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무의 나라, 일본

무의 나라, 일본

  • 사에키 신이치
  • |
  • 마르코폴로
  • |
  • 2024-12-20 출간
  • |
  • 316페이지
  • |
  • 137 X 215mm
  • |
  • ISBN 9791192667744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8,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아마존 저팬 베스트셀러

마이니치 신문, 올해의 책

요미우리 신문, 추천도서

산케이 신문, 추천도서

 

일본 하면 ‘사무라이’를 떠올리고 일본을 ‘무사의 나라’로 여기는 인식을 단순히 외국인이 갖는 선입견이나 고정관념이라고만 보기는 어렵다. 사실은 일본이라는 나라가 다른 나라에 비해 무력이 뛰어나며, 무사의 존재가 특히 두드러진다고 일본 사람들 스스로 인지하는 경향도 확인되기 때문이다. 야구 일본대표팀의 이름이 사무라이 저팬(Samurai Japan)인 것은 그 단적인 예라 할 수 있다. 무(武)의 나라, 무사의 나라라는 일본의 이미지는 어쩌면 일본인과 외국인이 공유하고 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에게 영향을 미치면서 확산되고 양산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다.

 

일본의 역사를 들여다보면 일본이 처음부터 무의 나라, 무사의 나라였다고 보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사무라이’라는 말도 원래는 귀인을 곁에서 모시는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단어였고, 나중에는 지배층으로서의 무사를 대상으로 이 말이 사용되면서 무사와 동의어로 간주되기에 이른 것이다. 또 무사에게 요구되는 덕목이나 무사도 정신 역시 후대에 형성된 요소였고, 무사는 고대부터 근대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변천을 거듭한 존재였다. 이처럼 무사도 정신에 입각하여 죽음도 두려워하지 않는 용맹한 무사의 이미지가 역사적 사실과는 동떨어져 있다.

 

다카하시 마사아키의 『무사의 일본사』가 일본사 연구자의 입장에서 역사 서술을 통해 무사의 나라라는 허상을 벗기고 무사의 실상을 드러내려 한 책이었다면, 공교롭게도 같은 해인 2018년 10월에 출간된 사에키 신이치의 『‘무의 나라’ 일본 ―자국의식과 그 함정(「武國」 日本―自國意 識とその罠)』은 일본 중세문학을 전공한 문학 연구자의 시각으로 일본인들의 의식 속에 일본을 강한 나라, 무력이 센 나라로 보는 생각이 언제 어떻게 자리잡게 되는지를 살펴보는 책이다.

 

사에키 신이치는 『헤이케 모노가타리』를 비롯한 군기(軍記) 문학작품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삼았고, 그 작품들 속에 등장하는 무사들과 그들이 벌이는 전투의 묘사와 서술이야말로 연구의 핵심 소재였다. 그러한 연구의 성과들을 바탕으로 중세 무사들의 행동과 정신이 오늘날 ‘무사도’의 이름으로 이야기되는 이상적인 무사의 이미지와는 사뭇 달랐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무와 무사에 대한 일본 사람들의 인식이 고대에는 결코 두드러지지 않았고, 무는 일본이라는 국가에서 처음부터 큰 비중을 차지하는 요소가 아니었음을 확인하게 된다. 

목차

한국어판 서문 ㆍ 11
머리말 ㆍ 14
일본인의 자의식 ............................... 14
평화와 사무라이 ............................... 16
‘신국’ 의식과 ‘무국’ 의식...................... 18

제1장
‘신국’ 일본
제1절
‘신국’이란 무엇인가 ㆍ 21
좋은 나라, 강한 나라 .......................... 21
진구 황후 설화 ................................. 24
진구 황후 설화의 변용 ........................ 26
진구 황후 설화의 영향 ........................ 29
제2절
헤이안·가마쿠라시대의 신국 의식 ㆍ 31
신이 지켜주는 나라 ........................... 31
신을 모시는 나라 .............................. 32
신들이 충만한 나라 ........................... 34
야만스럽고 미개한 ‘신국’ ..................... 36
신국과 변토의 균형 ........................... 38
『헤이케 모노가타리』의 「교훈장」 .............. 41
황실 옹호, 자국 우월의식과의 연관 ......... 42
신에게 의지하기 ............................... 46
신의 힘과 ‘무인의 공적’ ....................... 48
제3절
몽골의 일본 침략과 자국관 ㆍ 51
‘뭇 나라들보다 뛰어난 나라’ ................. 51
일본의 무구와 무사의 우월함 ................ 53
도간 에안의 자의식과 망상................... 55
‘무’는 국가를 어지럽힌다 ..................... 58
‘신풍’으로 총괄되는 몽골의 침략 ............ 60
분에이 전쟁과 무사의 활약................... 63
가마쿠라 무사들의 관심과 시점 ............. 64
신국 사상과 몽골의 침략 ..................... 66

제2장
‘활과 화살’에 대한
자부심과 ‘무’의 가치
제1절
활과 화살에 대한 자부심 ㆍ 71
『마쓰라노미야 모노가타리』 ................... 71
일본은 무사의 나라 ........................... 74
‘무’의 자의식이 싹트다 ........................ 76
활과 화살에 대한 자부심 ..................... 78
중국과 비교한 활과 화살의 자랑 ............ 81
일본의 전쟁 .................................... 84
큰 화살을 쏘는 무사들 ........................ 86
활·화살 자랑과 ‘동이’ 의식의 극복 ........ 88
자국의식의 성장 ............................... 91
제2절
‘무’의 가치와 군기 모노가타리 ㆍ 93
군기 모노가타리와 ‘무’ ........................ 93
『헤이케 모노가타리』와 전쟁 피해 ............ 97
『헤이케 모노가타리』에 나오는 요시쓰네 .... 99
무사=오랑캐에 대한 멸시 ................... 102
‘문무이도’ ...................................... 105
하강사관과 ‘무’ ................................ 107
동아시아의 ‘문’ 중시 ......................... 109
‘무위’의 용법 .................................. 111
시대의 변화와 가치관의 변화 ............... 114
제3절
무사의 자의식 발달과 그 표현 ㆍ 117
‘무사의 도’ ..................................... 117
『헤이케 모노가타리』에 나오는
‘활과 화살의 도’ ............................... 120
『태평기』에 나오는 ‘활과 화살의 도’ ......... 123
『태평기』와 무사 ............................... 126
『요시사다 군기』라는 작품 .................... 128
『요시사다 군기』의 ‘도’ ........................ 131
『갑양군감』의 ‘무사도’ ......................... 134
무사와 와카 ................................... 138
‘문’과 대척점에 있는 ‘무’ ..................... 140

제3장
‘무국’ 의식의
성립과 전개
제1절
히데요시의 ‘무국’ 의식과 조선 출병 ㆍ 145
일본은 활과 화살이 엄청난 나라 ........... 145
히데요시의 무국 인식 ........................ 148
‘무’의 일본, ‘문’의 중국 ...................... 150
요시노 진고자에몬의 자국 인식 ............ 152
요시노 진고자에몬과 분로쿠 전쟁 ......... 154
게이초 전쟁과 『조선일일기』 ................. 158
조선 출병의 끝과 이야기의 시작 ........... 161
조선 출병의 미화 ............................ 164
비판과 반비판 ................................. 166
지카마쓰 몬자에몬의 「본조삼국지」 ......... 168
민중에게 남은 기억 .......................... 171
제2절
‘무국’ 의식의 이론화 ㆍ 173
‘무국’ 이론의 등장 ............................ 173
요시카와 고레타리의 ‘무국’론 .............. 174
‘무국’ 사관 ..................................... 176
요시카와 고레타리의 위치 .................. 178
야마가 소코의 ‘무덕’론 ....................... 180
『중조사실』의 배경 ............................. 184
야마가 소코의 역사관 ........................ 186
‘아메노누보코’와 이자와 나가히데 ......... 188
‘무국’론의 정착................................ 190
명·청 교체와 ‘무’의 하강사관 .............. 192
자타가 공인하는 ‘무국’ ....................... 193
‘무’의 하강사관의 변질 ....................... 196
아이자와 세이시사이 『신론』의 역사관 ..... 199
요즘 무사는 해이해져 있다................. 202
제3절
내셔널리즘과 ‘문무’ ㆍ 205
막부 말기의 위기와 『상무론』 ............... 205
『상무론』의 역사관 ............................ 207
『상무론』의 반‘문’과 ‘무사도’ ................ 209
‘무국’론과 유학................................212
내셔널리즘과 유학·국학 ...................213
겉과 속, 이상과 현실 .........................215
‘무국’론과 반지성주의 .......................217

제4장
‘무국’에서 ‘군국’으로
제1절
‘무국’ 의식의 확산 ㆍ 223
‘무국’ 의식과 서민 ........................... 223
『표류기담』 ..................................... 225
표류자 오토키치의 ‘무국’ 의식 ............. 226
미국은 일본의 무위를 두려워했는가 ...... 229
무국 의식과 요시쓰네 이야기 ...............231
에조치에 대한 높아지는 관심 .............. 233
지카마쓰 몬자에몬의 문제 ................. 235
영웅 도항 전설 ............................... 238
요시쓰네 도만설 ............................. 242
요시쓰네 칭기스 칸설의 등장 .............. 245
요시쓰네 칭기스 칸설과
오야베 젠이치로 ............................. 248
제2절
막말유신기의 ‘무국’론 ㆍ 253
요시다 쇼인의 ‘무국’ 의식 .................. 253
「급무책일칙」의 위기의식 .................... 255
『유수록』의 역사관 ............................ 257
『유수록』과 근대 일본 ........................ 258
존황 지사 히라노 구니오미................. 260
‘무국’론과 메이지 유신 ...................... 262
제3절
‘무국’론과 ‘군국’ 일본 ㆍ 265
군제 개혁과 『군인칙유』...................... 265
『군인칙유』의 역사관 ......................... 267
『칙유연의』와 ‘무국’ 신화 .................... 268
근대 ‘무사도’론과 ‘무국’론 ...................271
아다치 리쓰엔의 『무사도 발달사』 .......... 273
『무사도 발달사』와 ‘무국’ 신화 .............. 275
이노우에 데쓰지로의 『무사도』 ............. 277
시게노 야스쓰구의 ‘무사도’론 ..............281
쇼와의 역사학과 ‘무사도’론 ................ 285
전시 하의 ‘무국’론 ........................... 287
‘군국’의 국민 도덕 ........................... 28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