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살았을까? 우리에게 ‘조선’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보통 양반이나 선비의 모습이다. 그러나 조선에는 양반과 선비뿐만 아니라 상인이나 농민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살았다. 그러니까 조선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양반들의 삶뿐만 아니라, 상인과 농민들의 삶도 함께 바라봐야만 한다. 또 양반들의 삶 역시도, 중앙정치에서의 활동만으로는 충분히 이야기될 수 없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실록이나, 『승정원일기』처럼 국가가 편찬한 관찬 기록에서는 이들의 일상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행히도 개인의 일기나 서간집 등 다양한 사적 기록이 발굴됨에 따라 우리는 이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 일기나 서간집을 남긴 사람들이 주로 식자층에 속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한계는 있지만, 그러한 식자층이 자신의 이야기를 남기면서 주변의 이야기도 남겨 왔기에, 우리는 그동안 알기 어려웠던 주변의 삶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생활사총서는 이처럼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들을 따라서 읽어 나가다 보면 우리가 몰랐던 조선 사람들의 삶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조선시대 노비들의 삶을 실증적으로 탐구하며 전통시대의 일상사를 깊이 있게 조명한다. 이문건의 『묵재일기』라는 귀중한 자료를 토대로, 노비들의 노동, 가족, 질병, 죽음에 이르는 생애 전반을 생생히 그려내고 있다. 특히 노비와 노주 사이의 관계를 통해 당시 사회구조와 권력의 작동 방식을 구체적으로 드러낸 점은 이 책의 큰 강점이다. 노비들의 생존전략은 단순히 억압에 대한 수동적 반응이 아닌, 끊임없이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능동적으로 삶을 개척해 나가는 과정으로 묘사된다. 학술적 깊이와 대중적 흥미를 동시에 갖춘 이 책은 전통시대 한국의 생활사를 이해하고자 하는 독자들에게 귀중한 통찰을 제공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