용이한 디지털 미술활동이 후속 활동 또한 보다 교육적으로 바람직하게 진행되고, 이로써 학습자들이 미적 향유만큼은 평생에 걸쳐 지속할 수 있도록 도왔습니다.
행복한 미술 창작활동의 힘
교실에서의 만족스러운 창작 경험은 파급력이 큽니다. 다양한 감정이나 생각 표현을 보다 적극적으로 하게 하고, 에너지를 건강하게 발산하게 하며, 콘텐츠 소비자에서 창작자로 자신의 정체성과 진로를 도모하게 합니다. 또한 공유의 편리성으로 인한 감상 경험 확대는 개인 특유의 미적 감수성을 다듬고 발전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하여 일생을 풍요롭고 아름답게 만들어 줍니다. 바로 이것이 모두가 성공하는 디지털 미술 활동의 아름다운 교육적 가치이자 필요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