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하루를 안온히 마칩니다
언제나 응원합니다
따뜻하게 살아가세요
“누군가의 별일 없냐는 물음에 마냥 별일 없다고
대답할 수 있다는 것은 분명 적잖은 축복이지 않을까 싶다.
참 다행이지 않은가. 근간의 일상 안에서 아무런 사건 사고 없이
무던히 지낼 수 있었다는 사실이 말이다.”
누군가의 별일 없냐는 물음에 별일 없다고 대답할 수 있는 일상은 적잖은 축복이라고 이야기하며 무색하게 흘러가는 시간이라도 그 안에서 의미를 찾고 생각하기 나름이라고 말하는 작가 이정영의 두 번째 에세이가 나왔다.
《그렇게 무던히 고요해지고 싶어》에서는 모두가 행복했으면 하는 마음, 조금은 덜 힘들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따뜻한 온기를 가지고 있는 동물과 식물, 익숙한 공간과 일상의 거리에서 느끼는 작가만의 담담한 시선과 위로를 담아내고 있다.
우리는 매사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고 있다. 관계는 반드시 사람과의 관계만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따듯한 온기를 가지고 있는 나무와 공기, 하늘, 햇살, 바람, 익숙한 공간과 거리, 사랑하는 모든 것에 모든 삶이 관계이다. 그런 관계에 대해 이정영 작가의 따뜻하지만, 때론 담담한 시선을 담아 조금은 지치고 감정을 잊어버린 우리에게 위로와 힐링을 선사한다.
우리, 그래도 빛이 나고 있다고
그러니 오늘도 다정하게 보내요
“너는 뭐 좋아하는데?”라며 친구가 내게 물었다.
“나는 뭐, 밤에 아이스크림 먹으면서 산책하기?
이런 거 좋아하지. 그런 거 말곤 딱히 없어 나도.”
“그래? 소박하네.”
“소박하지.”
《그렇게 무던히 고요해지고 싶어》는 작가의 다양한 관계의 모습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다. 익숙한 냄새와 추억으로 가득한 공간과 사랑하는 거리와의 관계, 사랑하는 엄마와의 추억 사랑하는 반려묘 ‘겨울이’와의 관계 등 모든 관계는 삶의 기록이다.
우리의 삶도 비슷한 모습으로 움직이고 있지 않을까? 작가만의 감성이 특별한 것이 아닌 우리가 잊고 지낸 사람과 공간, 시간과 냄새, 소리, 공기까지 그것을 느끼지 못하고 그저 지나쳐버린 것은 아닐까?
이 책의 이정영 작가는 일상의 모든 것이 그렇게 무던히 고요해지고 또 지나가더라도 변화 없이 제자리라고 하더라도 누구나의 인생은 빛나고 있고, 또 빛날 것이며 아름답다고 이야기한다. 그는 이 책에서 오늘 하루를 지키며 지내 온 그대에게 또 한 번의 위로와 힐링을 전하며 응원과 희망을 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