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장정일, 작가 (작가탐구)

장정일, 작가 (작가탐구) 43인의 나를 만나다

  • 장정일
  • |
  • 한빛비즈
  • |
  • 2016-02-15 출간
  • |
  • 332페이지
  • |
  • 148 X 210 mm
  • |
  • ISBN 9791157841127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서문: 굿바이 인터뷰

1부 시대를 만나다
‘자기계발’에 속지 마라 _ 문화연구자 이원석
‘진실’에는 ‘진실’이라는 값어치가 있다 _ 일문학자 박유하
참 글 잘 쓰는 요리사 _ 음식칼럼니스트 박찬일
사진은 더욱 ‘생각’이 필요한 매체 _ 사진작가 노순택
이기려면 중간층을 잡아라 _ 정치평론가 고성국
아무것도 못 하는 세상, 웃어나 보자 _ 희곡작가 오세혁
청순가련 소녀에서 순진열렬한 소녀로 _ 영문학자 한지희
지금도 가족은 가능한가? _ 극작가 박근형

2부 교양을 만나다
만화는 ‘예술’이 되면서 망했어요 _ 만화가 최규석
시가 된 나무, 나무가 된 시 _ 나무칼럼니스트 고규홍
영화의 타고난 본성은 미혹 _ 영화저널리스트 김혜리
불확실성은 삶의 본질, 확 벌거벗고 두려움과 맞서자 _ 칼럼니스트 김어준
우리나라 명품 열기는 문화 콤플렉스 _ 사진작가 윤광준
이 시대는 욕망만 넘실대는 황색여관 _ 희곡작가 이강백
남녀를 넘어 인간으로 만나기 위해 _ 소설가 이경자
예술과 투자 상품의 경계에 선 미술 _ 큐레이터 정윤아
이 길 끝나는 곳에 한국 연극의 희망이 _ 연극평론가 안치운
무서운 영화는 없다 _ 영화문학연구자 백문임
마음의 화火를 태우고, 세상의 원願을 담아 쓰다 _ 극작가 선욱현
45억 년 켜켜이 쌓인 지구의 비밀을 캔다 _ 지구물리학자 이상묵
강산만이 아니라 사람의 마음마저 크게 바뀌었다 _ 기업인 모모세 타다시
‘그림의 떡’ 맛본 그림치의 행복 _ 칼럼니스트 이충렬
바흐도 모차르트도 아닌 ‘베토벤 바이러스’인 까닭 _ 바이올리니스트 최은규
오르가슴 없는 자, 정치하지 마라 _ 미학자 이희원
다인종 사회 꿈꾸는 유쾌한 에트랑제 _ 방송인 이다 도시

3부 인문학을 만나다
역사는 거울, 흐릿하게 먼 길을 비추는 _ 역사학자 김범
조선은 은둔의 나라가 아니었다 _ 한국문학연구자 존 프랭클
적을 만들지 않는 이상주의자, 오바마 _ 방송기자 박성래
진정한 보수주의자 맹자를 읽다 _ 동양철학자 이혜경
프랑스 과거사 청산의 신화를 벗기다 _ 서양사학자 이용우
인도, 신비의 베일을 벗고 ‘천의 얼굴’을 드러내다 _ 인도사연구가 이옥순
철학·문학·영화, 경계를 가로지르는 저술가 _ 자유저술가 김용규
눈물 많은 경제학자의 암울한 묵시록 _ 생태경제학자 우석훈
소 ‘몰던’ 세종, 소 ‘끌던’ 정조 _ 정치학자 박현모
돈에 대해 알고 싶은가? 도스토예프스키를 읽으라 _ 러시아문학연구자 석영중
박사 실업자, ‘공부 귀신’ 여두목 되다 _ 고전평론가 고미숙
거리의 학문 복원시킨 ‘미신업계 박사’ _ 강호동양학자 조용헌
다산을 ‘실학의 호리병’에 가두지 마라 _ 국문학자 백민정
식민지 조선 안에 또 다른 식민지 _ 문학자 이혜령
꿈, 진정한 자아를 비추는 거울 _ 신화학자 고혜경
민족주의 부추기는 ‘국사’에서 벗어나야 _ 역사에세이스트 김기협
식민 사학이 현재 한국 고대 사학계의 주류 _ 한국고대사학자 이희진
‘손에 동전 한 푼 없다’ 징징거린 조선 양반들 _ 역사학자 하영휘

장정일에게 묻는다: 내가 만난 작가가 모두 내가 되고 싶은 사람들

도서소개

장정일, 43인의 독讀선생을 모시고
서평 문학 최고의 맛을 선사하다


독자들이 궁금해 하는 작가들이 있다. 닮고 싶다는 바람을 넘어 ‘이렇게 맛깔나게 텍스트를 요리하는 사람이라면 언젠가 꼭 한번 만나보고 싶다’는 욕망을 품게 만드는 이들이다. 지독한 책 읽기와 쉼 없는 독서일기로 서평 문학의 새 지평을 개척하고 있는 작가이자 서평가, 장정일이 그런 애서가들의 로망을 실현했다. ‘책-독자’ 너머에 감춰진 43인의 작가를 인터뷰해 ‘책-저자-독자’의 만남을 완성한 것이다. 『장정일, 작가: 43인의 나를 만나다』는 첨예한 글쓰기이자 서평 문학의 백미진수다. 무려 8년여가 걸린 작업이다. 장정일은 작업을 마치며 다시는 인터뷰를 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마지막 인터뷰이들을 선정한 그의 각오와 원칙이 더욱 궁금해지는 대목이다.

"저자들은 내 서평을 완성시켜 주기 위해 ‘동원’되었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 여기 초대된 저자들은 모두 제가 되고 싶었던 꿈을 이룬 사람들이거나, 제가 바라보는 곳으로 걸어가고 있는 사람들입니다." - 323쪽

장정일은 길들여지지 않은 야생의 작가다. 시인으로 문학계에 등장해 희곡과 소설을 쓰며 장르를 넘나드는 창작을 하는 작가다. 그의 책 읽기도 생존을 위해 먹이를 찾는 야생을 닮았다. 장정일은 작가들의 시시콜콜한 사생활이나 술자리 에피소드에는 관심이 없다. “진짜 독서란 세상을 바라보는 자신만의 눈을 길러주는 일”이라고 거듭 말한다. 따라서 ‘자신의 기준’으로 선정한 작가들을 만나 텍스트 너머에 실존하는 그들의 정신세계를 파헤치는 것이 오롯이 그의 목표가 된다.

화제 작가는 NO
문제 작가, 블루칩 작가를 찾는다


만화가 최규석, 일문학자 박유하, 요리사 박찬일, 정치평론가 고성국……
그리고 극작가와 오디오애호가, 큐레이터, 강호동양학자, 사진작가

『장정일, 작가: 43인의 나를 만나다』에서 장정일은 엄격한 기준에 의해 인터뷰이들을 초대한다. 우선 언론에 도배되는, 이른바 ‘화제의 작가’를 쫓지 않는다. 장정일이 만난 작가들은 자신의 분야에서 명망을 이루기 위해 발버둥치지 않는다. 첫 책을 선보인 신인 작가는 물론 자신의 분야에서 이미 명성을 얻은 작가들도 마찬가지다. 모두 자신의 일과 공부를 신나게 즐기는 이들이다. 학자 또는 평론가라 불리지만 괴짜로 보일 수도 있는 작가들이다. 그들은 예술 혹은 학문의 영역 깊숙한 곳에 자신의 집을 짓는다. 그리고 자신만의 눈으로 세상을 조립하고 해석해 남다른 생각과 이야기를 뿜어낸다.

"제가 옹호하고픈 책은, 우선 지적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책, 그리고 저자가 자신의 역량을 다 쏟아 부은 책입니다." - 325쪽

장정일은 독서를 통해 끊임없이 ‘문제 작가’ 혹은 ‘블루칩 작가’를 발굴해 왔다. 드라마 〈송곳〉의 원작을 쓰고 그린 최규석, 진실의 가치를 화두로 던진 『제국의 위안부』의 박유하, 요리뿐만 아니라 글의 맛까지 낼 줄 아는 요리사 박찬일...... 모두 장정일이 좌면우고하지 않고 자신만의 독서를 통해 만난 작가들이다.

"위안부 문제에 관한 한 어떤 새로운 시각이나 연구도 ‘일본은 나쁜 놈’이라는 사실은 바뀌지 않는다는 역설을 신봉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들은 ‘똑같은 진실이라 하더라도, 어떤 진실에는 값어치가 있고, 어떤 진실에는 값어치가 없다’고 생각한다. 저런 사고 구조로 무장하고 이견을 틀어막는 사람들에게 이렇게 말해 주고 싶다. ‘진실’에는 ‘진실’이라는 값어치가 있다." - 29쪽

교양과 글쓰기의 세계는
생각보다 더 크고 넓다


장정일은 작가들의 살아 있는 목소리를 독자들에게 가감 없이 전달하려 애쓴다. 미처 읽지 못한 행간의 사연, 숨어 잠자던 텍스트를 사람의 숨결로 바꿔보려 한다. 장르에 구애받지도 않는다. 모차르트와 맹자, 세종과 정조, 도스토예프스키를 두루 다룬다. 생태, 다문화, 경제, 예술, 문학 속에 담긴 작가의 지적 삶과 철학을 정조준한다. 편집자와의 대담에서 장정일은 “스스로를 위해 고군분투하는 작가, 그늘에 있는 작가, 상처를 지닌 작가에 끌린다”고 고백했다.

“잘나가는 시인과 소설가들의 목소리는 여러 경로를 통해 접할 수 있지만, 극작가는 있는 듯이 없습니다. 저는 어디서나 대담을 볼 수 있는 소설가와 시인보다, 들리지 않는 그들의 목소리를 전해 주고 싶었습니다.” - 327쪽

장정일에게 작가는, 자신의 사고를 언어와 문서의 형태로 남기는 사람이다. 그러기 위해 자신의 사고와 언어를 끊임없이 갈고 닦는 사람이다. 수많은 애서가를 위해 스스로 인터뷰이를 자청한 바탕에는 그러한 작가 정신이 자리한다. 그림을 사는 안목이 없다는 지인의 질타에 장정일은 말한다.

"나 같은 사람은 표창장 줘야 한다. 부자들은 화가가 가난할 때 도와주지 않다가, ‘떠야’지만 그림을 산다. 부자들은 이렇게 말한다. ‘이름도 없는 네 그림을 사라고? 네 그림이 10억 원이 되면 그때 사지.’ 그러니, 평론가여, 뜨지 못해서 물감도 사지 못하는 화가를 먹여 살리는 사람은 나 같이 돈이 없는 사람들이란 말이다!" - 124쪽

[책속으로 추가]
언어로 사고하는 사람들, 그것을 문서의 형태로 남긴 사람은 다 작가죠. 다시 말해, 작가는 자신의 사고를 언어와 문서의 형태로 남긴 사람, 그러기 위해 사고와 언어를 갈고 닦은 사람입니다. 이것은 작가가 되기 위해 기본적으로 갖추어야 할 사항입니다. 그런 뜻에서 작가는 굉장히 폭넓은 개념이라고 할 수 있고, 오히려 소설가와 시인만을 작가라고 지칭하는 것은 매우 협소한 개념이죠. 늘 말하지만, 한국에는 문학의 자리가 너무 큽니다. 예를 들어, 지하철 스크린 도어를 시로 치장할 수 있는 권리가 자신들에게 당연히 주어진 듯이, 아무렇지도 않게 여기는 시인들이 그렇습니다. 조선시대에 과거를 해서 장원급제하고 벼슬에 오르는 사대부 의식이 그대로 있는 거죠. 그런데 더 재미난 것은, 한국에서 문학 하면 자동적으로 시와 소설을 가리킨다는 거죠. 저는 그걸 ‘장르 피라미드’라고 하는데, 희곡은 그 피라미드의 가장 밑변, 혹은 장르 피라미드의 열외라고까지 할 만큼 소외된 장르입니다. 잘나가는 시인과 소설가들의 목소리는 여러 경로를 통해 접할 수 있지만, 극작가는 있는 듯이 없습니다. 저는 어디서나 대담을 볼 수 있는 소설가와 시인보다, 들리지 않는 그들의 목소리를 전해 주고 싶었습니다. - 「장정일에게 묻는다: 내가 만난 작가가 모두 내가 되고 싶은 사람들」 중에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