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살았을까? 우리에게 ‘조선’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보통 양반이나 선비의 모습이다. 그러나 조선에는 양반과 선비뿐만 아니라 상인이나 농민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살았다. 그러니까 조선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양반들의 삶뿐만 아니라, 상인과 농민들의 삶도 함께 바라봐야만 한다. 또 양반들의 삶 역시도, 중앙정치에서의 활동만으로는 충분히 이야기될 수 없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실록이나, 『승정원일기』처럼 국가가 편찬한 관찬 기록에서는 이들의 일상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행히도 개인의 일기나 서간집 등 다양한 사적 기록이 발굴됨에 따라 우리는 이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 일기나 서간집을 남긴 사람들이 주로 식자층에 속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한계는 있지만, 그러한 식자층이 자신의 이야기를 남기면서 주변의 이야기도 남겨 왔기에, 우리는 그동안 알기 어려웠던 주변의 삶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생활사총서는 이처럼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들을 따라서 읽어 나가다 보면 우리가 몰랐던 조선 사람들의 삶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서원에 대해서라면 어느 정도 알고 있다. 사립학교였던 서원의 교육이 공립학교였던 향교보다 관료 배출에 효과적이었다든지, 여러 역할을 하며 지방 사회에 긍정적으로 이바지했던 서원이 시간이 흐르며 점차 지방 양반층들의 이해에 관계되는 집단으로 변모했다든지 하는 것들은 다 교과서에서 가르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러한 서원의 살림이 어떻게 유지되었는지는 잘 알지 못할 것이다. 조선시대에 관청이나 사족 집안 대부분이 그랬듯이, 서원 역시도 살림을 꾸려나가는 데에는 노비들의 역할이 지대했다. 서원의 궂은 일도 노비에 의해서 행해졌으며, 서원의 자산을 증식하는 데도 노비의 역할이 컸을 뿐만 아니라, 노비 그 자신이 서원의 자산이기도 했다. 그렇다면 그러한 서원의 노비들은 어떠한 삶을 살았을까? 그들은 어디에 살고, 어떤 일을 했으며, 어떤 사람들과 가정을 꾸리고 살아갔을까? 그리고 그들은 과연 공노비나 사노비와 어떤 점에서 비슷하고 어떤 점에서 달랐을까? 이 책은 여러 서원의 노비 관련 문서들을 통해서 그러한 노비의 삶을 조명하고자 한다. 서원에 속했던 노비들의 삶을 통해서 우리는 우리가 몰랐던 서원의 모습 또한 알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