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사모펀드가 주목한 산업을 분석하고50
2025년 자본 생태계를 이끌 성장 동력을 찾다!
“사모펀드와 M&A의 최신 트렌드를 꿰뚫는 통찰이 담긴 책!”
_라민상, 프랙시스캐피탈파트너스 대표(전 사모펀드협의회 회장)
한국에 사모펀드가 도입된 지 20년이 되었다. 4,000억 원이었던 누적 약정액은 2023년 140조 원으로 불어나며 금융 시장에서 가장 빠른 성장을 보여주었다. 하지만 COVID-19 팬데믹 이후 유동성이 줄어들며 출자 시장의 위축을 불러왔고, 경기 침체에 따른 실적 악화로 투자금 회수가 요원해졌다. 또한 자본 생태계가 변화하면서 사모펀드들의 전략이 크게 달라졌다.
2024년 사모펀드가 주목한 산업을 분석하고, 창조적 파괴가 진행되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대기업들의 M&A 행보를 살펴본다. 그리고 AI로의 대전환 시대를 맞아 AI와 로봇 시장을 선점하려는 노력들과 전 세계적인 고령화 시대를 맞이한 바이오 산업에 대해 살펴본다.
그렇다면 2025년에는 어떤 전략으로 시장에 대응할까? AI 혁명은 지속될 것이며, C-커머스의 침투로 새롭게 열리는 시장에 대해 조망한다. 그리고 지속적으로 커가는 반려동물 산업 등 기회와 위기가 교차하는 시장에서의 미래 투자 전략을 세워볼 수 있다.
이 책에서는 변화하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사모펀드들의 전략을 살펴볼 수 있다. 돈이 흐르는 맥을 찾아 거대 자본을 움직이는 사모펀드들의 투자 전략을 통해 미래를 조망하고 새로운 투자처를 찾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새로운 기회의 문을 열어줄 것이다.
2025년 트럼프 2.0, AI로의 대전환 시대
미래 자본 생태계를 이끌 새로운 성장 동력을 찾다
시장의 유동성 파티는 끝났다. 자본 생태계의 변화에 사모펀드들은 시장에서 살아남기 위한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 책에서는 2024년 사모펀드가 주목한 산업을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2025년 변화하는 시장을 조망하여 새로운 투자 기회를 찾는다. 돈이 흐르는 맥을 찾아 큰돈을 굴리는 사모펀드와 변화를 두려워하지 않는 기업들의 M&A를 살펴보면 산업 전반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다.
2024년, 기관투자자들이 주목한 산업
고금리 기조,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중동 위기 등의 혼란으로 저성장을 지속한 2024년, 기관투자자들은 어떤 산업을 주목하고 투자 전략을 세웠을까? K-뷰티와 K-푸드에 대한 투자 심리가 긍정으로 반전되었다. 전기차 캐즘(Chasm, 새 혁신에 대한 수요가 일시적으로 꺾이는 현상)으로 이차전지에 대한 인기가 사그라들며 다시 반도체에 대한 투자 관심이 집중되었다. 여기에 더해 전기차와 내연기관차의 공존의 시기, 자동차 부품 업체들에게서 새로운 성장 기회를 찾는다. 또한 AI를 지탱하기 위한 대규모 전력 설비의 필요성으로 전력 공급망 관련 기업들도 주목받았다. 도시 집중화로 인한 폐기물 발생량의 증가로 폐기물 매립과 처리 시장에서 기회를 찾고 있다.
2025년 변화하는 자본 생태계에서 사모펀드가 주목하는 산업
2025년, 자본 생태계는 급격한 변화를 맞이하게 될 것이다. 금리 기조의 변화를 시작으로 새로운 경제 환경이 펼쳐질 것이다. 그리고 고물가와 고금리의 부담에서 벗어나게 되면 소비 심리가 회복되며 투자와 고용도 활발해질 것이다. 그 회복의 속도가 빠를지, 저성장 기조가 더 유지될지는 모르지만, 2025년은 대전환이 시작되는 한 해가 될 것이다.
이에 사모펀드와 기관투자자들은 미래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5가지 산업을 분석하고 투자 전략을 제안한다.
• 생성형 AI: 본격적인 성장기를 맞이하고 있는 산업인 생성형 AI의 트렌드를 정확하게 읽어야 한다. 북미의 투자 사례를 통해 언제 진입하고 투자해야 하는지에 대한 힌트를 얻을 수 있다.
• 리테일 산업: 이커머스 중심으로의 재편이라는 변화를 겪은 리테일 산업의 지각 변동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다. 그리고 알리익스프레스, 테무 등 C-커머스의 공습에 대비하여 앞으로의 변화와 전망을 통해 새로운 투자 기회를 발견할 수 있다.
• 주식시장의 제도적 변화에 주목: 한국의 주식 가치가 저평가되고 있는 상황을 벗어나기 위한 대응책으로 ‘밸류업 프로그램(소극적 주주환원을 적극적 주주환원으로 바꾸는 제도적 장치로 코리안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고 외국인 투자를 늘리겠다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일본의 사례를 통해 제도적 혜택과 투자 의향을 읽어낸다면 투자 방향 설정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 전기차와 이차전지 산업은 부진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최근 이슈가 됐던 배터리 폭발로 인한 대형 화재 사고가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지, 밸류체인의 불안정성 현상과 향후 변화의 방향 등 전기차를 둘러싼 각종 대외 리스크를 진단해 본다.
• 펫 산업: 반려인 1,500만 시대에 접어들면서 관련 수요가 급증하고 있고, 그 영역도 펫 커머스, 펫 푸드, 펫 헬스케어, 펫 서비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펫 산업의 현황과 이에 대한 투자 동향을 돌이켜 보고, 새롭게 떠오를 것으로 보이는 펫 푸드를 비롯해서 전반적인 관련 산업의 전망을 살펴본다.
변화에 빠르게 적응해야 하는 시대가 되었다. 변화에 대응하지 못하는 산업이나 기업은 도태될 수밖에 없다. 투자 역시 변화를 읽어내고, 트렌드를 파악하고, 새로운 기회를 찾지 못한다면 성공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경제를 이끄는 거대한 힘 사모펀드의 투자 전략과 M&A 행보를 통해 새로운 투자 기회를 찾아보자. 산업에 대한 통찰과 미래를 조망하려는 이들에게 이 책은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