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5년 국내·외 스마트시티 핵심 분야별 기술개발 동향 및 사업화 전략

2025년 국내·외 스마트시티 핵심 분야별 기술개발 동향 및 사업화 전략

  • 데이코산업연구소
  • |
  • 데이코인텔리전스
  • |
  • 2024-12-24 출간
  • |
  • 596페이지
  • |
  • 210 X 297mm
  • |
  • ISBN 9791190816670
판매가

480,000원

즉시할인가

432,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2,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산업조사 전문 기관인 데이코산업연구소가 ‘2025년 국내·외 스마트시티 핵심 분야별 기술개발 동향 및 사업화 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

유엔무역개발기구(UNCTAD)에 따르면 2050년 전 세계 인구는 97.1억 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되며, 이 가운데 도시에 사는 인구는 66.1억 명으로 도시화율은 약 68%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본래 도시는 산재해 있는 인력과 자원을 한 지역에 집중시켜 효율적인 성장을 일궈내고 이들 간의 화학작용을 통해 사회·경제의 혁신을 일으키는 지역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집중을 넘어 과밀의 단계에 이른 오늘날의 도시는 기후변화와 재난 등의 위기를 초래하고 있다.

실제 도시지역은 지구 전체 면적의 약 3%에 불과하지만,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75%,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50~60%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처럼 도시의 급속한 팽창에 따라 야기되는 여러 사회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글로벌 주요국들은 도시라는 물리적 공간의 디지털전환(DX)을 통한 ‘스마트시티’의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 도시란 그 자체로 하나의 거대한 생태계로 일시에 커다란 변화를 일으키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국내·외 주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는 단계적인 로드맵을 갖춘 이니셔티브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선진국의 사례로는 미국의 ‘smarter together initiative’나 독일의 ‘Modellprojekte Smart Cities’를 꼽을 수 있다. 또한 부산과 세종의 ‘국가시범도시’ 역시 국내의 앞선 스마트시티 경쟁력을 보여주며, 2024년 개정된 ‘제4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은 지자체별로 수백 개의 시범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이러한 스마트시티는 도시문제에 대한 대안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거대한 시장을 형성하고 있다. Fortune Business Insights는 2023년 글로벌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를 약 6,239억 달러로 추산했으며, 2032년까지 연평균 25.2% 성장해 4조 6,476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우리는 기존의 스마트시티 사업 성과와 앞선 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해외 스마트시티 개발사업 진출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민·관의 노력이 경주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당사는 스마트시티 기술 및 시장 동향과 주요 솔루션 분야별 산업 동향 및 글로벌 주요국 동향 등을 종합적으로 정리 분석하여 본서를 출간하게 되었으며, 특히 국내외 스마트시티 시장과 주요국 정책 동향, 핵심 기술개발 동향 등을 통하여 시장의 변화를 예측하고, 경쟁전략 수립에 유용한 참고자료가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데이코산업연구소는 모쪼록 해당 보고서가 스마트시티 산업뿐만 아니라 관련 산업에 종사하는 분들의 업무에 미력하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목차

[목차]
Ⅰ. 글로벌 스마트시티 산업 현황 및 기반기술 동향

1. 스마트시티 산업 현황과 도시공간 발전 전망
1-1. 스마트시티 개요 및 산업 현황
1) 스마트시티 개념과 부상
(1) 스마트시티 정의와 구성요소
(2) 스마트시티 부상 배경
(3) 스마트시티 발전 방향
2) 글로벌 도시화 전망 및 스마트시티 개발사업 진출전략
(1) 글로벌 도시화 전망
(2) 해외 도시개발사업 협력 방안
1-2. 도시공간 패러다임 변화와 발전 전망
1) 지역혁신공간의 부상과 정책 현황
(1) 지역혁신의 개념 및 유형
(2) 지역혁신공간의 개념과 발전
(3) 국내 지역혁신공간 주요 정책사례 특징
2) 스마트시티와 주민참여 플랫폼
(1) 도시의 발전과 플랫폼의 부상
(2) 국내 주민참여 플랫폼 현황
3) 글로벌 콤팩트시티 동향과 한국형 콤팩트시티
(1) 콤팩트시티의 개념과 의미
(2) 콤팩트시티의 분류별 주요 사례
(3) 한국형 콤팩트시티의 필요성
4)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도시공간정책
(1) 탄소중립(Carbon Neutrality) 동향과 정책 과제
(2) 국내 도시공간정책의 탄소중립 추진 현황과 과제

2. 메타버스 및 디지털트윈 기술과 스마트시티
2-1. 메타버스 및 디지털트윈 산업 동향
1) 메타버스 개념 및 산업 개요
(1) 메타버스 및 메타버스 산업 정의
(2) 산업 메타버스 개념과 활용
2) 메타버스 및 디지털트윈 분야 기술 동향
(1) 메타버스와 공간컴퓨팅
(2) 생성형 AI를 통한 메타버스의 발전
(3) 디지털트윈 기술개발 및 특허 동향
(4) 디지털트윈 기술 표준화 동향
3) 국내·외 메타버스 분야 정책 동향
(1) 미국
(2) 유럽
(3) 중국
(4) 영국
(5) 일본
(6) 국내
2-2. 스마트시티 분야 메타버스 및 디지털트윈 도입 현황
1) 스마트시티 분야 메타버스 활용 방안
(1) 메타버스 기반 참여형 도시계획
(2) 메타버스 기반 교통영향평가 지원체계
(3) 유휴부동산 개발 및 이용 활성화
(4) 메타버스 기반 관광·문화 분야의 새로운 가치 창출
2) 지제체 메타버스 구축 사례
(1) 서울시
(2) 인천시
(3) 전주시
(4) 경기도
3) 디지털 트윈 국토 개요 및 발전 동향
(1) 디지털 트윈 국토 개념과 필요성
(2) 디지털 트윈과 스마트시티 고도화
(3) 국내·외 디지털 트윈국토 추진 동향

Ⅱ. 스마트시티 핵심 솔루션별 기술 및 시장 동향

1. 모빌리티 서비스 기술 및 시장 동향
1-1. 모빌리티 빅데이터 기반 서비스 동향
1) 모빌리티 빅데이터 구축과 활용
(1) 위치정보 기반 모빌리티 빅데이터의 유형과 구축
(2) 모빌리티 빅데이터의 활용사례
(3) 모빌리티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방안
(4) 빅데이터 거버넌스 구축방안
2) 스마트 교통정보 시스템
(1) 스마트 교통정보 시스템 정의와 분류
(2) 스마트 교통정보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3) 스마트 교통정보 시스템 특허 동향
3) 모빌리티 빅데이터 기반 지역활동 모니터링
(1) 지역활동 모니터링 개요
(2) 지역활동 모니터링 사례 분석
1-2. MaaS(Mobility-as-a-Service) 시장 동향 및 전망
1) MaaS와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의 개념
(1) MaaS(Mobility-as-a-Service)의 정의
(2)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의 정의
(3)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 현황
2) MaaS 시장 동향 및 전망
(1) 인구구조 변화와 교통서비스
(2) 모빌리티 시장 트렌드와 MaaS의 부상
(3) MaaS 시장 규모 전망
(4) MaaS 주요 플랫폼 동향
3) MaaS 분야별 시장 전망
(1) 마이크로 모빌리티의 성장
(2) 물류와 모빌리티 플랫폼 결합
(3) 자율주행과 MaaS 산업 전망
(4) 국내·외 MaaS 분야 정책 현황
1-3.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시장 동향 및 전망
1)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산업 개요
(1)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정의와 부상
(2) 도심항공모빌리티(UAM) 산업 동향
2) 도심항공모빌리티(UAM) 기술 동향
(1) 도심항공모빌리티(UAM) 표준화 동향
(2) K-UAM 기술로드맵

2. 에너지 분야 기술 및 시장 동향
2-1. 국내·외 전력시장 및 스마트그리드 동향
1) 2023년 글로벌 전력시장 동향 및 2024년 전망
(1) 글로벌 전력시장 수요 동향 및 전망
(2) 글로벌 전력시장 공급 동향 및 전망
(3) 글로벌 전력시장 탄소배출 동향 및 전망
(4) 글로벌 전력시장 가격 동향 및 전망
2) 국내·외 스마트그리드 정책 동향
(1) 캐나다
(2) 스웨덴
(3) 일본
(4) 인도
(5) 멕시코
(6) 국내(제3차 지능형전력망 기본계획)
2-2. ICT 기반 스마트시티 에너지 솔루션 동향
1) ICT 기반 도시형 통합 발전소
(1) 도시형 통합 발전소 정의와 분류
(2) 도시형 통합 발전소 특허 동향
(3) 주요국 스마트 발전소 동향
2)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 변전소
(1) 디지털 변전소 개요
(2) 디지털 변전소 기술 동향
(3) 국내·외 디지털 변전소 정책 동향
(4) 소형모듈원자로 CAE 기반 디지털트윈 개발 사례
3) 제로에너지빌딩 관리 시스템
(1) 제로에너지빌딩 관리 시스템 정의와 분류
(2) 제로에너지빌딩 관리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3) 제로에너지빌딩 관리 시스템 특허 동향
4) 스마트미터
(1) 스마트미터 정의와 분류
(2) 스마트미터 기술개발 동향
(3) 스마트미터 특허 동향

3. 헬스케어 분야 기술 및 시장 동향
3-1. 디지털 헬스케어 개요 및 의의
1)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개요
(1)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정의와 범위
(2)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밸류체인
(3)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주요이슈
2) 국내 고령화 동향과 헬스케어 필요성
(1) 국내 초고령화 동향과 특징
(2) 고령화와 지역사회 계속거주(Aging in Place) 지원
3-2. ICT 기반 스마트시티 헬스케어 솔루션 동향
1) 빅데이터 기반 개인 헬스케어
(1) 데이터 기반 개인 헬스케어 시스템 정의
(2) 데이터 기반 개인 헬스케어 기술 전망과 이슈
(3) 헬스케어 마이데이터 개념 및 사례
2) 인공지능(AI) 기반 헬스케어
(1) 인공지능(AI) 헬스케어 개념과 특징
(2) 글로벌 인공지능(AI) 헬스케어 시장 동향
(3) 국내 인공지능(AI) 헬스케어 시장 동향 및 성장 배경
3) 사물인터넷(IoT) 기반 모바일·웨어러블 헬스케어
(1) 모바일 헬스케어 서비스 개요
(2)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장 전망

4. 공공분야 기술 및 시장 동향
4-1. 공공분야 스마트화 및 인공지능(AI) 도입 현황
1) 글로벌 GovTech 개요 및 유형
(1) GovTech 개념
(2) 국내·외 GovTech 동향
(3) GovTech 유형별 분류
2) 공공분야 인공지능(AI) 도입 동향
(1) 연도별 공공분야 인공지능(AI) 도입 현황
(2) 기관별 공공분야 인공지능(AI) 도입 현황
4-2. ICT 기반 스마트시티 공공 서비스 동향
1)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1)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정의와 분류
(2)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기술개발 동향
(3)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특허 동향
2) ICT 기반 도시 인프라 관리
(1) 국내·외 SOC 디지털트윈 동향
(2) GPS 및 인공지능(AI) 기반 디지털 도로 관리

5. 안전 및 방재 분야 기술 및 시장 동향
5-1. 도시안전 관련 주요 개념 및 분류
1) 도시재난 및 안전도시 개요
(1) 재난의 개념과 구분
(2) 복합재난의 개념과 특성
(3) 안전도시의 개념과 주요 안전도시 모델
2) 도시취약지역 주요 개념 및 재난위험감소 접근법
(1) 도시취약지역 주요 개념
(2) 공동체 기반 재난위험감소 접근법
5-2. ICT 기반 스마트시티 안전 및 방재 시스템 동향
1) ICT 기반 도시안전 시스템
(1) 지능형 CCTV
(2) 위성조난시스템
(3) 침입 감지 시스템
(4) 경계 시스템 통합관제
2) ICT 기반 방재 시스템
(1)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
(2) 디지털트윈 기반 재난안전 시스템

Ⅲ. 주요국 스마트시티 시장 및 정책 동향

1. 해외 주요국 스마트시티 시장 전망 및 정책 동향
1-1. 미국
1) 미국 스마트시티 시장 동향
2) 미국 스마트시티 분야 정책 동향
(1) 스마트시티 챌린지(Smart City Challenge)
(2) Smart Spines
(3) GCTC(Global City Teams Challenge)
1-2. 유럽
1) EU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특성 및 정책 동향
(1) EU 스마트시티 추진 특성
(2) EU 스마트시티 관련 정책 동향
2) 독일 스마트시티 정책 동향 및 주요 사례
(1) 독일 스마트시티 정책 동향
(2) 독일 스마트시티 주요 사례
3) 영국 스마트시티 시장 및 정책 동향
(1) 영국 스마트시티 시장 동향
(2) 영국 스마트시티 정책 동향
4) 스페인 스마트시티 시장 및 정책 동향
(1) 스페인 스마트시티 시장 동향
(2) 스페인 스마트시티 정책 동향
5) 네덜란드 스마트시티 시장 및 정책 동향
(1) 네덜란드 스마트시티 시장 동향
(2) 네덜란드 스마트시티 정책 동향
6) 폴란드 스마트시티 현황 및 주요 사례
(1) 폴란드 스마트시티 개요
(2) 폴란드 스마트시티 주요 사례
7) 핀란드 스마트시티 시장 및 정책 동향
(1) 핀란드 스마트시티 분야 주요 프로젝트 현황
(2) 핀란드 스마트시티 정책 동향
8) 체코 주요 도시별 스마트시티 추진 동향
(1) 프라하 ‘스마트 프라하 2030’
(2) 브르노 ‘브르노 2050’
(3) 오스트라바 ‘FajnOVA 2030’
(4) 플젠 ‘스마트시티 플젠 2024-2028’
1-3. 중국
1)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 현황 및 시장 동향
(1) 중국 스마트시티 추진 현황
(2) 중국 디지털트윈 기반 스마트시티 동향
(3) 중국 스마트시티 시장 동향
2) 중국 스마트시티 분야 정책 동향
(1) 디지털 중국 추진전략
(2) 중국 중앙정부 스마트시티 정책 동향
(3) 중국 지방정부 스마트시티 정책 동향
1-4. 일본
1) 일본 스마트시티 주요 분야별 추진 전략
(1) 교통 모빌리티 분야
(2) 환경 및 에너지 분야
(3) 방재 및 방범 분야
(4) 관광 분야
2) 일본 스마트시티 분야 정책 동향
(1) 통합혁신전략 2023
(2) 일본 디지털 산업 기반 정비 현황
(3) 초스마트 사회(Society 5.0)
(4) 플래토(Plateau) 프로젝트
(5) 일본 슈퍼시티 정책 추진 동향
1-5. 기타 신흥국
1) 남미 및 아프리카
(1) 멕시코
(2) 브라질
(3) 아프리카
2) 아시아
(1) 인도
(2) 인도네시아
(3) 사우디아라비아
(4) 베트남

2.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 현황 및 정책 동향
2-1.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 현황
1) 국내 스마트시티 산업 개요
(1) 국내 스마트시티 서비스 동향
(2) 국내 스마트시티 발전 동향과 과제
(3) 국내 스마트시티 실증 및 확산 전략
(4)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 개요
2)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 동향
(1) 국내 스마트시티 추진 동향
(2) 국내 스마트시티 분야 재정투자 현황 및 중장기 투자규모
3) 국내 스마트시티 및 스마트시티 솔루션 시장 규모 전망
(1)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전망
(2) 국내 스마트시티 솔루션 시장 규모 전망
2-2.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 동향
1) 제4차 스마트도시 종합계획(2024~2028)
(1) 지속가능한 공간모델 확산
(2) AI·데이터 중심 도시기반 구축
(3) 민간 친화적 산업생태계 조성
(4) K-스마트도시 해외진출 활성화
2) 2024년 거점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1) 추진배경 및 목적
(2) 지원대상 및 요건
(3) 지원사항
(4) 사업 추진방식
3) 2024년 강소형 스마트도시 조성사업
(1) 추진배경 및 목적
(2) 지원대상 및 요건
(3) 지원사항
(4) 사업 추진방식
4) 2024년 스마트도시 솔루션 확산사업
(1) 추진배경
(2) 추진방향
(3) 사업 주요 내용
(4) 보급 솔루션 가이드라인
5) 신성장 4.0 전략 추진계획
(1) 추진배경 및 특징
(2) 15대 프로젝트
(3) 인프라 정비 방안


[표 목차]
Ⅰ. 글로벌 스마트시티 산업 현황 및 기반기술 동향
〈표1-1〉 주요기관별 스마트시티 정의
〈표1-2〉 스마트시티의 4대 구성 요소
〈표1-3〉 스마트시티 등장 배경
〈표1-4〉 스마트시티 목표
〈표1-5〉 인지도시와 일반도시의 구분
〈표1-6〉 공간문화미디어의 유형과 특성
〈표1-7〉 디지털미디어의 발전단계
〈표1-8〉 산학융합지구 주요 지원프로그램
〈표1-9〉 공중권 사업 추진 방식
〈표1-10〉 리브고슈 사업 추진 단계
〈표1-11〉 뉴욕의 특별 복합 용도지구 특징
〈표1-12〉 도시성장경계 지침 및 우선순위
〈표1-13〉 「가상융합산업진흥법」 메타버스 및 메타버스 산업 정의
〈표1-14〉 국내·외 주요 기관별 메타버스 정의
〈표1-15〉 산업 분야 메타버스 도입 기대효과
〈표1-16〉 주요 기관별 공간컴퓨팅 정의
〈표1-17〉 공간컴퓨팅 구성
〈표1-18〉 EU 집행위원회 ‘Web 4.0’ 4대 분야 혁신 전략
〈표1-19〉 핀란드 ‘Metaverse in Action(MIA)’ 5대 과제
〈표1-20〉 중국 가상현실과 산업의 응용 및 통합 개발을 위한 실행계획 3대 혁신 방안
〈표1-21〉 중국 메타버스 3개년 행동계획 5대 과제
〈표1-22〉 일본 가상공간 비즈니스 법적 리스크 및 대응책
〈표1-23〉 스마트시티 관련 디지털 트윈 활용 가능 분야
〈표1-24〉 영국 국가 디지털 트윈 원칙(Gemini Principles)
〈표1-25〉 디지털 트윈의 성공적 추진을 위한 6개 기반 영역

Ⅱ. 스마트시티 핵심 솔루션별 기술 및 시장 동향
〈표2-1〉 스마트 교통정보 시스템 품목 밸류체인
〈표2-2〉 스마트 교통정보 시스템 용도별 분류
〈표2-3〉 활동시공간 특성을 고려한 모니터링 유형
〈표2-4〉 위드라이브 이용자 성별·연령병 샘플 수
〈표2-5〉 국내외 MaaS 여객 분야 TAM
〈표2-6〉 기관별 MaaS 시장 규모 전망
〈표2-7〉 분야별 MaaS 시장 규모 전망
〈표2-8〉 국내 개인형 이동장치 관련 도로교통법 개정 동향
〈표2-9〉 차량공유 관련 각국의 규제
〈표2-10〉 인도 스마트그리드 로드맵
〈표2-11〉 154kV 디지털변전소 구축 계획
〈표2-12〉 ICT 기반 전력관리 기술 분류
〈표2-13〉 도시형 통합발전소 밸류체인
〈표2-14〉 가상발전소 유형별 장·단점
〈표2-15〉 기존 변전소와 디지털 변전소 비교
〈표2-16〉 미국 Grid 2030 정책 개요
〈표2-17〉 인도네시아 스마트 그리드 구축 로드맵
〈표2-18〉 베트남 스마트 그리드 개발 추진 계획
〈표2-19〉 제9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추진 분야별 실행계획
〈표2-20〉 제로에너지빌딩 관리 시스템 밸류체인
〈표2-21〉 스마트미터 밸류체인
〈표2-22〉 기관별 디지털 헬스케어 정의
〈표2-23〉 디지털 헬스케어 구분
〈표2-24〉 의료 이해관계자 관련 DTx 유용성
〈표2-25〉 EMR과 EHR 비교
〈표2-26〉 연령대별 가구형태 변화
〈표2-27〉 고령자 연령대별 여가문화활동 참여율
〈표2-28〉 지역사회 계속거주 개념 구분
〈표2-29〉 주요 AI 기술 의료 분야 적용 현황
〈표2-30〉 주요국 의료영상 분석 AI 기술 특허출원 동향
〈표2-31〉 시장별 헬스케어 웨어러블 제품
〈표2-32〉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주요 제품
〈표2-33〉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분류
〈표2-34〉 주요 기관별 GovTech 정의
〈표2-35〉 EU GovTech 프로그램 현황
〈표2-36〉 연도별 공공분야 인공지능 도입 계약 동향
〈표2-37〉 추진단계별 공공분야 인공지능 도입 동향
〈표2-38〉 정책 분야별 공공분야 인공지능 도입 동향
〈표2-39〉 기관별 공공분야 인공지능 도입 현황
〈표2-40〉 기관별 공공분야 인공지능 도입 계약 현황
〈표2-41〉 기관별·추진단계별 공공분야 인공지능 도입 계약 현황
〈표2-42〉 기관별·정책분야별 공공분야 인공지능 도입 계약 현황
〈표2-43〉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밸류체인
〈표2-44〉 SOC 디지털트윈 생애주기 단계별 활용
〈표2-45〉 재난 관련 단어의 사전적 의미
〈표2-46〉 특성에 따른 재난의 정의
〈표2-47〉 특성에 따른 재난의 구분
〈표2-48〉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따른 재난의 구분
〈표2-49〉 국가기반체계의 사고 구분
〈표2-50〉 행정안전부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의 재난 및 위기 유형 분류
〈표2-51〉 행정연구원의 대형복합재난 세부정의
〈표2-52〉 WHO 국제안전도시 공인인증 기준
〈표2-53〉 지능형 CCTV 기술 유형
〈표2-54〉 감지 시스템 분류
〈표2-55〉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 밸류체인
〈표2-56〉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 기술 분류
〈표2-57〉 재난안전 분야 디지털트윈 활용 분야

Ⅲ. 주요국 스마트시티 시장 및 정책 동향
〈표3-1〉 미국 주요 도시별 스마트시티 현황
〈표3-2〉 Horizon 2차 전략계획 주요 내용
〈표3-3〉 분야별 유럽 공동 데이터 공간
〈표3-4〉 독일 스마트시티 기술 동향
〈표3-5〉 스페인 주요 도시 IMD 스마트시티 순위 동향
〈표3-6〉 스마트시티 국가계획과 스마트국토 국가계획 비교
〈표3-7〉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1차 지원
〈표3-8〉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2차 지원
〈표3-9〉 암스테르담 주요 혁신 지구
〈표3-10〉 헬싱키 스마트시티 시범지구 현황
〈표3-11〉 핀란드 ’6 Aika’ 프로젝트 현황
〈표3-12〉 스마트 프라하 6대 중점분야 주요 내용
〈표3-13〉 중국 중앙정부 스마트시티 주요 정책
〈표3-14〉 중국 중앙정부 스마트시티 주요 정책
〈표3-15〉 일본경제재생본부 5대 전략분야
〈표3-16〉 일본 스마트시티와 슈퍼시티의 차이
〈표3-17〉 일본 슈퍼시티 주민 의향 확인·합의의 방법 예시
〈표3-18〉 인도 스마트시티 범도시개발 솔루션
〈표3-19〉 100대 스마트시티 전환 대상 도시 및 지역
〈표3-20〉 인도네시아 스마트시티 개발 6대 원칙
〈표3-21〉 인도네시아 스마트시티 6대 중점 육성분야
〈표3-22〉 사우디아라비아 주요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표3-23〉 스마트 챌린지 사업 추진 현황
〈표3-24〉 연도별·유형별 스마트시티 서비스 건수
〈표3-25〉 스마트도시 서비스 인증 부여 실적
〈표3-26〉 국내 스마트시티 종합계획 발전
〈표3-27〉 2018-2023 도시 규모별 스마트시티 실증사업 국비지원 현황
〈표3-28〉 2018-2023 지역별 스마트시티 실증사업 국비지원 현황
〈표3-29〉 2020-2023 지자체 선정 스마트시티 솔루션 현황
〈표3-30〉 유비쿼터스 도시 관련 예산 현황
〈표3-31〉 스마트도시 관련 예산 동향
〈표3-32〉 국가시범도시 관련 사업 결산내역
〈표3-33〉 중기재정계획상 연도별 투자계획
〈표3-34〉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전망
〈표3-35〉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전망
〈표3-36〉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전망


[그림 목차]
Ⅰ. 글로벌 스마트시티 산업 현황 및 기반기술 동향
〈그림1-1〉 전 세계 도시인구 및 도시화율 전망
〈그림1-2〉 스마트시티 목표 및 구성요소
〈그림1-3〉 차량사고 발생 시 인지도시 시나리오
〈그림1-4〉 넷제로 스마트시티 구현을 위한 기술 및 활용 가능 부문
〈그림1-5〉 도시에서 활용되는 디지털 트윈 개념 및 특징
〈그림1-6〉 스마트시티 차량 엣지플랫폼 모델
〈그림1-7〉 리빙랩 기반 PPPP(Public-Private-People-Partnerships) 프로세스
〈그림1-8〉 글로벌 지역별 인구 전망
〈그림1-9〉 글로벌 도시화 전망
〈그림1-10〉 해외 산업단지 개발사업 추진 시 협력방안
〈그림1-11〉 해외 스마트시티 개발사업 추진 시 협력방안
〈그림1-12〉 폐쇄형 혁신과 개방형 혁신의 개념 비교
〈그림1-13〉 사회·기술 체계 전환의 다층적 경로
〈그림1-14〉 연구개발특구 및 강소연구개발특구 전국 지정현황
〈그림1-15〉 도시문제 해결 온라인 플랫폼별 문제해결 과정
〈그림1-16〉 콤팩트시티 모델
〈그림1-17〉 콤팩트시티 핵심 원리
〈그림1-18〉 공중권 개념
〈그림1-19〉 공간컴퓨팅 개념
〈그림1-20〉 패스스루(Passthrough) 기반 가상객체 및 공간구현 예시
〈그림1-21〉 디지털트윈 분야 논문발표 동향
〈그림1-22〉 2020년 국가별 디지털 트윈 분야 논문발표 현황
〈그림1-23〉 주요 출원국 디지털트윈 특허 출원건수 및 증가율 동향
〈그림1-24〉 사물인터넷 기반 제조 디지털트윈
〈그림1-25〉 NASA 우주비행사의 게이트웨이 HALO 모듈 가상 탐색
〈그림1-26〉 디지털 트윈 국토 구성 및 위계
〈그림1-27〉 디지털 트윈 발전단계
〈그림1-28〉 디지털 트윈의 발전단계와 스마트시티 고도화

Ⅱ. 스마트시티 핵심 솔루션별 기술 및 시장 동향
〈그림2-1〉 교통분야 3대 핵심 모빌리티 빅데이터
〈그림2-2〉 경로 체류시간 임계치 설정
〈그림2-3〉 개인 통행궤적정보 구축
〈그림2-4〉 신호운영 분석
〈그림2-5〉 교통 빅데이터 플랫폼 구상도(S2 MODE platform)
〈그림2-6〉 스마트 모빌리티 교통정보 시스템 개념도
〈그림2-7〉 연도별·국가별 스마트 교통정보 시스템 특허출원 동향
〈그림2-8〉 OD(기종점통행량) 생성 워크플로우
〈그림2-9〉 분석대상 지역별 샘플 수
〈그림2-10〉 차량 전동화 시장 전망
〈그림2-11〉 커넥티드카 시장 전망
〈그림2-12〉 지역별 모빌리티 서비스 이용 전망
〈그림2-13〉 지역별 자율주행 시장 전망
〈그림2-14〉 비즈니스 모델 비교
〈그림2-15〉 미들마일 시장 참여자
〈그림2-16〉 국내 화물운송(차주) 및 주선업체 규모(2020년 기준)
〈그림2-17〉 자율주행 생태계 파트너십
〈그림2-18〉 로보택시(Level 4 이상) 판매 전망
〈그림2-19〉 로보택시 이용 요금 및 수익 규모 전망
〈그림2-20〉 공유차량 및 글로벌 자동차 수요 전망
〈그림2-21〉 K-UAM 5대 핵심부문 기술개발 로드맵
〈그림2-22〉 연도별 주요국 전력 수요 증감
〈그림2-23〉 인도의 전력첨두부하 및 전력예비율 변화 추이
〈그림2-24〉 2021년 대비 2022년 유럽 전력수요 요인별 증감 추정치
〈그림2-25〉 글로벌 전원별 발전량 변화 동향 및 전망
〈그림2-26〉 주요국 전원별 발전량 증감 동향
〈그림2-27〉 주요국 발전부문 탄소배출집약도 동향
〈그림2-28〉 주요국 분기별 평균 도매전력 가격 동향
〈그림2-29〉 캐나다 스마트그리드 프로그램 타임라인
〈그림2-30〉 일본 수급조정 시장 개요
〈그림2-31〉 VPP(Virtual Power Plant) 구성
〈그림2-32〉 공급형 가상발전소 구조도
〈그림2-33〉 수요형 가상발전소 구조도
〈그림2-34〉 수요형 가상발전소 구조도
〈그림2-35〉 연도별·국가별 도시형 통합 발전소 특허 출원 동향
〈그림2-36〉 글로벌 디지털 변전소 Value Chain 구조
〈그림2-37〉 디지털 변전소 주요 기술
〈그림2-38〉 지능형검침인프라(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AMI) 구성도
〈그림2-39〉 가상 센싱 기술을 적용한 원자로 냉각재 펌프 열 감시 디지털트윈 개념
〈그림2-40〉 제로에너지빌딩 개념도
〈그림2-41〉 플러스에너지 건물 개념도
〈그림2-42〉 연도별·국가별 제로에너지빌딩 관리 시스템 특허출원 동향
〈그림2-43〉 스마트미터 시스템 구성도
〈그림2-44〉 연도별·국가별 스마트미터 특허출원 동향
〈그림2-45〉 디지털 헬스케어 산업 밸류체인
〈그림2-46〉 자연어 처리 생성형 AI를 기반으로 하는 의료 플랫폼 예시
〈그림2-47〉 고령인구 및 연령층별 비중 전망
〈그림2-48〉 성별·연령별 1인가구 비중 동향
〈그림2-49〉 고령자 연령대별 소득수준 변화
〈그림2-50〉 연령대별 경제활동 참여율 변화
〈그림2-51〉 고령자 주관적 건강상태 및 우울증상 비율 변화
〈그림2-52〉 건강정보 고속도로(마이헬스웨이 시스템)
〈그림2-53〉 AI 헬스케어 개념과 장점
〈그림2-54〉 글로벌 AI 헬스케어 시장 규모 전망
〈그림2-55〉 분야별·지역별 AI 헬스케어 시장 규모 전망
〈그림2-56〉 국내 AI 헬스케어 시장 규모 전망 및 성장 요인
〈그림2-57〉 주요국 5G 속도 비교
〈그림2-58〉 모바일 헬스케어의 범주
〈그림2-59〉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개념
〈그림2-60〉 다양한 형태의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
〈그림2-61〉 광용적맥파(Photoplethysmogram, PPG) 기반 헬스케어 웨어러블
〈그림2-62〉 헬스케어 웨어러블 디바이스별 시장 규모
〈그림2-63〉 기기별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장 규모 전망
〈그림2-64〉 착용 형태별 헬스케어 웨어러블 시장 규모 전망
〈그림2-65〉 GTMI 그룹별 글로벌 GovTech 현황
〈그림2-66〉 EU GovTech 프로그램 현황
〈그림2-67〉 연도별·국가별 스마트 물관리 시스템 특허출원 동향
〈그림2-68〉 재난의 분류
〈그림2-69〉 행정연구원의 대형복합재난 정의
〈그림2-70〉 중궤도 위성조난시스템 운용체계
〈그림2-71〉 울산 북구청 GIS 스마트 검색서비스
〈그림2-72〉 공항 통합보안관제 솔루션
〈그림2-73〉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 특허출원 동향

Ⅲ. 주요국 스마트시티 시장 및 정책 동향
〈그림3-1〉 2023-2034 미국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전망
〈그림3-2〉 GCTC의 10개 슈퍼클러스터 분야
〈그림3-3〉 베를린 11개 즈쿤프트소르테(Zukunftsorte)
〈그림3-4〉 폴란드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전망
〈그림3-5〉 바르샤바 스마트 지역난방망 개념도
〈그림3-6〉 브로츠와프 지역별 상수도 유량 상황 모니터링 시스템
〈그림3-7〉 그단스크 열병합 발전소
〈그림3-8〉 슈피탈카(Špitálka) 스마트단지 프로젝트 건설 계획
〈그림3-9〉 옵차지(OppCharge) 방식 고속충전소
〈그림3-10〉 중국 스마트시티 시범도시 지정 누적 동향
〈그림3-11〉 중국 스마트시티 유형별 시범도시 지정 규모
〈그림3-12〉 알리바바 항저우 시티브레인 컨소시엄
〈그림3-13〉 중국에서 전개되는 미래의 도시운영
〈그림3-14〉 중국 디지털트윈 시티 ‘시티브레인’ 구조
〈그림3-15〉 중국 정부주도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전망
〈그림3-16〉 중국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동향
〈그림3-17〉 일본 슈퍼시티 구상도
〈그림3-18〉 멕시코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전망
〈그림3-19〉 브라질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분야별 스타트업 투자금 유치 비중
〈그림3-20〉 아프리카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전망
〈그림3-21〉 인도 100개 스마트시티 분포
〈그림3-22〉 베트남 주요 지역별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추진 현황
〈그림3-23〉 VTK 사업시행 구조
〈그림3-24〉 스마트시티 서비스 유형별 개수
〈그림3-25〉 연도별·유형별 스마트시티 서비스 비율
〈그림3-26〉 스마트시티 특별위원회 구성 분야
〈그림3-27〉 국내 스마트시티 시장 규모 전망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