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살았을까? 우리에게 ‘조선’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보통 양반이나 선비의 모습이다. 그러나 조선에는 양반과 선비뿐만 아니라 상인이나 농민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살았다. 그러니까 조선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양반들의 삶뿐만 아니라, 상인과 농민들의 삶도 함께 바라봐야만 한다. 또 양반들의 삶 역시도, 중앙정치에서의 활동만으로는 충분히 이야기될 수 없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실록이나, 『승정원일기』처럼 국가가 편찬한 관찬 기록에서는 이들의 일상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행히도 개인의 일기나 서간집 등 다양한 사적 기록이 발굴됨에 따라 우리는 이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 일기나 서간집을 남긴 사람들이 주로 식자층에 속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한계는 있지만, 그러한 식자층이 자신의 이야기를 남기면서 주변의 이야기도 남겨 왔기에, 우리는 그동안 알기 어려웠던 주변의 삶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생활사총서는 이처럼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들을 따라서 읽어 나가다 보면 우리가 몰랐던 조선 사람들의 삶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고려에서 조선 말에 이르기까지 관료 행정을 지원하며, 밖으로 중앙관료·지방수령과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안으로 경제적 이권을 획득해 갔던 경주인의 실체에 대해 살펴본다. 근래에 들어 조선시대 고문서와 일기자료의 발굴로 경주인의 업무와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들이 다수 공개되었고, 저자 최주희 교수는 기존 연구들에서 미처 밝히지 못한 경주인의 존재 양상과 그들의 생활상에 대해 이 글을 통해 소개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2장에서 기존 연구에서 소개된 경주인의 역할을 다양한 자료를 통해 새롭게 조명해 보는 한편, 그간 그 존재가 자세히 거론되지 않았던 경방자의 역할에 대해서도 검토한다. 3장과 4장에서는 대동법 시행 이후 마련된 법 조문과 지방 군현의 재정자료를 분석해 경주인의 경제적 기반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추적한다. 마지막으로 5장에서는 경주인이 19세기 민란의 원흉으로 지목되면서 근대이행기 새로운 생존전략을 모색하게 되는 역사적 경로를 살펴본다. 저자는 이와 같은 작업이 소기의 성과를 거둔다면, 고려와 조선에 걸쳐 장기 지속한 경주인이라는 존재가 관료제의 외곽에서 관료제를 지탱해 온 숨은 주역인 동시에, 19세기 부세 문란의 조종자로서 관료제를 뒤흔든 부패의 온상이었음을 종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게 되리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