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사람들은 과연 어떻게 살았을까? 우리에게 ‘조선’이라고 하면 떠오르는 것은 보통 양반이나 선비의 모습이다. 그러나 조선에는 양반과 선비뿐만 아니라 상인이나 농민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살았다. 그러니까 조선 사람들이 어떻게 살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양반들의 삶뿐만 아니라, 상인과 농민들의 삶도 함께 바라봐야만 한다. 또 양반들의 삶 역시도, 중앙정치에서의 활동만으로는 충분히 이야기될 수 없음이 분명하다. 그런데 실록이나, 『승정원일기』처럼 국가가 편찬한 관찬 기록에서는 이들의 일상 모습을 찾아보기 어렵다. 다행히도 개인의 일기나 서간집 등 다양한 사적 기록이 발굴됨에 따라 우리는 이들의 모습을 짐작할 수 있게 되었다. 물론 그 일기나 서간집을 남긴 사람들이 주로 식자층에 속하기 때문에 일정 부분 한계는 있지만, 그러한 식자층이 자신의 이야기를 남기면서 주변의 이야기도 남겨 왔기에, 우리는 그동안 알기 어려웠던 주변의 삶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통생활사총서는 이처럼 조선시대를 살아간 사람들의 삶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 책들을 따라서 읽어 나가다 보면 우리가 몰랐던 조선 사람들의 삶을 짐작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요즘은 글렀다고들 하지만, 한때는 “개천에서 용 난다”라는 말이 통용되던 시절이 있었다. 특히 조선시대 하면 우리가 떠올리는 것 중 하나는 가난한 선비가 열심히 공부하여 결국엔 장원급제하게 되는 이야기이다. 그러나 물론 조선시대에도 용이 되기 위해서는 피나는 노력으로 고단한 시험공부를 거쳐 과거시험에서 좋은 점수를 거둬야만 했다. 이 책은 바로 그처럼 등용문을 올라 용이 되고자 했던 네 사람의 선비에 관한 책이다. 네 선비들은 서로 다른 배경과 서로 다른 전략으로 과거에 응시하였다. 어떤 이는 가문을 일으키고자 했고, 어떤 이는 가문을 유지하고자 했다. 또 어떤 이는 사마시를 거쳐서 문과에 급제한다는 전략을 세우는가 하면, 어떤 이는 사마시를 건너뛰고 문과에 급제한다는 전략을 세웠고, 어떤 이는 자신의 재능을 빛낼 수 있는 시험을 위주로 치르기도 했다. 그리고 그 판이한 배경과 목적처럼, 그들의 과거 응시 결과 역시 각기 달랐다. 조선시대 선비들은 과연 어떤 배경을 가졌고, 어떤 전략으로 응시했으며, 그 전략은 어떻게 작용했을까? 이 책을 통해 우리는 용이 되고자 했던 선비들의 이야기를 전해 들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