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방이 이토록 많이 잡아먹히는 것은, 이들이 다양한 무늬와 색상을 갖추는 동기가 되었다. 놀라운 위장 능력을 지닌 ‘메르베유 뒤 주르’처럼, 다양한 나방이 부러진 막대기(둥근무늬재주나방, 썩은밤나방), 새똥(한자나방, 그을린양탄자나방), 말벌(유럽말벌나방) 또는 다른 포식자(큰눈박각시나방, 애황제나방)의 모습으로 의태한다. 나방의 날개에 색을 입히는 비늘은 박쥐의 초음파를 흡수하거나 분산시켜 위치가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매일 밤 우리 머리 위에서는 자연의 군비확장 경쟁이 벌어진다.(한국의 독자들에게, 12쪽)
자연은 모두 연결되어 있다. 내 나방 덫에 나타나는 나방의 종류와 수는 내 이웃 주민이 지난주에 무엇을 했는지에 따라 달라질 수도 있지만, 영겁의 시간과 대륙의 작용이 얽혔을 수도 있다. 자연의 일부에 울타리를 쳐놓고 번성하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아니, 그 조각이 생존하기를 바라는 것조차 힘들 것이다. 이러한 깨달음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해졌다.(들어가는 글, 51쪽)
나방이 벌을 떨쳐내려고 발버둥 치자 둘은 함께 테이블 위를 구르다가 밑으로 떨어졌다. 떨어진 충격으로 나방은 잠시 휴식을 취하려 했지만, 벌은 순식간에 공격을 가했다. 벌의 찌르기 공격에 나방의 저항이 점점 약해졌고, 독소가 작용하자 싸움은 일방적인 양상으로 빠르게 전환되었다. 이윽고 벌은 나방의 날개와 다리를 여유 있게 물어뜯고는 지방과 단백질이 가득한 몸통만을 물고 집으로 돌아갔다. 단단한 턱으로 나방의 매끈한 몸통을 움켜쥐고 날아가는 벌의 몸은, 거친 몸싸움 중에 나방의 날개에서 떨어진 은빛 비늘로 반짝이고 있었다. 나는 버려진 나방의 부속물이 마구 흐트러진 테라스에서 멍하니 그 모습을 바라보고 있었다.(3장, 151쪽)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은 모든 생명이 지속되는 데 필수적이다. 움직일 수 없다면 개체는 새로운 자원을 이용할 수 없을 것이며, 개체군은 성장할 수 없고, 군집은 다양화할 수 없다. 땅은 불모지가 될 것이다. 따개비, 산호, 지의류처럼 보통은 움직이지 않는다고 여겨지는 유기체조차 이동할 수단이 있다. 식물은 한곳에 뿌리를 내리고 움직이지 않는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어느 시점에는 움직일 수 있고 또 움직여야만 한다. 생애주기 중 이동이 필수적인 단계가 있으니 말이다. 모체의 나무 그늘에 떨어진 씨앗은 빛과 물, 영양분에 굶주릴 수밖에 없으며, 부모 식물이 유인하는 초식동물과 질병의 먹이가 될 것이다. (6장, 272쪽)
멸종은 분명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중요한 것은 개체군에서 개체의 죽음이 발생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멸종이 발생하는 속도다. 화석을 통한 연구에서 산출한 일반적인 멸종 속도와 지금 추세를 비교하면, 현재 멸종은 100~1000배 정도 빠르게 일어나고 있으며, 아마 실제 수치는 최대 범위에 가까울 (또는 그 이상일) 것으로 생각된다. 코로나19 팬데믹이 절정에 이르렀을 때, 영국의 사망률은 평소의 두 배였다. 이 수가 1000배로 증가했다면 어땠을지 상상해보자. 우리가 종의 멸종에서 보고 있는 게 바로 그것이다. (8장, 375쪽)
대구 개체군 일부는 성체의 몸길이가 절반으로 줄었다. 인간이 큰 개체를 어획한다는 것은, 성장에 더 많은 에너지를 할당할 경우 번식의 기회를 완전히 잃어버릴 위험이 높아진다는 뜻이기 때문이다. 그 결과, 개체군의 대구는 더 어린 나이에 번식하기 시작했다. 암컷은 성장이 아닌 난소 조직 발달에 더 많은 에너지를 할당해, 크기가 작아지는 대신에 더 높은 번식력을 갖추게 되었다. 물론 몸집이 더 크면 더 많은 알을 낳을 수 있다. 실제로 몸집이 더 큰 대구가 더 많은 알을 낳는다. 그러나 알을 낳을 기회를 얻기 전에 죽음을 맞는다면, 성장에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9장, 392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