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태평광기초 10 (큰글자책)

태평광기초 10 (큰글자책)

  • 김장환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24-11-28 출간
  • |
  • 460페이지
  • |
  • 210 X 290 X 24mm
  • |
  • ISBN 9791173070297
판매가

43,000원

즉시할인가

38,7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8,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태평광기초(太平廣記鈔)》는 중국 명나라 문학자 풍몽룡(馮夢龍)이 북송 초에 이방(李昉) 등이 편찬한 고대 소설 모음집인 《태평광기》를 산정(刪定)한 것이다. 원전이 되는 《태평광기》는 송나라 이방이 한대(漢代)부터 북송 초에 이르는 소설 · 필기 · 야사 등의 전적에 수록되어 있는 이야기들을 광범위하게 채록해, 총 500권에 6965조로 정리한 것으로 ‘세상의 모든 것을 비춰 보이는 이야기 거울’이라는 부제가 말해 주는 것처럼 세상의 온갖 이야기를 다 담고 있다. 이 때문에 《태평광기》는 이후 역사서에 인용되기도 하고 후대의 문학 작품에도 영향을 주어 많은 파생 작품들이 탄생했다.

그러나 이 방대한 분량은 몇 가지 문제를 낳았다. 분량이 너무 많다 보니 인쇄도 쉽지 않고, 교정도 쉽지 않아 판본에 많은 오류가 발생했다. 더해서 독자들이 읽기에도 부담스러웠다. 풍몽룡은 《태평광기초》의 머리말인 〈소인(小引)〉에서 “옛사람은 고사를 인용할 때 출처를 기록하지 않았는데, 출처를 묻는 사람이 있으면 곧장 큰 소리로 ‘《태평광기》에 나온다’라고 말했다. 그 권질이 방대해서 사람들이 열람하지 못할 것이라고 생각해 이렇게 사람들을 속였던 것이다”라고 할 정도였다. 풍몽룡은 당시 부실한 《태평광기》 출판 상황을 개탄하면서 이대로 방치할 경우 독자들의 외면을 받아 결국 폐기될 것을 우려해, 보다 체계적이고 엄정하게 편집한 《태평광기》 선본을 간행하고자 했다. 이에 500권 92류(類)에 총 6965조의 고사가 수록되어 있던 《태평광기》 중 번잡하고 중복 수록된 고사를 삭제하고, 배치가 잘못된 것들을 정리해 전체 80권 82부(部)에 총 2584조의 고사로 편찬했다. 《태평광기》에 분리되어 수록되었던 고사를 《태평광기초》에서 병합한 고사가 400여 조이므로 실제로는 약 3000여 조의 고사가 수록되어 있는 셈이다.

《태평광기초》의 가장 큰 특징은 비주(批注)와 평어(評語)다. 비주는 지면의 상단 여백에 기록하는 미비(眉批), 고사의 원문 사이에 기록하는 협비(夾批)와 협주(夾注)가 있는데, 《태평광기초》에 기록된 미비는 1842개이고 협비와 협주는 269개다. 평어는 고사의 중간이나 말미에 해당 고사에 대한 풍몽룡 자신의 견해를 기록하거나 해당 고사와 관련된 다른 고사를 인용해 논평한 것으로 218개에 달한다. 미비는 특정한 대목에 풍몽룡 자신의 생각을 밝히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그 밖에 부류를 설명하거나 어려운 글자에 대한 독음과 뜻을 설명한 경우도 있다. 협비와 협주는 고사의 중간중간에 풍몽룡의 즉흥적인 느낌을 기록한 경우가 가장 많으며, 그 밖에 특정한 인물·명물·사건에 대해 설명한 경우도 있다. 평어는 풍몽룡의 이성적 사고, 도덕적 가치관, 역사 인식, 인정세태에 대한 감회 등이 잘 드러나 있다. 이러한 비주와 평어는 풍몽룡의 사상과 가치관 등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해당 고사를 읽는 독자들의 보다 흥미로운 감상과 보다 정확한 이해를 돕는 아주 유용한 장치라고 하겠다.

이렇듯 《태평광기초》는 문학적으로는 물론이고 역사, 민속학적으로도 문헌적 가치가 무척 높은 필기 문헌이나, 국내는 물론이고 중국을 비롯한 해외에서도 아직 번역 성과가 없는 형편이다. 필기 문헌 전문 연구가인 연세대 김장환 교수는 세계 최초로 《태평광기초》를 번역, 교감, 주석해 완역 출간한다. 《태평광기초》의 원전 텍스트에 대한 보다 쉽고 정확한 이해를 토대로 삼아 이후 더욱 활발한 연구 성과가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목차

권46 주식부(酒食部)
주(酒)
46-1(1326) 술 이름(酒名)
46-2(1327) 천일주(天日酒)
46-3(1328) 금간주(擒奸酒)
46-4(1329) 청전주(靑田酒)
46-5(1330) 곤륜상(崑崙觴)
46-6(1331) 벽통주(碧筒酒)
46-7(1332) 소장주(消腸酒)
46-8(1333) 점우주(黏雨酒)
46-9(1334) 남방주(南方酒)

주량(酒量)
46-10(1335) 정현(鄭玄)
46-11(1336) 유표(劉表)
46-12(1337) 배홍태(裴弘泰)
46-13(1338) 왕원중(王源中)
46-14(1339) 술 마시지 않음의 이점(不飮)

식(食)
46-15(1340) 오후의 섞어찌개(五侯鯖)
46-16(1341) 드렁허리 요리에 대한 의론(䱉議)
46-17(1342) 한구(寒具)
46-18(1343) 열낙하(熱洛河)
46-19(1344) 유명한 음식(名食)
46-20(1345) 망가진 말다래(敗障泥)
46-21(1346) 대병(大餅)
46-22(1347) 양만(羊曼)

식량(食量)
46-23(1348) 범왕(范汪)
46-24(1349) 송 명제(宋明帝)
46-25(1350) 부견의 세 장수(苻堅三將)
권47 악부(樂部)

악(樂)
47-1(1351) 사연·사광·사연(師延·師曠·師涓)
47-2(1352) 마융(馬融)
47-3(1353) 만보상(萬寶常)
47-4(1354) 왕영언(王令言)
47-5(1355) 당 태종(唐太宗)
47-6(1356) 이사진(李嗣眞)
47-7(1357) 배지고(裴知古)
47-8(1358) 영왕(寧王)
47-9(1359) 송연(宋沇)
47-10(1360) 봉성악·순성악(奉聖樂·順聖樂)
47-11(1361) 심아교(沈阿翹)
47-12(1362) 의종(懿宗)
47-13(1363) 원정견(元庭堅)

가(歌)
47-14(1364) 진청과 한아(秦靑·韓娥)
47-15(1365) 척 부인(戚夫人)
47-16(1366) 이귀년(李龜年)
47-17(1367) 막 재인(莫才人)
47-18(1368) 이곤과 한회(李衮·韓會)
47-19(1369) 미가영(米嘉榮)

악기(樂器)
47-20(1370) 함양궁의 연주하는 동상(咸陽宮銅人)
47-21(1371) 백옥 피리(白玉琯)
47-22(1372) 한중왕 이우(漢中王瑀)
47-23(1373) 피리 부는 노인과 독고생(吹笛叟·獨孤生)
47-24(1374) 허운봉(許雲封)
47-25(1375) 경옥으로 만든 경쇠(輕玉磬)
47-26(1376) 녹옥으로 만든 경쇠(綠玉磬)
47-27(1377) 이사회(李師誨)
47-28(1378) 유도강(劉道强)
47-29(1379) 조 황후(趙后)
47-30(1380) 이면(李勉)
47-31(1381) 번씨·노씨·뇌씨(樊氏·路氏·雷氏)
47-32(1382) 장홍정(張弘靖)
47-33(1383) 채옹(蔡邕)
47-34(1384) 우적(于頔)
47-35(1385) 치조비(雉朝飛)
47-36(1386) 광릉산(廣陵山)
47-37(1387) 보슬(寶瑟)
47-38(1388) 저승의 음악(冥音錄)
47-39(1389) 나흑흑(羅黑黑)
47-40(1390) 배낙아(裴洛兒)
47-41(1391) 양귀비(楊妃)
47-42(1392) 단사(段師)
47-43(1393) 한중왕 이우(漢中王瑀)
47-44(1394) 황보직(皇甫直)
47-45(1395) 왕기(王沂)
47-46(1396) 관 별가와 석 사마(關別駕·石司馬)
47-47(1397) 완함(阮咸)
47-48(1398) 현종과 영왕 부자(玄宗·寧王父子)
47-49(1399) 황번작(黃幡綽)
47-50(1400) 이귀년(李龜年)
47-51(1401) 송경(宋璟)
47-52(1402) 두홍점(杜鴻漸)
47-53(1403) 이완(李琬)
47-54(1404) 동고(銅鼓)
47-55(1405) 서월화(徐月華)
47-56(1406) 전승기(田僧起)
47-57(1407) 조운(朝雲)
47-58(1408) 이위(李蔚)
47-59(1409) 산을 몰아가는 방울(驅山鐸)

권48 서부(書部)
서(書)
48-1(1410) 문자의 시작(書始)
48-2(1411) 급현의 무덤에서 나온 책(汲冢書)
48-3(1412) 왕융(王融)
48-4(1413) 소하(蕭何)
48-5(1414) 진경좌(陳驚座)
48-6(1415) 초현과 초성(草賢·草聖)
48-7(1416) 팔분서(八分書)
48-8(1417) 종요와 종회(鍾繇·鍾會)
48-9(1418) 위탄(韋誕)
48-10(1419) 왕희지(王羲之)
48-11(1420) 순여(荀輿)
48-12(1421) 왕헌지(王獻之)
48-13(1422) 대안도와 강흔(戴安道·康昕)
48-14(1423) 왕승건(王僧虔)
48-15(1424) 소자운(蕭子雲)
48-16(1425) 스님 지영과 지과(僧智永·智果)
48-17(1426) 난정서를 구입하다(購蘭亭序)
48-18(1427) 왕방경(王方慶)
48-19(1428) 당 태종(唐太宗)
48-20(1429) 구양순(歐陽詢)
48-21(1430) 우세남과 저수량(虞世南·褚遂良)
48-22(1431) 고정신(高正臣)
48-23(1432) 스님 회소(僧懷素)
48-24(1433) 정 광문(鄭廣文)
48-25(1434) 이양빙(李陽冰)
48-26(1435) 장욱(張旭)
48-27(1436) 노홍선(盧弘宣)
48-28(1437) 진원강(陳元康)

권49 화부(畫部)
화(畫)
49-1(1438) 열예(烈裔)
49-2(1439) 경군(敬君)
49-3(1440) 모연수(毛延壽)
49-4(1441) 조기(趙岐)
49-5(1442) 유포(劉褒)
49-6(1443) 장형(張衡)
49-7(1444) 서막(徐邈)
49-8(1445) 조불흥(曹不興)
49-9(1446) 왕헌지(王獻之)
49-10(1447) 고개지(顧愷之)
49-11(1448) 고광보(顧光寶)
49-12(1449) 종병(宗炳)
49-13(1450) 원천(袁蒨)
49-14(1451) 양자화(楊子華)
49-15(1452) 장승요(張僧繇)
49-16(1453) 밑그림(畫本)
49-17(1454) 염입덕과 염입본(閻立德·閻立本)
49-18(1455) 왕유(王維)
49-19(1456) 한간(韓幹)
49-20(1457) 위숙문(韋叔文)
49-21(1458) 이사훈(李思訓)
49-22(1459) 오도현(吳道玄)
49-23(1460) 금교도(金橋圖)
49-24(1461) 주방(周昉)
49-25(1462) 관휴(貫休)
49-26(1463) 황전(黃筌)
49-27(1464) 성화(聖畫)
49-28(1465) 염광(廉廣)
49-29(1466) 범 산인(范山人)
49-30(1467) 왕흡(王洽)
49-31(1468) 장조(張藻)
49-32(1469) 그림에 대한 고찰(畫考)
49-33(1470) 풍소정(馮紹正)
49-34(1471) 위무첨(韋無忝)

권50 기교부(伎巧部)
기교(伎巧)
50-1(1472) 노반(魯般)
50-2(1473) 호관(胡寬)
50-3(1474) 능운대(凌雲臺)
50-4(1475) 진사왕(陳思王)
50-5(1476) 스님 영소(僧靈昭)
50-6(1477) 《수식도경》과 관문전(水飾圖經·觀文殿)
50-7(1478) 십이진거(十二辰車)
50-8(1479) 양무렴(楊務廉)
50-9(1480) 마대봉(馬待封)
50-10(1481) 정원(丁媛)
50-11(1482) 구순(區純)
50-12(1483) 왕숙(王肅)
50-13(1484) 장형(張衡)
50-14(1485) 인기국 여공과 오 부인(因祇國·吳夫人)
50-15(1486) 투계(鬭鷄)
50-16(1487) 한지화(韓志和)
50-17(1488) 왕고(王固)
50-18(1489) 새와 짐승의 말을 구별하다(別鳥獸語)
50-19(1490) 가흥현의 새끼줄 기예(嘉興繩技)
50-20(1491) 활쏘기(射)
50-21(1492) 울지경덕(尉遲敬德)
50-22(1493) 하 장군(夏將軍)
50-23(1494) 장분(張芬)
50-24(1495) 머리카락 관통을 비롯한 여러 기예(貫髮諸藝)
50-25(1496) 바둑(弈棋)
50-26(1497) 탄기(彈棋)
50-27(1498) 장구(藏鈎)
50-28(1499) 투호(投壺)
50-29(1500) 잡희(雜戲)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