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차별적 이미지 범람 시대, 상상의 힘을 어떻게 선용할 것인가
‘스피노자 × 페미니즘’에서 답을 찾다
‘상상(imagination)’은 허구에 그치지 않는다. 여성과 남성의 성적 차이는 특정 이미지로 상상되며, 이때 상상은 여성과 남성의 실제 삶에 각기 다른 영향을 미친다. 즉 상상은 물질적이고 사회적이며, 고로 정치적이다. 사회·정치 철학을 탐구하면서 페미니즘을 연구하는 모이라 게이튼스가 현재 사회의 상상계와 상상 메커니즘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이유가 여기 있다.
이 책은 스피노자의 이미지, 상상, 허구 개념 등을 현대적으로 독해해 국제적으로 주목받은 게이튼스의 사상을 요약 소개한다. 스피노자의 상상 개념을 새롭게 해석·확장하고, 여성에 대한 특정 이미지가 수치심 등의 정서와 결합하는 방식을 밝히며, 지금 사회에 파다한 성차별적 상상을 재구성할 가능성을 궁구한다. 차별적이고 편향적인 이미지들을 불식하고 대안적 상상계를 건설할 수 있는 실마리를 제시한다.
모이라 게이튼스(Moira Gatens, 1954∼ )
호주의 철학자. 시드니대학교 철학과 교수. 주된 연구 분야는 사회·정치 철학과 페미니즘이다. 스피노자의 이미지, 상상, 허구 개념 등을 재해석한 것으로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다. 철학과 페미니즘의 관계, 신체 철학, 제도와 이를 체현하는 개인, 권리와 규범 이론 등 다양한 주제로 연구 성과를 냈다. 현재 조지 엘리엇의 문학과 비문학에 대한 혁신적 해석에 기반해 실천으로서 철학을 다시 개념화하는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페미니즘과 철학: 차이와 평등에 관한 관점≫(1991), ≪상상적 신체: 윤리학, 권력, 신체성≫(1996), ≪스피노자의 자유를 향한 험난한 길≫(2011) 그리고 제너비브 로이드와 함께 집필한 ≪집단적 상상: 스피노자, 과거와 현재≫(1999)가 있다. 엮은 책으로 ≪젠더와 제도: 복지, 노동, 시민권≫(1998)과 ≪스피노자에 관한 페미니즘적 해석≫(2009)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