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살았을까? 우리에게 ‘조선’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보통 양반이나 선비의 모습이다. 그러나 조선에는 양반과 선비뿐만 아니라 상인이나 농민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살았다. 그러니까 조선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양반들의 삶뿐만 아니라, 상인과 농민들의 삶도 함께 바라봐야만 한다. 또 양반들의 삶 역시도, 중앙정치에서의 활동만으로는 충분히 이야기될 수 없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실록이나, 『승정원일기』처럼 국가가 편찬한 관찬 기록에서는 이들의 일상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행히도 개인의 일기나 서간집 등 다양한 사적 기록이 발굴됨에 따라 우리는 이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 일기나 서간집을 남긴 사람들이 주로 식자층에 속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한계는 있지만, 그러한 식자층이 자신의 이야기를 남기면서 주변의 이야기도 남겨 왔기에, 우리는 그동안 알기 어려웠던 주변의 삶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생활사총서는 이처럼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들을 따라서 읽어 나가다 보면 우리가 몰랐던 조선 사람들의 삶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전통과 현대가 교차하는 섬이라는 독특한 공간에서 펼쳐진 인간의 삶과 지혜를 탐구한다. 저자는 전근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지는 섬의 변화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고문서와 구술자료를 바탕으로 세밀하게 그려냈다. 특히, 섬 주민들이 자연환경을 활용해 삶의 터전을 개척하고, 공동체의 유지를 위해 협력했던 방식은 오늘날에도 큰 교훈을 준다. 장마다 섬의 공간, 이주민의 삶, 그리고 섬 문화의 다양성을 조화롭게 다룬 이 책은 독자들에게 섬을 단순한 지리적 공간이 아닌 역사적, 문화적 맥락 속에서 이해하도록 도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