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책 소개
가장 낮은 곳에서 부르는 노래, 만백성이 염원하는 ‘일곱째 아이’
《일곱째 아이》를 이끌어 가는 화자는 사람 만나서 얘기 듣는 재미에 암자와 절간을 수시로 들락거리는 날라리 불자이다. 신분, 적서, 성별, 당파 등에 따른 차별과 갈등의 경계선에서 조선 사회의 이쪽저쪽을 보고 듣고 겪은 화자가 그 사연을 접하게 된 내력을 도입부에 밝힌 후, 마치 당사자가 된 듯 몰입하여 인물이 처한 상황을 27편의 짧은 이야기로 그려 내고 있다.
27편 모두 공유하는 미스터리는 소현세자빈 강 씨가 별궁에 유폐되었을 때 홀로 낳았다는 일곱째 아이의 행방이다. 이 일곱째 아이는 조선의 민중이 마음속에 그리는 영웅과도 같다. 옛이야기에 나오는 아기 장수와도 같은 존재. 작가는 탁월한 이야기 솜씨로 일곱째 아이를 완벽하게 되살려 냈다.
〈조선왕조실록〉에 등장하는 요승 처경. 처경은 소현세자의 죽은 일곱째 아이라고 사칭한 죄로 스물네 살에 용산 당고개에서 사형당한 실존 인물이다. 작가의 상상력은 실록에 실린 한 줄의 자료에서 출발한다. 일곱째 아이라고 자처하게 되는 승려 처경, 천하게 태어나 양반의 노리갯감으로 시달리며 아이를 일곱이나 낳았으나 한 명도 살리지 못해 눈뜬장님이 된 자련 보살 애숙. 처경과 애숙의 애달픈 이야기가 한 폭의 동양화처럼 애틋하다. 그리고 서얼이지만 여인이라는 것만으로 사람대접 받지 못하는 홍예형, 북방의 산맥과 들판을 말 타고 달리던 여인은 영의정의 서자와 혼례를 치렀으나 그 기세를 꺾지 않으며 이야기의 또 다른 한 축이 된다.
이외에도 절대 권력의 그늘에 엎드린 궁녀가 있다. 화자와 깊은 우애를 나누는 벗이자 승려 처경을 몸주신으로 받아들이고 신내림을 받는 퇴직 궁녀 예옥, 예옥의 방각시로 자라 임금의 사랑을 받았으나 그 때문에 생사의 기로에 서는 현직 승은궁녀 상업 등이 그들이다. 이 인물들은 화자를 통해 조선 후기 사회의 다양한 갈등과 억압 아래 제각기 욕망과 고통을 가지고 피와 땀, 살냄새를 풍기며 오늘의 독자에게 말을 건다.
우리를 위한 이야기
우리가 기다려야 할 영웅은 어디 먼 데서 용마를 타고 올 장수가 아니라 조금 더 진화한 우리 자신임을, ‘한 줌 더 복되고 두 뼘 더 지혜롭고 세 발 더 멀리 나아갈 미래’를 우리 손으로 죽여서는 안 된다는 생각을, 오목조목 이어 붙인 조각보 형식의 이 역사소설에 담고 싶었습니다.
책에 실린 작가의 말이다. 작가는 늘 ‘여성’과 ‘생명’이라는 주제를 탐색하며 이야기를 쓰고 있다. 소현세자빈인 강 씨를 새로운 세상을 꿈꾼 여인으로 그려 낸 바 있으며 그 시대의 이야기를 강 씨에서 주변 인물로 확장하여 《일곱째 아이》를 완성하였다. 힘없는 이들이 서로를 지켜내기 위해 애쓰며, 새로 태어나는 생명을 지키기 위해 어떤 위험도 무릅쓰는 장면에서는 인간이 품어야 하는 마음은 무엇인가 생각하게 한다. 혹독한 시절에도 생명은 태어나고 삶은 이어진다. 그리고 생명을 품어 내는 어미들이 있다. 생명을 품고자 하는, 품고 있는 모든 이들을 위한 이야기이다. 오늘을 고단하게 살고 있는 우리도 이 위기에서 벗어나게 해 줄 저마다의 영웅을 기다리고 있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영웅은 먼 데 있지 않다고 작가는 말한다. 오늘을 살아가며 한 뼘 더 앞으로 나아가고 있는 ‘나’라는 생명을, 그래서 서로를 북돋우는 생명의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다. 덧붙여 조선 시대 속에 살고 있는 듯한 장면 묘사와 수려한 문장은 이 소설을 읽는 또 하나의 재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