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도 지금 새로운 시작이야. 지금은 결국 똑같은 출발선에 서 있는 거니까!. 그러니 내가 이 우주의 마지막 퍼즐임을 발견한다면, 우주도 나를 환대할 거야!”
10년간의 단상들을 모아 에세이로 엮었다. 정확히 말하자면 일상의 박력에서 포기하기 어려워 건져낸 순간의 생각들을 다시 경험과 조합한 일종의 퍼즐 맞춤의 결과물이다. 우리는 자기만의 일상을 살지만 지금이 추억이 된다는 사실을 잊고 살아간다. 나 역시 뒤돌아보면 너무나 빈약한 일상에서 깨닫는 것만이 현재의 자원이 된다는 걸 새삼 알게 된다. 그래서 지금 가장 시급하게 갈망해야 하는 건 어쩌면 깨달음일지 모른다.
책은 축적된 일상의 가려진 면을 살펴 갈무리됐던 이면을 찾아 드러낸다. 오래된 추억마저 자기 들여다보기를 통해 지금에 가려진 의미를 찾아 담는다. 결국 자신의 지금이 우주의 마지막 퍼즐임을 자인할 때, 우주는 아름다운 추억의 대상이 된다. [그대, 우주의 마지막 퍼즐]은 5부로 편성한 글이다. 유년 시절부터 이십 대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추억에서 또는, 일상에 감춰져 있던 의미를 발견한 이야기들로 구성됐다. 1부, 보이지 않게 일어나는 일들, 5부, 자신이 이 세계에 어떤 존재인가 자각하기까지 어린 시절에서 최근까지 일상의 에피소드에 담았다.
우리는 어떻게 보이지 않는 삶의 궤적을 따라갈까? 지금이라는 퍼즐은 아직도 맞춰지지 않은 채 우리 앞에 펼쳐져 있다. 오래전, 머무름 없는 아이는 보이는 모습과 보이지 않는 모습 사이를 숨 가쁘게 달려 나갔다. 어느 순간 우리는 혼자만 아는 수많은 지금의 시간을 통과해 퍼즐을 만들어냈다는 걸 인정하게 된다. 그리고 신비로운 가치는 지금의 시간에도 켜켜이 스며있다. 그리고 미래의 자아는 내게 “보고 있는 지금만이라도 행복해지길 바라게 돼!”라고 전언한다.
모든 구간을 달려왔음에도 문득, 지금 다시 새로운 출발을 꿈꿔야 한다는 익숙한 얼굴과 대면한다. 그 의미는 그동안 내가 원하는 방식대로 살아오지 못했음을 인정하지 않을 수 없게 한다. 여전히 자유의 방식이 아닌, 자기만의 방식으로 살아왔다는 걸 깨닫게 된다. 그리고 아직도 매몰되는 삶이라면 다시금 재정의해야 한다고 말한다. 지금을 보는 순간 우리가 품었던 희망은 실현 가능하다. 그리고 그럴 수밖에 없다. 지금으로 가득 채워진 우주는 그대만이 채워가야 할 마지막 퍼즐이라 말해주고 있기에.
# 내용 소개
1부. 보이지 않게 일어나는 일들
보이는 모습뿐만 아니라, 보지 못하는 이면에도 우리의 시간은 스며있다. 그 많은 시간이 우리가 말하는 미래의 모습이라 믿는다. 거기에서 나를 바라보고 있는 자아는 지금만이라도 잘 되길 바라고 있다.
2부. 머무름이 없는 아이
우리는 어린아이에서 노인에 이르기까지 쉼 없이 걸어간다. 그러나 아직도 뒤뚱뒤뚱 아슬하게 걷는다. 제일 오래 달려간 어른이 맞는다. 등 뒤에는 더 이상 따라오는 누구도 없다. 아이는 자신을 믿고 앞으로 달려 나간다.
3부. 아직은 지금인 이곳에
모든 구간을 달렸을지라도 지금 이곳에서 새로운 출발을 꿈꾼다. 지금은 분명 한계이자 공포의 세계지만, 자기를 분리하지 않는다면 영원히 환희를 맞본다. 다시 새롭게 시도해 볼 수 있는 곳, 지금이다.
4부. 내 멋대로 그래, 네 멋대로
멋대로 산다는 건, 하고 싶은 대로 산다는 뜻이 아니다. 이기적인 마음 역시 자기 편리한 대로 하는 마음이 아니듯. 어떤 고통이 됐든 그 속의 진실을 발견하고 멋을 기품으로 승화시킬 줄 아는 사람으로 사는 일이 곧, 내 멋대로의 삶.
5부. 당신은 우주의 마지막 퍼즐
무한히 확장되는 우주에서 그대가 품었던 꿈은 아직도 가능성으로 나풀거린다. 그대는 가능성의 씨앗으로 존재하다 드디어 세계를 열고 채워나가는 이 우주의 마지막 퍼즐임을 발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