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살았을까? 우리에게 ‘조선’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보통 양반이나 선비의 모습이다. 그러나 조선에는 양반과 선비뿐만 아니라 상인이나 농민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살았다. 그러니까 조선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양반들의 삶뿐만 아니라, 상인과 농민들의 삶도 함께 바라봐야만 한다. 또 양반들의 삶 역시도, 중앙정치에서의 활동만으로는 충분히 이야기될 수 없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실록이나, 『승정원일기』처럼 국가가 편찬한 관찬 기록에서는 이들의 일상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행히도 개인의 일기나 서간집 등 다양한 사적 기록이 발굴됨에 따라 우리는 이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 일기나 서간집을 남긴 사람들이 주로 식자층에 속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한계는 있지만, 그러한 식자층이 자신의 이야기를 남기면서 주변의 이야기도 남겨 왔기에, 우리는 그동안 알기 어려웠던 주변의 삶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생활사총서는 이처럼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들을 따라서 읽어 나가다 보면 우리가 몰랐던 조선 사람들의 삶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 책은 단순히 과거시험의 기록을 나열하는 것을 넘어, 시험의 과정과 결과를 둘러싼 인간적인 이야기와 사회적 맥락을 풍부하게 재현한다. 저자는 세밀한 연구와 유려한 서술로 과거시험을 준비하는 선비들의 모습, 합격을 축하하는 연회, 그리고 민간에서 합격을 기원하며 그린 민화까지 다양한 그림 속에 담긴 시대적 의미를 입체적으로 해석한다. 독자는 이 책을 통해 조선시대 사람들이 공유했던 문화적 열망과 이상을 생생히 느낄 수 있으며, 과거시험이라는 제도가 단지 개인의 출세를 넘어서 당대의 사회적 가치를 반영한 중요한 축이었음을 새롭게 깨닫게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