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살았을까? 우리에게 ‘조선’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보통 양반이나 선비의 모습이다. 그러나 조선에는 양반과 선비뿐만 아니라 상인이나 농민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살았다. 그러니까 조선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양반들의 삶뿐만 아니라, 상인과 농민들의 삶도 함께 바라봐야만 한다. 또 양반들의 삶 역시도, 중앙정치에서의 활동만으로는 충분히 이야기될 수 없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실록이나, 『승정원일기』처럼 국가가 편찬한 관찬 기록에서는 이들의 일상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행히도 개인의 일기나 서간집 등 다양한 사적 기록이 발굴됨에 따라 우리는 이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 일기나 서간집을 남긴 사람들이 주로 식자층에 속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한계는 있지만, 그러한 식자층이 자신의 이야기를 남기면서 주변의 이야기도 남겨 왔기에, 우리는 그동안 알기 어려웠던 주변의 삶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생활사총서는 이처럼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들을 따라서 읽어 나가다 보면 우리가 몰랐던 조선 사람들의 삶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과거시험에서의 경쟁력이 서원보다 뒤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조선 정부는 향교를 지방 교육의 발판으로 삼고자 했다. 그런데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것처럼 조선시대의 교육이 관료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수단에 불과했다면, 그러한 노력에는 큰 의미가 없었을 것이다. 물론 서원의 폐단으로 인해 견제할 필요가 있었다고는 하나, 서원에서 교육을 받아 관료가 되는 선비들이 산재한 상황에서 향교에 공을 들이는 것은 언뜻 보기에 불필요해 보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조선 정부의 목적은 어디에 있었을까?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조선 정부가 교육을 인재 양성의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국민 양성의 수단으로서도 생각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향교에는 과연 어떤 사람들이 관계되어 있었을까? 현재에도 그렇듯이, 향교에는 학생인 교생이나 교관뿐 아니라, 향교에 자식들을 보낸 학부모들과 지방관들도 관계되어 있었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향교에 관계된 사람들은 과연 향교에 대해 어떤 생각을 품고 있었을까? 이 책을 통해서 우리는 조선 정부와 사람들이 각각 어떠한 마음으로 향교와 관계를 맺으며 살아갔는지 알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