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만주지역 항일독립운동사 연구

만주지역 항일독립운동사 연구

  • 황민호
  • |
  • 국학자료원
  • |
  • 2024-11-20 출간
  • |
  • 539페이지
  • |
  • 156 X 229 X 28mm
  • |
  • ISBN 9791167971760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38,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8,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서문

제1부 민족진영의 항일무장투쟁
제1장 봉오동 ㆍ 청산리전투에 대한 「매일신보」의 보도와 ‘歪曲’
Ⅰ. 머리말 15
Ⅱ. 독립군의 활동에 대한 국내언론의 보도경향 17
Ⅲ. ‘越江追擊隊’의 활동과 봉오동 전투에 대한 보도 32
Ⅳ. 일본군의 간도침입에 대한 보도경향 39
1. ‘討伐隊’의 활동과 청산리대첩에 대한 왜곡 39
2. 재만 한인 탄압에 대한 正當化 46
Ⅴ. 맺음말 50

제2장 정의부의 對民활동과 항일독립운동
Ⅰ. 머리말 53
Ⅱ. 정의부의 결성과 對民활동 55
Ⅲ. 정의부 군사조직의 동향과 항일무장투쟁의 전개 65
1. 정의부 군사조직의 동향 65
2. 국내에서 군사활동 71
3. 만주지역에서의 군사활동 79
Ⅳ. 맺음말 86

제3장 국민부의 항일무장투쟁의 전개와 성격
Ⅰ. 머리말 89
Ⅱ. 국내언론에 나타난 민족진영 國民府의 항일무장투쟁 91
1. 친일세력의 처단과 韓 ㆍ 中聯合作戰의 전개 91
2. 항일무장투쟁의 전개와 공산진영과의 연합 99
Ⅲ. 한인공산주의자들의 항일투쟁과 ‘反滿軍’ 107
Ⅳ. 맺음말 116

제4장 조선혁명군의 항일무장투쟁과 한 ㆍ 중연합작전
Ⅰ. 머리말 119
Ⅱ. 중국 ‘義勇軍’세력과의 연합작전과 조선혁명군 121
1. 조선혁명군의 동향과 중국 ‘義勇軍’세력과의 연합 121
2. 조선혁명군의 활동과 항일무장투쟁 131
Ⅲ. 중국공산당 세력과의 연합과 조선혁명군 137
Ⅳ. 맺음말 143

제5장 한국독립군의 성립과 항일무장투쟁의 전개
Ⅰ. 머리말 145
Ⅱ. 한국독립당과 군의 결성과 초기 활동 148
Ⅲ. 한국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과 한중연합전선 159
1. 한중연합전선의 확대를 위한 노력 159
2. 항일무장투쟁의 전개와 대전자령전투 166
Ⅳ. 맺음말 176

제2부 항일무장투쟁과 인물
제1장 蘆隱 김규식의 생애와 항일독립운동
Ⅰ. 머리말 181
Ⅱ. 義兵鬪爭과 13道倡義軍에서의 활동 184
Ⅲ. 만주와 연해주지역에서의 항일독립운동 190
1. 北路軍政署와 연해주 高麗革命軍에서의 무장투쟁 190
2. 만주로의 귀환과 독립운동 기반 조성을 위한 노력 199
Ⅳ. 맺음말 207

제2장 白冶 김좌진의 항일독립운동과 그 기억
Ⅰ. 머리말 209
Ⅱ. 청산리전투에 대한 「매일신보」의 보도 경향 211
Ⅲ. 신민부 성립 전후의 항일무장투쟁 217
Ⅳ. 순국 이후의 기억과 추모 232
Ⅴ. 맺음말 241

제3장 白山 지청천의 만주지역에서의 항일무장투쟁
Ⅰ. 머리말 245
Ⅱ. 만주로의 탈출과 신흥무관학교 247
Ⅲ. 정의부에서의 활동과 독립운동의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 252
Ⅳ. 한국독립군의 항일무장투쟁과 지청천 261
1. 한국독립당 ㆍ 군의 결성 261
2. 한중연합전선과 대전자령전투 266
Ⅴ. 맺음말 276

제3부 한인사회와 민족운동의 전개
제1장 1910년대 한인사회의 형성과 墾民會의 활동
Ⅰ. 머리말 281
Ⅱ. 만주지역 한인사회의 형성과 독립운동세력의 동향 283
Ⅲ. 북간도지역 한인사회의 동향과 간민회 292
1. 북간도지역 한인사회의 확장과 일제의 동향 292
2. 독립운동 진영의 활동과 간민회 299
Ⅳ. 맺음말 308

제2장 1920년대 合法的 自治運動의 전개와 한인사회
Ⅰ. 머리말 311
Ⅱ. 1920년대 전반 間島朝鮮人大會와 자치운동 314
Ⅲ. 1920년대 후반 이후 합법적 자치운동의 전개 320
1. 歸化東省韓族同鄕會의 자치운동 320
2. 間島蜂起를 전후한 시기의 자치운동 326
Ⅳ. 자치문제에 대한 국내언론의 동향 331
Ⅴ. 맺음말 337

제3장 1930년 ‘間島蜂起’의 전개와 한인사회의 대응
Ⅰ. 머리말 339
Ⅱ. 간도봉기의 전개 과정과 한인공산주의자들의 활동 343
1. 5 ㆍ 30봉기의 전개와 국내언론의 보도 343
2. 간도봉기로의 확대와 투쟁 양상의 변화 350
Ⅲ. 국내 언론에 나타난 간도봉기의 양상과 한인사회의 대응 356
1. 언론에 나타난 간도봉기의 양상 356
2. 한인사회의 동향과 대응 365
Ⅳ. 맺음말 371

제4부 연구 경향과 과제
제1장 만주지역 민족운동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Ⅰ. 머리말 377
Ⅱ. 항일독립운동사 관련 연구 379
1. 독립군 단체의 결성과 항일무장투쟁 379
2. 인물연구 및 자료조사 385
Ⅲ. 재만 한인의 민족교육과 종교 391
Ⅳ. 한인사회의 동향과 친일문제 396
Ⅴ. 맺음말 401

제2장 청산리전투에 대한 연구 성과와 과제
Ⅰ. 머리말 405
Ⅱ. 청산리전투 전후의 정황과 무기 및 戰果 406
1. 용어의 문제와 전투범위 406
2. 독립군의 근거지 이동을 둘러싼 정황 409
3. 전투의 전개 및 무기와 전과 413
Ⅲ. 韓人들의 피해와 庚申慘變 419
Ⅳ. 청산리전투에 대한 이범석과 홍범도의 기억과 기록 425
Ⅴ. 맺음말 434

제3장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만주지역 독립운동사에 대한
서술체계와 내용
Ⅰ. 머리말 437
Ⅱ. 교과서 단원의 구성과 일제시기에 대한 서술체계 438
Ⅲ. 만주지역 독립운동사에 대한 서술 체계와 내용 검토 444
1. 서술체계와 1910년대의 독립운동 444
2. 1920~30년대 독립운동 448
Ⅳ. 인물 ㆍ 단체 ㆍ 지도 ㆍ 사진에 대한 내용 검토 455
Ⅴ. 맺음말 463

附編
天 關東軍의 在滿 興亞協會 設立과 친일논리
Ⅰ. 머리말 469
Ⅱ. 흥아협회의 조직과 활동 472
1. 조직의 성립과 구성 472
2. 활동내용 480
Ⅲ. ‘재만조선인통신’에 나타난 체제선전의 경향 487
1. 재만 한인에 대한 계몽과 체제의 우월성 487
2. 중 ㆍ 소에 대한 배타주의와 대일협력의 강조 495
Ⅳ. 맺음말 502


| 참고문헌 | 505
| 찾아보기 | 51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