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북학의(완역정본)

북학의(완역정본)

  • 박제가
  • |
  • 돌베개
  • |
  • 2013-07-08 출간
  • |
  • 544페이지
  • |
  • ISBN 9788971995525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8,000원

즉시할인가

25,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책머리에
차례
일러두기

자서自序
북학의서_박지원
북학의서_서명응

북학의 내편 北學議 內編

수레 / 배 / 성 / 벽돌 / 기와 / 자기 / 삿자리 / 주택 / 창호 / 뜰 / 도로 / 교량 / 목축 / 소 / 말 / 나귀 / 안장 / 구유통 / 시장과 우물 / 장사 / 은 / 화폐 / 철 / 목재 / 여자의 의복 / 연극 / 중국어 / 통역 / 약 / 장 / 인장 / 담요 / 저보 / 종이 / 활 / 총과 화살 / 자 / 문방구 / 골동품과 서화 / 방아공이

북학의 외편 北學議 外編

밭 / 똥거름 / 뽕과 과일 / 농업과 잠업에 대한 총-작두와 착유기의 제작 방법 / [부록] 이희경의 「농기도서」 / [부록] 용미차설 / 과거론 1 / 과거론 2 / [부록] 정유년 증광시에서 제출한 시사책 / 북학변 1 / 북학변 2 / 북학변 3 / 관직과 녹봉 / 재부론 / 강남 절강 상선과의 통상론 / 장지론 / 병론 / 존주론 / 병오년 정월에 올린 소회

진상본 북학의 進上本 北學議

『북학의』를 임금님께 올리며 / 수레 / 밭 / 똥거름 / 뽕 / 농기구 / 철 / 볍씨 / 곡식의 이름 / 지리 / 논 / 수리 / 전업 농부 / 구전 / 모내기 / 고구마 심기 / 말단의 이익 / 유생의 도태 / 둔전에 드는 비용 / 하천의 준설 / 창고 쌓기 / 배 / [부록] 노하운선기 / ‘오행을 잃고 버렸다’는 데 대한 생각 / 번지와 허행 / 장생불사의 방법 / 농업과 잠업에 대한 총론 / 재부론 / 강남 절강 상선과의 통상론 / 존주론

輯校(標點) 北學議

北學議 內編
北學議 外編
進上本 北學議

해제
박제가 연보
찾아보기

도서소개

최초의 원문 교감과 역주를 통해 완성된 완역 정본 《북학의》! 완역 정본 『북학의』. 《북학의》는 조선의 경장을 꿈꾼 18세기 후반의 사상가 박제가의 저술이다. 선진적인 중국의 문물을 배워서 부국강병을 이루자는 주장을 담고 있다고 알려진 이 책은, 위기에 봉착한 조선 사회의 현실에 대한 통렬한 분석과 자기부정을 통해 미래를 설계하고자 한 뼈아픈 자각과 통찰의 저작이다. 이번 완역 정본은 20여 종의 사본을 교감하고 주해하는 작업을 거쳐 탄생한, 말 그대로 ‘정본’이다. 이 책의 교감과 번역, 주석 작업을 한 안대회 교수는 국내는 물론 일본과 미국 등에 흩어져 있는 국외의 이본들을 모두 수집하여 교감 과정을 거쳐 정본을 만들고, 완역 작업을 이루었다.
최초의 원문 교감 작업을 통해 탄생한
완역 정본 『북학의』

『북학의』(北學議)는 조선의 경장(更張)을 꿈꾼 18세기 후반의 사상가 박제가(朴齊家, 1750~1805)의 저술이다. 이 책은 선진적인 중국의 문물을 배워서 부국강병을 이루자는 주장을 담고 있다고 알려졌으나 그렇게 단순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없다. 위기에 봉착한 조선 사회의 현실에 대한 통렬한 분석과 자기부정을 통해 미래를 설계하고자한 뼈아픈 자각과 통찰의 저작이기때문이다.

『북학의』는 출간되지 않은 채 필사본으로 널리 읽혔다. 현재까지 알려진 사본의 수는 대략 20여 종을 웃돈다. 비교적 조선의 대표적 글이라고 일컬어지는 『북학의』조차도 이제껏 원문 교감 작업은 이루어진 적이 없었다. 『완역 정본 북학의』는 20여 종의 사본을 교감하고 주해하는 작업을 거쳐 탄생한, 말 그대로 ‘정본’(定本)이다. 이 책의 교감과 번역, 주석 작업을 한 안대회 교수(성균관대 한문학과)는 국내는 물론 일본과 미국 등에 흩어져 있는 국외의 이본들을 모두 수집하여 교감 과정을 거쳐 정본을 만들고, 완역 작업을 이루었다. 『북학의』의 제대로 된 완역은 이 책이 최초이다.

개혁과 개방의 열린사회를 꿈꾸다!
초정 박제가의 『북학의』

『북학의』(北學議)는 이름 그대로 풀이하면 북쪽을 배우자는 논의다. 『북학의』는 결국 조선의 학자가 문화가 발달한 중국에 가서 선진문물을 배우자는 주장을 담고 있다. 실제로 『북학의』에는 “중국을 배워야 한다”(學中國)는 언급이 20번쯤 나온다. 문제 해결의 열쇠를 중국 문화와 기술의 학습으로 환원하는 느낌이 들 정도다. 과도한 점은 있으나 박제가는 당시 조선의 문화 수준과 기술 상태가 남에게 배우지 않고는 세계 수준에 도달할 수 없다고 보았다.
반드시 ‘중국’이어야 할 이유는 없었다. 『북학의』를 보면, 박제가가 배워야 할 대상으로 일본의 제도와 기술의 선진성을 여러 차례 언급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게 보면, 박제가의 북학론은 중국 문물의 맹목적 수용을 의미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세계로 향해 문호를 열어 우리보다 나은 문화와 제도와 기술을 배워서 부국강병과 윤택한 생활을 성취하자는 것이다. 박제가는 “중국의 배하고만 통상하고 해외의 많은 나라와는 통상하지 않는다고 했는데 이것은 임시변통하는 책략에 불과하고 정론(定論)은 아니다. 국력이 조금 강성해지고 백성들의 생업이 안정을 얻은 상황에 이르면 마땅히 차례대로 다른 나라와도 통상을 맺어야 한다”(외편, 「강남 절강 상선과의 통상론」)라고 하여, 중국과 일본은 학습과 개방과 통상의 1차 목표이고 궁극의 목표는 전 세계로 확장하는 데 있음을 밝혔다.
박제가는 국제정세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서양 제국주의가 세력을 확장하는 시기에 국제적이고 역사적인 관점에서 조선이 당면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제국주의의 강압에 의해 개방되기 훨씬 이전에 주체적인 개방을 통해 스스로를 지키자고 웅변적으로 주장한 것이다.

『북학의』는 1778년 연행에서 돌아온 뒤 집필된 것으로, 박제가의 나이 겨우 29세의 저술이다. ‘외편’이 대략 완성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1782년 어름으로 계산해도 33세에 불과하다. 패기만만한 젊은 시절의 저서이다. 사상적 순수성과 열정을 간직한 시기에 18세기의 가장 위대한 사상서의 하나를 완성한 것이다. 이는 박제가 자신의 학문적 능력과 열정의 산물이기도 하지만 홍대용과 박지원, 이덕무와 성대중을 비롯한 동시대 학계의 지적 역량의 총화다.
한편으로, 『북학의』의 출현은 토정 이지함 이래 유몽인, 김신국과 같은 북인(北人) 경세 사상가로부터 면면히 이어져 온 상업과 유통을 중시한 학문적 토양에서 배양되었다. 박제가가 속한 소북(小北) 당파의 학문적 자산을 박제가는 가장 극적으로 되살려냈다.

『북학의』(北學議)의 현대적 가치

『북학의』는 조선시대에 쓰인 많은 저술들과 비교하면 저술의 패러다임 자체가 다르다. 변화에 대한 강렬한 욕구와 개혁의 논리가 책 속에 담겨 있다. 사변적이거나 현학적이지 않으며, 직선적으로 또렷하게 자신의 소견을 표출했다.
『북학의』는 첫대목을 읽으면 옛날의 기술책을 보는 듯한 인상을 받는다. 또 조선의 현황을 지나치게 낮추어 보는 반면에 중국과 일본, 서양의 수준을 지나치게 추켜세우는 태도가 거슬리기도 한다. 우리말을 버리고 중국어를 공용어로 쓰자는 주장에 이르러서는 주체성을 의심받기도 한다. 그러나 조선의 부국강병과 민생 향상, 개인의 인간다운 삶을 설계하고자 하는 충정이 그 밑바탕에 깔려 있다. 설정한 목표를 실현하려는 사유의 깊이와 분석의 예리함은 그가 살던 시대의 굴레를 벗어나 미래를 내다보는 예지를 보여준다.
박제가는 조선 조정에 강력하게 개방을 요구했다. 하지만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