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돌포의 커피숍을 찾는 다양한 신분의 손님들이 이런저런 이해관계로 얽히고설킨다. 상인 에우제니오는 도박에 빠져 큰 빚을 진다. 리돌포는 에우제니오의 부친에게 입은 은혜에 보답하고자 에우제니오가 빚을 상환할 수 있게 돕지만, 정작 에우제니오는 도박장에서 만난 귀족 출신 사기꾼 돈 마르초에게 속아 그 돈을 몽땅 잃을 위기에 처한다. 한편 남편 에우제니오를 찾아 베네치아까지 온 비토리아는 그가 도박장에서 가산을 탕진했을 뿐 아니라 다른 여성들과의 추문에 휘말린 사실을 알고 절망한다. 골도니는 〈커피숍〉에서 18세기 베네치아 사회의 부패상을 대변하는 캐릭터와 이를 개혁할 이상적인 캐릭터의 대결 구도를 보여 주며 현실을 비판함과 동시에 이상적인 사회 비전을 제시한다.
극의 특징은 네 가지 정도로 요약된다.
우선 이 작품은 각 신분 계급을 대표하는 캐릭터들을 통해 현실을 비판한다. 귀족층은 비도덕적이고 탐욕스럽게, 부르주아층은 도덕적 이상을 제시하는 인물들로 묘사된다. 특히 부르주아 상인 리돌포는 정직하고 이상적인 인물로 등장해 자신의 직업관, 삶의 가치관, 결혼관을 들려준다. 이는 골도니가 꿈꾸는 이상 사회의 초석을 대변한다. 한편 하층민은 다양한 모습으로 등장하는데, 일부는 교화되고 일부는 도덕적 결함을 드러낸다.
다음으로 골도니는 〈커피숍〉에서 코메디아 델라르테의 전형적 인물들을 개혁하며 새로운 연극 실천을 시도했다. 귀족층의 ‘두 노인’, 부르주아의 ‘하인’과 ‘젊은 연인들’은 모두 현실적인 특성과 도덕적 변화를 겪는 캐릭터들로 묘사되는데, 이는 이탈리아 희극 전통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 있는 동시에 한 단계 나아간 모습이다. 이를 통해 골도니는 새로운 사회 비전을 표현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극의 결말은 작위적이지만 골도니가 추구하는 이상적 사회를 반영한다. 도덕적 인물들이 부각되고 교화될 수 있는 인물들은 용서받는다. 반면 부도덕한 인물들은 결국 사회에서 퇴출된다. 이러한 결말은 새로운 사회에 대한 골도니의 희망을 드러낸다.
마지막으로, 골도니는 여성 인물들을 통해 작품의 주요 메시지를 전달한다. 결혼한 여성은 도덕성과 포용을, 결혼하지 않은 여성은 자립성과 독립적인 삶을 강조한다.
코메디아 델라르테 전통을 한 차원 높이면서 잘 짜인 코미디극을 선보여 온 골도니 극작술 정점을 보여 주는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