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서
Ⅰ. 서론
1. 연구 배경 및 연구 의의
2. 선행연구
3. 이론적 분석
4. 연구방법
5. 연구의 틀
Ⅱ. 개념 분석
1. 중국 팝음악
2. 중국 인디음악
3. 정치적·이데올로기적 관점에서의 팝음악과 인디음악
4. 진실성 측면에서의 팝음악과 인디음악
Ⅲ. 1990년대 중국 인디음악의 '동지 형성
-'슈춘'의 형성과 해체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슈춘의 재현
(1) 슈춘이 형성되기 전의 시대적 배경
(2) 수준의 형성
(3) 슈춘의 상징적 기호
(4) 다커우 테이프와 다커우 CD
(5) 슈춘의 해산
3. 재현체계에서 구성체계로의 도약 시도
4. 1990년대 중국 인디음악의 딜레마와 진로
5. 본 장의 소결
Ⅳ. 2000년대 중국 인디음악의 '레이블 창립
- 인디음악 레이블 'Modern Sky'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Modern Sky
(1) '모얜싼지에' 신화의 파멸
(2) 레이블
(3) 'Beijing New Sound' 운동
(4) 하위문화 수출업체의 상품화
(5) '불법 복제 + 인터넷'의 영향으로 인한 상업적 독점
(6) Modern Sky 산업체인 및 판도 확장
(7) 언급할 필요가 있는 기타 인디 레이블
3. 반복체계와 구성체계 사이에서의 동요
4. 2000년대 중국 인디음악의 딜레마와 진로
5. 본 장의 소결
Ⅴ. 뉴미디어 시대 중국 인디음악의 '외연 확장'
- 온라인 예능 〈The Big Band〉를 중심으로
1. 머리말
2. 〈The Big Band〉에 의한 '외연 확장'
(1) 〈The Big Band〉 캐릭터 코스프레
(2) 상업적 외연 확장
(3) 다업계 외연 확장
(4) 인터넷 스타 외연 확장
(5) 기타 인디음악 관련 예능 프로그램
3. 외연 확장에서 구성체계에 이르기까지
4. 뉴미디어 시대 중국 인디음악의 딜레마와 진로
5. 본 장의 소결
Ⅵ. 결론
1. 중국 인디음악의 발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진실성에 대한 재논의
2. 결론 및 전망
참고문헌
부록: 인터뷰 대상자 요약
감사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