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살았을까? 우리에게 ‘조선’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보통 양반이나 선비의 모습이다. 그러나 조선에는 양반과 선비뿐만 아니라 상인이나 농민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살았다. 그러니까 조선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양반들의 삶뿐만 아니라, 상인과 농민들의 삶도 함께 바라봐야만 한다. 또 양반들의 삶 역시도, 중앙정치에서의 활동만으로는 충분히 이야기될 수 없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실록이나, 『승정원일기』처럼 국가가 편찬한 관찬 기록에서는 이들의 일상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행히도 개인의 일기나 서간집 등 다양한 사적 기록이 발굴됨에 따라 우리는 이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 일기나 서간집을 남긴 사람들이 주로 식자층에 속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한계는 있지만, 그러한 식자층이 자신의 이야기를 남기면서 주변의 이야기도 남겨 왔기에, 우리는 그동안 알기 어려웠던 주변의 삶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생활사총서는 이처럼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들을 따라서 읽어 나가다 보면 우리가 몰랐던 조선 사람들의 삶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흔히 조선의 재정에 대해 갖는 현대인들의 인식은 ‘수취’, 더 나쁘게는 ‘수탈’에 치우쳐 있기까지 하다. 한편으로는 세금에 대해 일반적으로 갖는 부담과 같은 부정적인 느낌이 투사된 것일 수도 있겠으나 실제적으로는 조선의 재정이 어떻게 운영되었는지에 대해 자세히 알려진 바가 없다는 것이 현실적인 이유일 것이다.
책에 따르면 최근 정조 연간 부세 총량을 기록한 『부역실총』이 데이터화됨에 정부의 재정 활동이 매우 다양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한다. 즉, 조선의 재정 활동이 단지 수취에 머무르지 않고 어떤 과정으로 재분배되었는지에 대해서도 많은 부분을 밝히게 되었다는 것이다. 그동안 호조의 재정 운영에 대한 책은 많았지만 실제로 그 업무를 수행했던 호조 판서들의 면면을 소개한 책은 없었다. 다시 말해서, 세간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조선의 재정 지출에 대한 내용을, 알려지지 않았던 호조 판서들의 시각에서 전개되어 그 관점이 새로우며 인물의 관점에서 사건을 전개된다는 점에서 이해가 매우 용이하다. 다양한 호조 판서들을 왕대별로 정리하여 대동법과 균역법의 시행으로 재정에 대한 논의가 어떻게 다각화되었는지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