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른 입술은 카퍼스카싱으로 가야 해〉는 캐나다 원주민 보호 구역을 배경으로 일곱 남성의 시선을 통해 삶과 갈등을 그린 2막 희비극이다. 원주민 여성들이 하키 팀 결성을 추진하자 남성들은 이를 남성 권위에 대한 도발로 여겨 반대하는데, 이 과정에서 과거의 동지애를 회복하며 공동체 개선을 위한 연대를 모색한다. 빅 조이는 라디오 방송국 개설을, 재커리는 빵집 운영을 통해 경제 부흥을 꾀하며, 사이먼은 사라진 전통을 되살리려 노력한다. 반면, 폭력적이고 무책임한 빅 조이와 기독교를 강요하는 스푸키처럼 문제를 안은 인물들도 있다. 작품은 희극적 요소를 통해 고통스러운 현실을 극복하려는 의지를 드러내며, 남성들의 갈등과 협력을 통해 공동체의 지속 가능성을 탐구한다.
여성 연대와 전통 회복을 주제로 한 〈레즈 시스터스〉와 짝을 이루는 작품이다. 인물은 일곱 여성에서 일곱 남성으로 바뀌었지만 원주민 보호 구역 와세이치간 힐을 배경으로 한다는 점은 공통이며, 트릭스터 캐릭터인 나나부시가 등장해 극의 분위기를 고조하고 주제를 강화하는 구성 또한 비슷하다. 언뜻 남성 공동체와 권위 회복에 초점을 둔 서사처럼 보인다. 하지만 인디언 소녀가 백인 남성들에게 잔인하게 유린당하고 살해된 일명 “자브니칸 사건”을 극적 갈등의 주요 배경으로 삼아 여성 연대의 필요와 힘을 보여 주고, 여성 하키 팀 결성에 반대하던 남성 인물들이 화합해 경기를 응원하는 결말로 나아감으로써 반전된 주제를 제시한다. 제국주의의 희생자이자 피해자였던 원주민 공동체 내에서 누군가는 그 박탈감을 폭력적으로 표출하며 다시 가해자가 된다. 이런 악의 순환을 지켜보는 일은 고통스럽고 절망적이다. 하지만 톰슨 하이웨이는 이들 공동체에 새로운 생명이 태어나고, 아기의 웃음소리와 함께 막을 닫으며 가느다란 희망의 빛줄기를 내린다.
유머와 진지함이 어우러진 이 작품은 원주민 문화와 현실을 알리고, 관객과의 소통을 통해 공감을 끌어낸다. 이 극을 통해 하이웨이는 캐나다 연극의 역사를 한 단계 격상시켰다고 평가받는다. 캐나다 최고 연극상인 ‘도라 메이버 부어 어워드’를 수상했고 영국에서 최고의 소수민족 희곡 작품 5선 중 한 편에 선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