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이나 조직의 리더와 관리자에게 영감을 주는 혁신적인 리더십 모델
나선 역학 모델은 사람, 조직, 사회의 진화적 발전을 설명하는 모델이자 언어로서 사람들 간의 상호작용을 매핑하고 이해하는 새로운 방식이다. 사람과 문화의 다양한 가치 체계(원동력, 세계관, 생활 규칙 등)를 구분하며 사람과 환경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가 어떤 단계를 거치는지에 대한 설명이다. 나선 역학 모델을 활용하면 진화의 변화를 주도하는 숨겨진 코드를 밝혀낼 수 있는데, 이 모델은 클레어 그레이브스가 주창한 것으로 처음의 명칭은 “성인의 생물심리사회 체계 발달에 관한 창발적이고 순환적인 이중-나선 모델”이었다. 그레이브스가 사망하고 10년이 지난 후에 그의 충실한 지지자였던 벡과 코완이 그의 이론을 ‘나선 역학(Spiral Dynamics)’이라는 확장된 새로운 모습으로 소개했다. 벡과 코완은 나선 역학 모델을 활용하여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인종 문제 해결과 다양한 산업을 위한 조직 및 마케팅 시스템을 설계하고, 지역 사회, 교육 및 전문기관, 스포츠 프로그램 등을 활성화하는 데 기여했다. 이 모델은 동서양의 심리학과 과학, 문화 심리를 체계적으로 통합한 켄 윌버의 통합적 발달심리학으로 이어진다.
인간의 발달은 삶의 조건과 가치 체계 사이의 ‘춤’
인간의 본성은 사회적 환경과 생존의 조건이 변하면서 새로운 사회적 자아의식의 적응 체계를 마련해간다. 새로운 적응 체계나 수준이 활성화될 때 우리는 그러한 새로운 환경과 삶의 조건에 적응하기 위한 기존의 사회적 심리와 생존/실존의식, 삶의 규칙을 변화시킨다. 인간의 심리적 발달은 개인의 생존/실존적 문제가 변함에 따라 낮은 수준의 오래된 행동체계에서 보다 새로운 수준의 상위체계로 점진적으로 오르락내리락하면서 변화해가는, 나선형의 소용돌이 과정이다.
가령 개인으로서 우리는 삶의 단계와 환경에 따라 다양한 발달 단계에서 사고하고 행동한다. 직장을 잃으면 나선 역학 모델의 빨간색 시스템의 사고와 행동이 떠오를 수 있고, 관리자로부터 진지하고 고무적인 피드백과 인정을 받으면 초록색의 가치 체계로 나아가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나선 역학 모델의 의도는 어떤 단계가 다른 단계보다 낫다고 말하는 데 있지 않다. 각 단계의 가치 체계는 적절한 환경에서 고유한 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이 모델을 사용하는 목적은 사람들의 생각과 행동을 이끄는 원동력이 무엇인지, 다른 사람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할 수 있는지, 우리의 가치가 각 단계와 어떻게 관련되는지, 다양한 조직 환경을 어떻게 이해하고 관련시킬 수 있는지, 그리고 중요한 것은 우리가 추구하는 목표가 다른 사람 또는 조직이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에 적합한지 이해하는 데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