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살았을까? 우리에게 ‘조선’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보통 양반이나 선비의 모습이다. 그러나 조선에는 양반과 선비뿐만 아니라 상인이나 농민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살았다. 그러니까 조선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양반들의 삶뿐만 아니라, 상인과 농민들의 삶도 함께 바라봐야만 한다. 또 양반들의 삶 역시도, 중앙정치에서의 활동만으로는 충분히 이야기될 수 없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실록이나, 『승정원일기』처럼 국가가 편찬한 관찬 기록에서는 이들의 일상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행히도 개인의 일기나 서간집 등 다양한 사적 기록이 발굴됨에 따라 우리는 이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 일기나 서간집을 남긴 사람들이 주로 식자층에 속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한계는 있지만, 그러한 식자층이 자신의 이야기를 남기면서 주변의 이야기도 남겨 왔기에, 우리는 그동안 알기 어려웠던 주변의 삶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생활사총서는 이처럼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들을 따라서 읽어 나가다 보면 우리가 몰랐던 조선 사람들의 삶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조선 후기 호적대장에 기록된 여성주호, 특히 과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통시대 여성의 역할과 사회적 지위를 탐구한 독창적인 연구서다. 저자는 경상도 단성현의 방대한 호적대장을 바탕으로 과부들이 주호로 등재된 배경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며, 조선시대 가부장제가 강화된 가운데에도 국가 정책의 틈새에서 드러나는 여성들의 역할과 생존 전략을 생생히 보여준다. 환과고독 정책, 호구의 유지, 법적 규정 등 복합적인 요소를 세밀히 조명한 이 책은 조선시대 사회구조와 여성사 연구에 중요한 기여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