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전통건축장식의비밀

한국전통건축장식의비밀 2013 문화체육관광부 우수교양도서선정

  • 허균
  • |
  • 대원사
  • |
  • 2013-07-15 출간
  • |
  • 231페이지
  • |
  • ISBN 9788936908171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2013년 문광부 우수교양도서

뜻이나 의도를 표현함에 있어 말과 글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 있으니, 그것은 바로 전통 건축 장식이다. 모든 건축 장식물들은 무엇을 대신하는 것인지 알 수 있게 하는 상징형이며, 겉으로 보여 주는 것 이상의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다. 이 책은 우리 옛 건축물들 속속들이에 장식된 의미와 상징을 낱낱이 짚어본다. 그리고 독자들을 작은것 하나도 허투루 보지 않는 선조들의 세심함에 우선 놀라게 될 것이다. 건축장식, 웅대한 건축물에 비하면 작지만 그 작은 장식 하나에도 강렬하면서도 간절한 기원의 마음과 온갖 정성을 들인 선조들의 지혜가 돋보인다. 무심히 지나쳤던 우리 옛 건축물의 장식물에 대해 관심을 갖고 살펴보게 할 매우 흥미로운 책이다. 


한국 전통 건축 장식,
장구한 역사의 숨결과 아름답고 환상적인 전설의 세계


뜻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중 대표적인 것이 말과 글이다. 그런데 말과 글보다 더 많은 이야기를 함축하고 있는 것이 있으니, 그것은 전통 건축 장식이다. 모든 건축 장식물들은 무엇을 대신하는 것인지 알 수 있게 하는 상징형이며, 겉으로 보여 주는 것 이상의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다. 그 속에는 장구한 역사의 숨결과 아름답고 환상적인 전설의 세계가 펼쳐 있으며, 한국인의 생활 철학과 미의식이 고스란히 투영돼 있다. 전통 건축물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궁궐·사찰·서원·향교 등 유교와 불교 관련 건축물이 있는가 하면, 사색과 휴식을 위한 누각과 정자도 있고, 사대부와 서민들의 생활공간인 기와집과 초가집도 있다. 각 건축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것은 대문·지붕·굴뚝·창호·공포·기둥과 대들보·주춧돌·기단·계단·천장·단청·다리 등인데, 각 곳마다 의미 깊고 아름다운 상징 조형물이 베풀어져 있다. 이들이 보여 주는 다양한 형식과 번다한 명목(名目)은 오랜 역사를 통해 형성된 한국적 생활 철학과 길상 관념, 그리고 장인들의 창조적 지혜와 미의식의 소산이다.

어떤 상징 조형물이 가진 상징적 의미를 정서적으로 교감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베푼 사람과 보는 사람 모두가 그 이전부터 그에 대한 공통된 경험과 인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런데 현대인들은 전통 건축 장식물 제작에 관여한 옛 사람들과, 인식과 경험을 공유하고 있지 못한다. 때문에 장식물이 가진 의미 내용을 명확히 이해하고 교감하기가 쉽지 않은 것이 사실이다. 그렇지만 당시 수요층의 성향과 감상층의 정신세계와 욕망, 그리고 조형적 표현의 상징 체계를 이해한 바탕 위에서 직관과 상상력을 동원한다면 그것은 결코 불가능한 일은 아니다. 이 책은 우리 옛 건축물들 속속들이에 장식된 의미와 상징을 낱낱이 짚어본다. 우리는 이 책을 통해 작은것 하나도 허투루 보지 않는 선조들의 세심함에 우선 놀랄 것이다. 계단의 수평부분인 디딤단은 물론 수직부분인 챌면에까지도 기원과 벽사의 경계를 늦추지 않았다. 또 보이지 않는 다리 밑에도 용두를 설치할 만큼 우리 선조들은 철저했으며, 매사 무엇이든 정성스러웠다. 건축장식, 웅대한 건축물에 비하면 작지만 그 작은 장식 하나에도 강렬하면서도 간절한 기원의 마음과 온갖 정성을 들인 선조들의 지혜가 돋보인다. 무심히 지나쳤던 우리 옛 건축물의 장식물에 대해 관심을 갖고 살펴보게 할 매우 흥미로운 책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대 문
한양 성문에서 처음 만나는 신수(神獸), 도성문의 쌍룡과 봉황
사신인지 사령인지, 궐문 천장 그림
우주 운행 원리와 음양의 이치, 향교문의 태극 도형
삼재가 하나로 혼합된 혼돈, 삼태극
벽사진경의 기원, 민가 대문 장식

지 붕
잡상
-외우기 어려운 잡상 이름
-이름만큼 다양한 생김새
-위의를 높이는 길상 벽사의 첨병들
-원숭이를 빼닮은 손행자
-건물 등급에 따라 수를 달리하는 잡상
-중국의 잡상

용마루 짐승
-척수(脊獸)의 신비한 내력
-한국 고대의 치미
-설이 분분한 치미의 정체
-왕권의 상징이기도 했던 치미
-취두의 정체

보주(寶珠)와 풍경(風磬)
-사찰 법당 장식의 절정, 보주
-청량한 소리와 공예미의 오묘한 결합, 풍경

용두·토수(吐首)
-내림마루 끝에 붙은 벽사의 사자(使者), 용두
-지붕을 날개 삼아 날아오를 듯한 추녀 끝의 토수

합각 장식
-건강·안락·길상의 기원, 궁궐 합각 장식
-불전 합각의 장식 문양
-황제의 위의를 높이는 침전 합각 장식
-감상적 취향, 민가 합각 장식

현어(懸魚), 지네철, 절병통, 방초정
-방화·위엄·청렴의 상징, 현어
-기능과 장식 사이, 지네철
-기능과 장식과 길상, 절병통
-아름다운 못, 방초정

문양 기와
-왕의 권위와 전각의 위상, 용
-최고의 상서와 길상의 화신, 봉황
-용맹하고 두려운 존재, 사자
-환상적 경사의 전조(前兆), 가릉빈가
-행복의 상징, 박쥐
-청정 미묘한 불법 진리와 극락 화생, 연꽃
-연꽃의 화려한 변신, 보상화문
-요염하지 않은 유교 군자의 풍모, 연꽃
-넘치는 생동감·풍부한 풍격·우아한 선미(線美), 당초문
-기와에 새겨진 의문의 인면
-허공을 나는 매혹적인 천녀, 비천
-귀(鬼)의 힘을 빌려 사악함을 물리치는 귀면
-함축된 길상 문구, 문자 문양
-모든 법계의 에너지와 성음(聖音)의 함축, 옴자 문양
-혼돈의 소용돌이, 파문(巴紋)

굴 뚝
최고 수준의 의장(意匠), 궁궐 굴뚝
환경미술의 걸작, 아미산 굴뚝
장수와 길상의 염원, 십장생 굴뚝
오복·길상 그리고 교훈, 희정당 굴뚝
선계(仙界) 동물의 집합, 대조전 굴뚝
문자와 그림의 환상적 조화, 청향각 굴뚝
황제를 위한 장수 기원, 낙선재 굴뚝
한국적 미감, 민가·사찰 굴뚝

창 호
장살과 동살의 짜임, 띠살문
‘卍’자·‘亞’자·‘用’자문
격자문·거북살문
꽃살문

공 포
용과 호랑이, 그리고 봉황
종교적 상징과 세속적 기원

기둥과 대들보
반야용선의 선수(船首), 법당 앞 기둥의 용
또 하나의 법당 장엄 기법, 대들보 장식

주춧돌
미화 욕구와 세속적 욕구의 결합, 민가 대문의 주춧돌
순정미 속의 불심, 불법의 표징

기 단
지상에 구현한 우주 모형, 궁궐 월대의 사신과 십이지상
연화석 위에 앉은 새끼 딸린 사자 부부
축대 연꽃이 불전을 극락정토로 만들다
불성의 바다로 탈바꿈시킨 축대의 게와 자라
도동서원의 아름다운 축대

계 단
궁궐을 지키는 용맹한 신수, 계단의 동물상
왕실 번영과 이상 정치의 상징, 답도의 봉황과 용
요·순의 상서, 답도의 서초
권위롭고 신령스러운 기운, 계단의 구름 문양
연꽃을 밟고 극락으로, 연화칠보교의 연꽃
법당에 울려 퍼지는 범음(梵音), 법당 계단의 가릉빈가
도량을 청정하게, 계단의 귀면
우주 상징 도형, 계단의 삼태극
궁궐 나무 계단의 소박한 꽃 문양

천 장
천하 중심에 군림하는 왕의 상징, 정전 천장의 운룡
궁궐 천장 중앙의 봉황
장수와 행복의 기원, 문자 문양
처음 용이 나타날 때 등장한 기룡
길상 문양의 보고, 상량정
공간적 부피로 체험되는 상징 공간, 법당 천장
천장에 구현된 우주, 무덤 천장의 별자리

당가와 수미단
궁궐 장엄의 절정, 당가(唐家)
신실(神室)과 황제릉의 침전 장식
수미단의 신이한 상징 세계
환상과 장엄, 천개(天蓋)

단 청
우주의 기본 요소와 운행 원리, 단청의 색
선과 색의 오묘한 조화
단청의 종류
휘황찬란한 채색, 휘
아름답고 다양한 단청 문양
사찰 단청
단청에 담긴 한국적 미감

다 리
정전 진입로를 수호하는 금천교의 신수들
화(禍)를 물리치고 재화를 지키는 영제교의 천록
사귀의 사찰 진입을 막는 사찰 다리 밑의 용두

참고문헌

저자소개

저자: 허균
허균은 사대부들이 누렸던 누정 생활의 풍류를 이해하기 위해 지난 수년 동안 전국에 있는 수많은 누정을 유람했다. 청명한 달밤, 안개 낀 아침이나 눈비 오는 날에도 누정에 올라 옛 풍류객들의 마음자리를 찾아 서성이며, 누정을 통해 옛사람들의 생활철학이나 윤리관, 현실적 욕망을 읽어냈다.
홍익대학원 미학미술사학과 문학석사 학위를 받았다.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편수연구원, 우리문화연구원장, 문화재청 문화재전문위원, 문화재감정위원ㆍ심사평가위원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민예미술연구소장으로 활동하면서 한국 전통문화에 담긴 의식과 철학을 고찰하고 있다.
저서로 『사찰 장식, 그 빛나는 상징의 세계』(제41회 한국백상출판문화상 기획부문 수상), 『십이지의 문화사』를 비롯하여, 『전통 문양』, 『전통미술의 소재와 상징』, 『한국의 정원, 선비가 거닐던 세계』(독일 프랑크푸르트 북페어 한국을 대표하는 책 100선), 『한국의 누와 정』, 『뜻으로 풀어 본 우리의 옛 그림』, 『허균의 우리 민화 읽기』, 『사찰 100美 100選』(제15회 불교언론문화상 출판부문 최우수상), 『사찰 장식의 善과 美』, 『서울의 고궁 산책』, 『불전사물(佛前四物)』, 『궁궐 장식-조선 왕조의 이상과 위엄을 상징하다』 등이 있다. 또한 논문으로는 「한국인의 미의식과 그 표현의 특질」, 「민화에 나타난 서민 정서」, 「조선 후기 민화의 유행 배경과 향유 실태」, 「일월오악도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시고」 등 다수가 있다.
 

도서소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