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100가지 물건으로 보는 우주의 역사

100가지 물건으로 보는 우주의 역사

  • 스텐 오덴발드
  • |
  • 스테이블
  • |
  • 2025-01-08 출간
  • |
  • 304페이지
  • |
  • 140 X 210mm
  • |
  • ISBN 9791193476116
판매가

19,800원

즉시할인가

17,82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7,8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우주를 이해하는 전혀 새로운 방식!
100가지 물건에 담긴 과학의 즐거움

현재 추정하는 우주의 나이는 약 140억 년. 우주의 규모에 비하면 인간이 이를 탐구하고 이해하기 시작한 짧은 역사는 대단할 것도 없고 심지어 하찮아 보이기까지 한다. 지구 바깥의 대부분은 여전히 미지의 영역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인간은 관찰을 멈추지 않았다. 고고학적 증거에 따르면 인류는 수만 년 전, 혹은 그보다 더 오래전부터 호기심에 이끌려 물리적 세계 너머의 영역을 꿈꿔 왔고, 자신들의 발견을 기록해 왔다. 고대의 태음력 달력, 항성시계, 수정 렌즈 같은 선사시대 유물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우주여행은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100가지 물건으로 보는 우주의 역사》는 우리가 우주를 이해하는 데 필요한 획기적이고 유용한 기술이 담긴 물건 100가지를 소개하는 책이다. NASA 과학자인 저자의 서문에 따르면 “우주탐사의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100개의 물건을 고르는 것은 쉽지 않았다. 알아야 할 가치가 있는 물건을 모두 싣는다면 1,000쪽은 족히 채울 수 있을 것이고, 중요성의 순위는 어떻게 매기든 주관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과학자의 눈으로 우주의 원리에 대한 인간의 지식이 크게 도약하는 데 물리학과 공학이 기여한 방식의 흐름을 보여 주는 데 초점을 맞췄다”고 말한다. 책에 수록된 물건들 중 주요한 몇 가지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 큐리오시티 탐사차(2021년)
가장 최근에 발사된 화성 임무용 탐사차. 주변 환경을 초고해상도로 촬영할 수 있고, 암석을 드릴로 파서 얻은 샘플을 화학 실험실에서 처리해 정확한 종류를 알아낼 수 있고, 이 데이터를 화성 궤도 위성으로 전송하는 이동식 화학 실험실이기도 하다. 약 20km를 이동했으며, 4년 동안은 ‘샤프 산’이라고 불리는 화성 중앙의 산기슭을 탐사하며 보냈다.

★ 케플러 우주 망원경(2009년)
지금까지 우주에 발사된 세계에서 가장 큰 디지털카메라. 장착된 42개의 CCD 이미지 장치로 보름달 면적의 약 150배에 달하는 영역에서 15만 개 이상의 별을 추적할 수 있다. 특히 2014년, 태양계에서 발견된 지구 크기의 행성 중 최초로 생명체 거주 가능 영역 안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케플러-186F를 발견했다. 2018년까지 케플러는 2,600개 이상의 외계 행성을 탐지하고 그 존재를 확인했다.

★ 레이저 지구역학 위성 LAGEOS(1976년)
아이작 뉴턴은 지구가 완벽한 구형이 아니라고 주장했고 이는 곧 사실로 밝혀졌다. 지구는 태양과 달의 중력에 의해 편구(扁救) 형태로 찌그러져 있다. 한마디로 공을 위아래로 압축한 모양이다. 위성 기술이 발달하면서 1976년, 지구 측량을 목적으로 하는 최초의 위성인 LAGEOS가 발사되었다. 그 결과 지구의 형태를 몇 센티미터 오차 내로 파악할 수 있었고, 그에 따라 지구의 극지방은 납작하고 적도 부분은 불룩한 형태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 스페이스 블랭킷(1964년)
우주에서 사용되는 기술은 현대인의 일상에도 발전을 가져온다. 그중 하나는 우주선의 온도나 우주비행사의 체온을 조절하는 데 쓰는, 열을 반사하는 금속 막을 입힌 플라스틱 시트인 스페이스 블랭킷이다. 우주선 외부가 파손되었을 때 임시 차단막이 되어 주기도 하고, 우주비행사가 열을 반사하는 막이 몸 쪽을 향하게 두르면 몸에서 빠져나가는 적외선 에너지의 최대 97%를 반사시켜 몸을 따뜻하게 유지시키고, 반대로 뒤집어서 반사막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두르면 거울처럼 적외선 에너지를 반사시켜 체온이 올라가지 않게 해 준다. 1979년 말, 뉴욕 마라톤 대회에서는 참가 선수들에게 스페이스 블랭킷을 지급했고, 지금도 세계 곳곳의 결승선에서 이 담요를 나눠 주고 있다.

★ 루나 3호(1959년)
소련이 발사한 이 우주선의 임무는 달 주변을 근접 비행하면서 달 뒷면의 사진을 최대한 많이 찍는 것이었다. 루나 3호에는 사진 현상 시스템과 간단한 스캐너가 있어서 사진을 팩스처럼 지구에 보낼 수 있었다. 저화질의 이미지였지만 이는 인류가 최초로 엿본 달의 뒷면이었다! 그리고 신기하게도 달의 뒷면에는 앞면과 달리 ‘달의 바다’라 불리는 부분이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 에니악(1943년)
펜실베이니아 대학에서 만든 메모리, 프로그램 저장 영역, 실행 모듈을 갖춘 최초의 현대식 컴퓨터. 전자식 숫자 적분 및 계산기, 줄여서 에니악(ENIAC)이라고 불렀다. 이 컴퓨터는 인간이 하면 20시간 이상 걸리는 복잡한 미사일 탄도 계산을 30초 안에 해냈다. 수명이 다할 무렵에는 진공관 수가 2만 개가 넘고, 납땜 된 부분이 500만 군데에 달했으며 무게는 30톤이나 나갔다. 초기 컴퓨터의 진공관은 온도가 너무 높아서 때때로 벌레가 꼬였으며, 컴퓨터나 프로그램에서 ‘버그(Bug, 벌레)’가 발견된다는 말은 여기에서 유래되었다.

★ 태양전지판(1839년)
1839년, 19세의 프랑스 물리학자 에드몽 베크렐은 염화은을 산성 용액과 섞어 햇빛에 노출시키면 전류가 생성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훗날 ‘광전효과’라고 불리게 되는 현상이다. 1958년에 발사된 뱅가드 1호는 최초로 태양전지판을 사용한 우주선이 되었다. 오늘날에도 태양광 발전은 위성 시스템의 전기 생산과 우주선 내의 도구와 장비 작동, 추진에 사용된다. 보통 회전이 가능하게 만들어서 항상 빛을 직접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우주 최대 규모의 태양전지는 국제 우주정거장에 있다. 이곳의 전지는 총 26만2,400개로 축구 경기장의 절반만 한 면적이다. 여기에서 최대 120킬로와트의 전기가 생산된다.

★ 윌리엄 허셜의 12m 망원경(1785년)
1770년대 초부터 천문학에 심취하기 시작한 영국의 윌리엄 허셜은 그 전까지 교향곡과 협주곡, 교회 오르간 음악을 만들던 음악가였다. 그러다 당대 최고 크기의 망원경을 만들면서 역사에 남을 발견을 시작했다. 허셜은 망원경으로 관측한 2만5,000개에 달하는 비항성 천체의 체계적인 목록을 만들고, 그중 2,400개 이상을 형태에 따라 분류했다. 허셜의 목록은 《성운의 일반 목록》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가, 나중에 그의 여동생과 아들이 내용을 더 보충한 《신판 일반 목록(New General Catalogue)》으로 발표되었다. 이는 현재까지도 사용되는데, 오늘날 하늘에서 관측되는 거의 모든 밝은 성운과 은하에는 《신판 일반 목록》의 약자인 NGC 번호가 매겨져 있다. 예를 들면 오리온성운은 NGC1973으로 불린다.

★ 그을린 유리로 태양 관측하기(1706년)
연기에 그을린 유리를 사용해 태양을 관측하던 역사는 1706년 《런던 왕립학회 철학 회보》에 최초로 실려 있다. 관측 방법은 간단하다. 유리 조각을 촛불 위로 살짝 기울여서 연소할 때 나오는 그을음이 햇빛을 가릴 수 있을 만큼 넓고 진하게 덮이도록 만들면 된다. 그을린 유리는 19~20세기의 개기일식 기간에 대단히 큰 인기를 끌었다. 이 방법 덕분에 일식을 관찰하는 일이 대중적인 이벤트가 되면서 천문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 스키디 포니 성도(1700년)
18세기 초에 그 수가 6만 명이 넘었던 포니족은 북아메리카의 대평원 그레이트플레인스에서 가장 규모가 크고 강력한 부족에 속했다. 그중에서도 ‘스키디(늑대) 포니’는 밤하늘에 관한 지식이 풍부했으며 가족과 마을을 이루게 해 준 것도, 생활 방식과 의식을 가르쳐 준 것도 모두 별들이라고 믿었다. 마을의 배치조차 하늘에 떠 있는 중요한 별들의 위치를 따랐다. 이들은 가로 56cm, 세로 38cm 크기의 부드러운 벅스킨 조각에 주요한 별과 별자리들의 위치를 그려 놓았다. 이것은 인간의 놀라운 관측 능력을 증언하는 유물인 동시에 아름다운 예술 작품이다.

★ 계산자(1622년)
천문학자 존 네이피어는 수학에서 곱셈과 나눗셈에 사용되는 함수인 로그(log)를 발명했다. 얼마 후 영국의 성직자 에드먼드 건터가 로그와 2개의 컴퍼스를 사용해 삼각법 계산을 할 수 있는 자를 발명했다. 그리고 1632년, 영국의 수학자 윌리엄 오트레드가 2개의 눈금자를 밀어서 이동시키면서 곱셈과 나눗셈을 할 수 있는 도구를 고안함으로써 계산자의 형태가 완성됐다. 1800년대에는 공학자들이 계산자를 흔하게 사용했기에 일반인의 눈에는 외과 의사의 청진기와 같은 도구로 보였다. 미국의 우주 계획을 이끈 공학자와 과학자 모두 이 수동 계산기를 사용해 문제를 해결하고 인류를 달에 착륙시켰다.

★ 엔시스하임 운석(1492년)
프랑스 북동부 지역의 엔시스하임에서 1492년 약 130kg짜리 운석이 땅에 떨어졌다. 1m 정도의 구멍이 생겼으며, 도시에서 150km 이상 떨어진 곳에서도 눈부신 불덩이가 보이고 굉음이 들릴 정도였다. 주민들은 운석에서 45kg 이상을 잘라 내 기념품으로 나눠 가졌다. 그리고 이를 교회 안에 쇠줄로 묶어 놓았다. 밤에 밖에 나와 돌아다닐지도 몰랐기 때문이다. 이 돌은 하늘에서 떨어진 정확한 날짜와 시간을 기억하는 목격자가 있고, 그 파편이 현재까지 보존된 가장 오래된 운석이다.

★ 아스트롤라베(서기 375년)
고대의 스마트폰이었던 아스트롤라베는 시간과 위치를 한꺼번에 알려 주는 장치다. 회전하는 원형의 성도로 이루어진 이 측정 도구는 특정 위도에서 볼 수 있는 별을 알려 주었으며, 움직이는 원판과 바늘로 하늘의 가장 밝은 별과 일식, 월식을 표시했다. 또한 관측 장치가 붙어 있어 지평선 위로 떠오른 별의 고도를 측정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었다.

★ 네브라 하늘 원반(기원전 1600년)
청동으로 만들어진 네브라 하늘 원반은 지름 30cm, 무게 2kg 정도로 그 형태가 워낙 독특해서 처음에는 위조품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원반에 덮인 녹청을 면밀하게 연구해 보니 대단히 오래된 유물이었다. 발굴 장소 근처에서 발견된 자작나무 껍질 조각으로 방사성 탄소 연대 측정을 해 본 결과 매장 시기는 기원전 1,600~1,560년 사이로 추정되지만, 엄밀히 따지면 이 원반은 땅속에 묻히기 몇십 년 전 혹은 몇백 년 전에 제작되었을 수도 있다. 정교하게 만들어진 이 원반은 태양, 달, 별의 형태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가장 오래된 유물이다.

목차

추천의 글_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존 매더
서문

1 블롬보스 동굴의 황토 그림 : 우주를 이해하기 위한 첫걸음
2 아브리 블랑샤르 뼈 판 : 고대의 태음력
3 이집트 항성시계 : 천체의 정량화를 위한 첫 시도
4 네브라 하늘 원반 : 휴대용 플라네타륨
5 암미사두카의 금성 판 : 현대 천문학의 기초가 된 문서
6 세넨무트의 성도 : 세밀하게 묘사한 하늘
7 메르크헤트 : 천문학과 건축의 결합
8 님루드 렌즈 : 망원경 작동을 위한 기본 요소
9 그리스의 혼천의 : 최초의 천체 계산기
10 디옵트라 : 별의 정확한 위치를 기록하다

11 안티키테라 기계 : 휴대용 천체 계산기
12 히파르코스의 성표 : 천체 지도의 기초
13 아스트롤라베 : 별을 이용한 시간 측정
14 둔황 성도 : 최초의 완벽한 성도
15 알 콰리즈미의 대수학 교본 : 우주를 계산하는 능력의 증대
16 드레스덴 코덱스 : 마야의 천문학을 엿보다
17 차코 캐니언의 태양 단검 : 빛과 나선으로 하늘에 표한 경의
18 조반니 데 돈디의 아스트라리움 : 중세 후기의 정교한 계산기
19 빅혼 메디슨 휠 : 별을 가리키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기념물
20 엔시스하임 운석 : 하늘에서 떨어진 돌

21 《천구의 회전에 관하여》 : 우주의 중심을 바꾼 코페르니쿠스의 책
22 튀코의 벽걸이 사분의 : 그밖의 정밀한 천문학 도구들
23 갈릴레이의 망원경 : 현대 천문학의 시작
24 계산자 : 1960년대 우주 계획을 이끈 계산기
25 접안 마이크로미터 : 가장 정밀한 천문학적 관측 장비
26 시계식 회전 장치 : 망원경으로 관측하는 새로운 방식
27 자오환 : 성표 작성을 도와주는 기발한 도구
28 스키디 포니 성도 : 천체를 기록한 신성한 꾸러미
29 그을린 유리로 태양 관측하기 : 천체 관측을 대중화한 일식 안경의 원조
30 자이로스코프 : 로켓이 똑바로 날아가게 해 주는 도구

31 전지 : 우주선의 동력
32 필라트르와 다를랑드의 열기구 : 최초의 비행
33 윌리엄 허셜의 12m 망원경 : 당대 최대 규모의 과학 기기
34 분광기 : 별의 구성 물질을 알아내다
35 다게레오타이프 카메라 : 천문학 사진의 시작
36 태양 전지판 : 우주선의 동력
37 파슨스타운의 리바이어던 : 마지막 망원경
38 크룩스관 : 핵입자의 감지와 측정
39 3극 진공관 : 전자공학의 탄생
40 이온 로켓엔진 : 획기적인 추진 장치

41 후커 망원경 : 가장 유명한 망원경
42 로버트 고다드의 로켓 : 최초의 액체 연료 로켓
43 밴더그래프 발전기 : 입자 가속 기술의 시초
44 코로나그래프 : 언제든 관측 가능한 일식
45 잰스키의 회전목마 전파 망원경 : 전파 천문학의 탄생
46 V-2 로켓 : 우주에 띄운 최초의 인공물
47 에니악 : 최초의 현대적 컴퓨터
48 콜로서스 마크 2 : 프로그래밍 가능한 최초의 컴퓨터
49 전파 간섭계 : 우주 관측 방식의 획기적인 발전
50 열 차폐막 : 지구로의 안전한 귀환

51 집적회로 : 우주 탐사를 위한 연산력의 토대
52 원자시계 : 시간을 이용해 우주를 측정하다
53 우주의 고정 장치 : 숨겨진 영웅들
54 수소선 전파 망원경 : 성간 물질의 탐구
55 엑스선 망원경 : 우주를 보는 새로운 창
56 수소 폭탄 : 별빛 뒤에 숨겨진 파괴적인 힘
57 방사성 동위원소 열전기 발전기 : 태양이 없는 곳에서 전기를 얻는 법
58 원자력 로켓엔진 : 더 빠르게 우주로
59 스푸트니크 : 몇 달 만에 끝난 소련의 승리
60 뱅가드 1호 : 가장 오래된 우주 쓰레기

61 루나 3호 : 달의 뒷면을 처음으로 엿보다
62 무한 루프 자기 테이프 레코더 : 우주에서의 데이터 저장
63 레이저 : 새로운 빛으로 보다
64 우주 음식 : 우주 시대의 요리
65 우주복 : 생명을 유지해 주는 제2의 피부
66 신컴 2호와 3호 : 우주의 상용화
67 비디콘 카메라 : 천체의 전자 사진
68 스페이스 블랭킷 : 체온을 조절하는 간단한 방법
69 휴대용 기동 장치 : 우주에서 유영하기
70 아폴로 1호 블록 I 해치 : 우주여행의 위험에 대한 경고

71 인터페이스 메시지 프로세서 : 월드 와이드 웹의 시작
72 핫셀블라드 카메라 : 우주 최초의 셀카
73 아폴로 11호의 월석 : 다른 세계에서 온 최초의 지질학 샘플
74 CCD 이미저 : 필름 없이 찍는 우주의 사진
75 달 레이저 거리 측정 재귀 반사체 : 레이저로 측정한 지구와 달의 거리
76 아폴로 달 텔레비전 카메라 : 달에 첫발을 내딛는 장면을 찍다
77 홈스테이크 금광의 중성미자 검출기 : 최초의 중성미자 검출기
78 루노호트 1호 : 또 다른 세계를 방문한 최초의 로봇
79 스카이랩의 운동용 자전거 : 우주에서 건강을 유지하는 법
80 레이저 지구역학 위성 : 지구의 진짜 모습을 발견하다

81 스무트의 마이크로파 복사계 : 빅뱅 우주론의 확증
82 바이킹호의 샘플 채취용 로봇 팔 : 다른 행성의 표면을 탐사하는 로봇
83 고무 거울 : 적응 광학계를 사용한 망원경
84 다섬유 분광기 : 100개의 은하를 한 번에
85 베네라 착륙선 : 금성 표면의 탐사
86 챌린저호의 파손된 오링 : 사소한 부품이 부른 역사적 참사
87 코스타 : 허블 우주 망원경을 새롭게 바꾼 장치
88 CMOS 센서 : 초정밀 천체 이미지
89 앨런 힐스 운석 : 외계 생명체 탐색의 본격화
90 소저너 : 로봇을 이용한 화성 탐사의 시작

91 중력 탐사선 B : 일반 상대성 이론의 검증
92 라이다 : 인간의 손길이 필요 없는 자동 도킹
93 대형 강입자 충돌기 : 인간이 만든 가장 복잡한 기계
94 케플러 우주 망원경 : 우주에 띄운 세계 최대의 디지털카메라
95 큐리오시티 탐사차 : 우주를 탐사하는 놀라운 로봇
96 화성 궤도선 망갈리안 : 저렴하게 화성 클럽에 가입한 인도
97 3차원 인쇄로 만든 래칫 렌치 : 우주에서 무엇이든 만드는 기술
98 중력파 간섭계 LIGO : 시공간의 물결을 탐색하다
99 이중 소행성 경로 변경 실험 : 소행성 충돌로 인한 멸망을 막는 법
100 제임스 웹 우주 망원경 : 새로운 발견의 시대가 열리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