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25 차세대 디스플레이산업 관련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화 전략

2025 차세대 디스플레이산업 관련 기술, 시장 전망과 사업화 전략

  • 이슈퀘스트 편집부
  • |
  • 이슈퀘스트
  • |
  • 2024-11-19 출간
  • |
  • 707페이지
  • |
  • 210 X 297 mm
  • |
  • ISBN 9788998366698
판매가

460,000원

즉시할인가

414,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14,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국내 디스플레이산업은 반도체산업, 이차전지산업과 함께 글로벌 기술 및 시장을 선도하는 산업 중 하나로 오랜 기간 국내 경제와 수출 성장세를 이끌어 왔으나 이미 액정표시장치(LCD) 시장 주도권을 중국에 빼앗긴 가운데, 국내 기업이 선점해온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마저 중국 공세 속에 점유율이 점차 하락하는 등 우려를 낳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023년 전체 글로벌 디스플레이 시장 점유율이 중국 47.9%, 한국 33.4%로 중국에 주도권을 완전히 넘겨준바 있으며,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2024년 1분기 한국의 글로벌 OLED 시장점유율(출하량 기준)도 49%로 사상 처음으로 중국(49.7%)에 역전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DSCC의 예상에 따르면 2023년부터 2028년까지 중국의 OLED 생산력이 연평균 8%의 성장률을 기록하는 동안 한국은 2%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되어 2028년부터 양국의 OLED 생산력이 뒤바뀔 것이란 분석도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디스플레이 기술은 빠르게 LCD를 넘어 다양한 신기술이 개발되며 OLED, 플렉시블 OLED, Mini-LED, QD-OLED, Micro-LED 등 차세대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시장에 등장하고 있으며, 메타버스 등장에 따라 주목받는 XR디바이스나 자동차용 HUD, 스마트 사이니지나 투명 디스플레이 등 미래 신시장은 디스플레이 기술과 폼팩터의 혁신적 결합을 통해 구현될 것으로 보이며, 이 시장에서의 성공이 향후 세계 디스플레이 시장의 패권을 좌우하게 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지난 2023년 5월 iLED 산업 육성 지원 계획을 담은 ‘디스플레이산업 혁신전략’을 발표하고 올해 2024년부터 2032년까지 8년간 국비 3479억원을 비롯한 총 4840억원을 ‘무기발광 디스플레이(iLED)’ 사업에 투입하기로 하였다. 화소, 패널, 모듈 등 공정 전 주기에 걸쳐 iLED 핵심기술 선점을 지원하고 △초소형·고효율 화소 기술 △고속 패널 형성 기술 △300인치 이상의 초대형 모듈러 기술 등 3대 초격차 기술 확보에 나서겠단 목표로 민관 협력을 통해 국가간 패권경쟁에 대비하고자 하는 전략이라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산업의 국산화율은 약 65%로 타 산업 대비 높은 수준인 만큼 패널 기업에 대한 지속적인 투자와 함께 패널 소부장 산업 생태계 육성을 이해 장비와 소재업체에도 기술·자금 등을 지원해 산업 생태계 전체의 역량을 키워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이는 점차 격화되는 보호무역 추세와 미·중 갈등에 따른 공급망 재편에 대비하기 위해서도 필요한 분야로 보인다.

 

이에 당사에서는 디스플레이산업의 최근 동향과 주요 이슈,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개발 동향과 전략 등 국내외 현황 등을 조사 분석하여 본서를 출판하게 되었으며, 모쪼록 관련 분야에 관심을 갖고 계신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길 바란다.

 

 

2024년 11월

목차

Ⅰ. 차세대 디스플레이산업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31

1.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시장 동향과 전망 31
1-1. 디스플레이산업 최근 동향과 전망 31
1) 디스플레이의 정의와 산업의 범위 31
(1) 디스플레이 정의 31
(2) 디스플레이 범위 및 분류 34
(3) 디스플레이의 산업적 특성 35
2) 국내 디스플레이산업 현황과 기술 경쟁력 37
(1) 국내 디스플레이산업 현황 37
(2) 국내 OLED산업의 기술력 평가 39
(3) 한ㆍ중 디스플레이 산업 R&D 현황 53
(4) OLED 디스플레이산업 소부장 밸류체인 58
1-2. 디스플레이 패널과 수요산업 최근 동향과 전망 61
1)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 동향과 전망 61
(1)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 동향 61
(2) 디스플레이 패널 용도별 시장 동향 61
(3) 디스플레이 패널 주요 기업 동향 63
(4) 디스플레이 패널 수출입 동향 65
2) 스마트폰 시장 동향과 전망 67
(1)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동향 67
(2) 국내 스마트폰 수출입 동향 72
3) PC 및 모니터 시장 동향과 전망 74
(1) 컴퓨터(PC) 74
(2) 태블릿 PC 75
(3) 컴퓨터와 주변기기 수출입 동향 76
4) TV 시장 동향과 전망 79
(1) 글로벌 TV시장 동향과 전망 79
(2) 미니 LED TV와 OLED TV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 81
1-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 동향과 시장 전망 84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개요 84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정의와 유형 84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구조와 핵심 공정 88
(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소재 96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100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종류별 개요와 동향 100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시장 동향과 전망 107
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 113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핵심 요구사항 113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용 기판 기술 115
(3)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봉지막 기술 122
4) 스트레처블 디스플레이 소자 기술 128
(1) 스트레처블 소자 기술의 도래 128
(2) 스트레처블 전극 기술 129
5)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생산공정, 제조 및 장비 기술 동향 134
(1)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생산공정 기술 134
(2)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주요 제조 및 장비 기술 동향 137

2. 유망 디스플레이 수요산업 시장, 기술 동향과 전망 160
2-1. 차량용 디스플레이 기술과 시장 동향 160
1) 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시장 동향과 전망 160
(1) 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의 정의 및 구성 160
(2) 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성장 요소 161
(3) 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기술 발전 방향 163
(4) 카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기술개발과 연구 동향 167
2)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및 기술 동향 169
(1) 차량용 디스플레이 시장 동향과 전망 169
(2) OLED 기반 차세대 차량용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 175
3) 차량용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 동향 182
(1) 디지털 홀로그래피 기술 개요 182
(2) 디지털 홀로그래피 활용 현황 183
2-2. XR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기술과 시장 동향 185
1) 가상융합 XR(VR, AR/MR) 기술과 시장 전망 185
(1) XR(VR, AR/MR) 기술 개요 185
(2) 세계 XR 관련 시장 전망 192
2) 가상융합 XR(VR/AR/MR) 기술 활용 분야와 적용사례 194
(1) 제조 & 건설 194
(2) 미디어, 엔터테인먼트, 커뮤니케이션 194
(3) 교통, 물류 및 도매 195
(4) 공공부문, 서비스 195
(5) 전문 서비스 & 소매 196
(6) 금융 서비스 196
(7) 직업교육, 안전 서비스 197
3) 가상융합 XR 디바이스 종류와 구성 요소 198
(1) XR 디바이스 형태별 구분과 특징 198
(2) XR 디바이스 기술과 주요 구성요소 199
4) 가상융합 XR(VR/AR/MR)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개발 방향 202
(1) XR(VR/AR/MR) 디바이스용 디스플레이 기술과 요구사항 202
(2) 초실감형 디스플레이 필요성 203
(3) XR 디바이스 기기 출시 동향 203
(4) XR 디바이스 원가 구조와 생태계 204
5) XR용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개발 동향과 전망 206
(1)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개요 206
(2) XR에 사용되는 Micro 디스플레이 기술 209
(3) 기타 XR 디바이스용 광학 기술 215
(4)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개발과 지원 동향 218

Ⅱ.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동향과 기술개발 전략 221

1.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핵심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21
1-1. OLED 디스플레이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21
1) OLED 개요 221
(1) OLED의 정의 221
(2) OLED의 구분 223
(3) OLED 발광 프로세스 225
(4) OLED 발광원리 227
2) OLED 발광 소재와 시장 동향 231
(1) OLED 발광 소재 231
(2) OLED 소재 시장 전망 241
3) OLED 디스플레이 시장 동향과 전망 244
(1) OLED 디스플레이 산업 밸류체인과 특징 244
(2) OLED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 245
(3) OLED 디스플레이 생산능력 현황 및 전망 249
1-2. 마이크로(Micro) LED 디스플레이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52
1) 마이크로 LED 개요 252
(1) 마이크로 LED 정의 252
(2) 마이크로 LED 특성 253
(3)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특징 256
2) 마이크로 LED 기술 및 특허 동향 257
(1) 마이크로 LED 제조 기술 257
(2) 마이크로 LED의 기술개발 방향 262
(3) 마이크로 LED 특허 동향 267
3) 마이크로 LED 시장 동향과 전망 268
(1) 마이크로 LED의 활용 268
(2) 마이크로 LED 시장 동향과 전망 277
(3) 확대되는 미니 LED 시장 동향 280
1-3. 기타 유망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84
1) 투명 디스플레이 기술 동향과 시장 전망 284
(1) 투명 디스플레이 개요 284
(2) 투명 디스플레이 시장 전망 287
(3) 투명 디스플레이 개발 동향과 전망 288
2) 홀로그램 기술, 시장 동향과 전망 292
(1) 홀로그램 기술 개요 292
(2) 홀로그래픽 시장 동향과 전망 300
(3) 홀로그램 개발 동향과 활용사례 302

2. 차세대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 동향과 개발 전략 309
2-1.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및 생태계 구축사업(24-07) 309
1) iLED(Inorganic LED display,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디스플레이 산업 309
(1) 사업 추진배경과 사업내용 309
(2) iLED 디스플레이 산업 개요 310
(3) iLED 디스플레이 주요국 정책 동향 314
2) iLED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동향과 전망 316
(1) 주요 용도별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동향 316
(2) 주요국 iLED 디스플레이 투자 동향 324
(3) iLED 특허기술 동향 327
3) 무기발광 디스플레이 기술개발 예비 타당성검토 과제별 소요예산(안) 334
2-2. 국내 미래 디스플레이 초격차 R&D 전략 338
1) 추진 배경 338
2) 디스플레이산업 국내ㆍ외 동향 340
(1) 주요국 정책 및 기술 동향 340
(2) 국내 정부 및 산업계의 노력 341
(3) 국내 연구 역량 및 특허·IP 동향 343
3) 과제와 대응 방안 344
(1) 선제적 R&D를 통한 기술확보 및 산업주도 필요 344
(2) 기술 초격차를 기반으로 시장 선도자로서의 입지 확립 필요 345
(3) 민ㆍ관 협력 기반의 지속가능한 기술·산업 생태계 마련 긴요 345
4) 비전·목표 및 추진전략 347
5) 디스플레이 R&D 추진전략 348
(1) 新기술 주도 신시장 개척 348
(2) 우위기술 기반 “초격차” 확대 352
(3) 개방적 혁신 생태계 조성 355
(4) 제도 및 인프라 지원 357
6) 향후 계획 359
(1) (R&D) 신시장 창출을 위한 미래 디스플레이 R&D 지원 359
(2) (기반 조성) 우수 연구인력 양성 및 인프라 구축 359
(3) (민관 협력) 차세대 디스플레이 연구 얼라이언스(K-NDRA) 출범 359
7) 추진 과제별 추진 일정 360
8) 디스플레이 미래 유망기술(안) 361
(1) 맞춤형 디스플레이 361
(2) 초현실 디스플레이 362

Ⅲ. 차세대 디스플레이 관련 기술 로드맵, 연구과제 367

1.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기술 로드맵 367
1-1. 디스플레이 미래소재 기술 로드맵 367
1) 디스플레이 미래소재 기술 개발의 필요성 367
(1) 디스플레이 소재의 역할 367
(2) 디스플레이 소재의 중요성 368
2) 디스플레이 시장 환경 변화와 분야별 주요 이슈 369
(1) 글로벌 시장환경의 변화 369
(2) 디스플레이 핵심 기술 이슈 369
(3) 디스플레이 소재 이슈 370
(4) 디스플레이 공급망 이슈 370
1-2. 디스플레이 소재분야 기술 로드맵(2022-2035) 371
1) 디스플레이 분야 총괄 기술 로드맵(2022-2035) 371
2) 디스플레이 분야 8대 세부 기술 로드맵 372
(1) 초고해상도 디스플레이용 RGB 패터너블 자발광 소재 372
(2) AR디스플레이용 저색수차 다중초점가변 메타렌즈 소재 375
(3) 초실감 디스플레이용 초고굴절 광학소재 378
(4) 신축 디스플레이용 스트레처블 Backplane 소재 381
(5) 신축 디스플레이용 Intrinsic 스트레처블 Frontplane 소재 384
(6) 사물일체형 투명 디스플레이용 고투명/고내열 glass-like 유연 기판 소재 387
(7) 인터랙티브 디스플레이용 적외선 감지/표시 융합 소재 390
(8) 친환경 디스플레이용 발광 및 공정 소재 393

2.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별 기술개발 연구과제 396
2-1. 첨단 전략산업 초격차(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396
1) (총괄) 6인치 이상 질화물계 RGB 에피웨이퍼 및 고효율 마이크로LED 칩 제조 기술 개발 396
2) (1세부) 표면결함 밀도 1ea/cm² 이하, 6인치 이상의 질화물계 RGB 에피웨이퍼 기술 개발 398
3) (2세부) 외부양자효율 50% 이상, 크기 800㎛² 이하의 플립구조의 마이크로LED 칩
기술 개발 400
4) (총괄) 100 PPI급 대형 디스플레이용 원 픽셀 마이크로LED 패키지 및 고정밀 접합
장비 기술 개발 402
5) (1세부) 100 PPI급 마이크로LED 디스플레이 화소용 230×230㎛² 이하의 RGB 원
픽셀 패키지 기술 개발 404
6) (2세부) RGB 원 픽셀 마이크로LED 패키지를 접합 오차 ±3㎛ 이하로 접합하기 위한
장비 기술 개발 406
7) (총괄) 마이크로LED와 양자점 소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고효율, 고색재현 QD-LED
디스플레이 소재·소자 및 공정개발 408
8) (1세부) 마이크로LED와 QD를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Rec 2020 90%급 고색재현 QD-LED
디스플레이 소재 및 소자 기술 개발 410
9) (2세부) QD-LED 디스플레이의 균일도 향상을 위한 100 cp 급 비뉴턴 잉크의 50℃ 이상
고온 잉크젯 프린팅 기술 개발 412
10) 파장 균일도 ±2㎚ 이하, 6인치 이상 질화물 에피 고온 증착용 장비 기술 개발 414
11) 대면적 유리 기판에서 저온 박막증착용 무기발광 소재 및 장비 기술개발 416
12) 240Hz 이상 재생률과 단위 패널 기준 85mW 이하 저전력 영상구현이 가능한 구동
소자 및 백플레인 기술개발 418
13) 검사속도 1M/Hr 이상의 마이크로LED 접촉식 전기·광학적 검사 기술개발 420
14) 5ea/min 이상 속도로 리페어가 가능한 레이저 장비 기술개발 422
15) 6인치 이상 질화물계 나노 LED 제조를 위한 초고속 기판 분리 기술개발 424
16) 4K-UHD 마이크로 디스플레이 기반 산업용 AR 글라스 광학 모듈 개발 및 실증 426
17) 고해상도, 고속구동 OLED 패널 제작을 위한 Cu 습식식각 에칭 소재와 공정개발 428
18) OLED 디스플레이에 센서 내재화를 위해 열증착이 가능한 유기 광센서용 고흡광
·고내열 유기 소재 및 소자 기술 개발 430
19) IT 디스플레이용 고효율 장수명 청색 OLED 구현을 위한 탠덤 구조의 소재 및
소자 개발 432
20) 자동차용 폴더블 디스플레이 적용을 위한 과불화화합물(PFAS) 규제대응 친환경
및 고신뢰성 모듈 소재 기술 개발 434
2-2. 디스플레이 소재, 부품 기술 개발 436
1) (총괄) 단일 화소 색 가변이 가능한 200ppi 이상 해상도를 갖는 반사형 디스플레이
필름 핵심 소재 기술 개발 436
2) (1세부) 4색 가변 반사형 디스플레이의 나노입자와 단일 마이크로캡슐 소재 및 구동
평가 기술 개발 438
3) (2세부) 4색 가변 전자잉크 필름 제조를 위한 공정 및 응용 신제품 개발 440
4) (총괄) 우수한 면품위와 내충격성을 갖는 13인치급 중소형 폴더블 디스플레이용 커버
윈도우 모듈 기술 개발 442
5) (1세부) 오렌지필 및 웨이비니스 개선을 통한 두께 균일도 10% 이하의 우수한 외관
품위를 갖는 접착 레진 소재 및 코팅 공정 기술 개발 444
6) (2세부) 디스플레이 패널 내충격성을 갖는 박막유리 두께 최적화 형상가공 기술 및
다단 화학강화 방법 개선 기술 개발 446
7) (3세부) 폴딩 주름 자국을 65% 이상 개선 가능한 다이렉트 코팅형 고탄성 UTG 보호
소재 및 셀단위 코팅 공정 기술 개발 448
8) (총괄) 자외선/청색 LED로 BT2020 95% 이상 디스플레이 구현을 위한 나노형광체
기술 개발 450
9) (1세부) 자외선/청색 LED용 양자효율 80% 이상의 나노형광체 및 광감응 잉크 개발 452
10) (2세부) 나노형광체 발광파장의 선택적 투과가 가능한 반치폭 50nm 이하 컬러필터 개발 454
11) (총괄) 디스플레이 공정가스의 지구온난화지수(GWP) 및 온실가스 배출량 측정 장비 개발 456
12) (1세부) 질량분해능 500 이상인 디스플레이 현장측정용 혼합 가스 화학종 다중·
정성·정량 질량분석 장비 개발 458
13) (2세부) 디스플레이 공정에서 측정분해능 1cm-1 이하의 고분해능 적외선 흡수
분광법을 이용한 다종 화학종 실시간 농도 측정장비 개발 460
14) (3세부) 측정불확도 2.5% 이하 (Tier3수준) 식각, 증착, 세정공정용 온실가스 배출량
평가를 위한 일체형 현장측정(GWP, 농도, 유량) 장비 개발 462
15) (총괄) 디스플레이 증착공정에서 탄소중립을 위한 촉매형 공정가스 배출처리 기술
개발 464
16) (1세부) 고수분·고분진 스크러버 운전환경에서 실시간 측정을 위한 센서모듈과 데이터
연동형 운영 시스템 개발 466
17) (2세부) 고GWP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N2O, NF3 동시처리형 촉매 소재와 담체를
활용한 저감 모듈 개발 468
18) (3세부) 디스플레이 공정 배출가스 2,000LPM급 오염물질 전처리 제거 모듈 및 고성능
NOx 흡수 후처리 모듈 개발 470
19) OLED 인광 감광형 형광 소재 기반의 CIE_y 0.15이하 색순도 특성을 갖는 고효율,
장수명 청색소재 및 소자 개발 472
20) 주간 고시인성, 야간 고대비비를 갖는 자동차용 가공온도 250℃ 이상의 고신뢰성
QD 디스플레이 기술 개발 474
21) OLED 패널용 청감과 촉감 동시 구현 가능한 무연압전 소재 및 액추에이터 모듈
기술 개발 476
2-3. 디스플레이 혁신 공정 기술 개발 478
1) 이분자간 여기자 상호작용 제어 기술을 적용한 EQE 20% 이상의 장수명 청색 감광형
유기발광소재 및 합성 제조공정기술 개발 478
2) 마이크로캐비티 OLED 소자의 초고휘도, 저소비전력 구현을 위한 외광 추출 및 시야각
조절 기술 480
3) 나노미터급 깊이 방향 분해능을 가진 OLED 소재 및 디스플레이 열화 원인 규명용
이미징 질량 분석시스템 개발 482
4) 4,000ppi 이상의 마이크로 OLED 패널 제조를 위한 포토리소그래피 및 증착 공정
최소화 기술 개발 484
5) 30도 이상 시야각이 확보된 자동차 윈도우 디스플레이용 근거리 공간 투사 모듈
기술 개발 486
6) 신시장 창출용 OLED 패널 제조 기술과 이를 위한 제조 공정 라이브러리 IP 구축 개발 488
7) AR 기기의 시인성 향상을 위해 시청영역 투과도 가변이 가능한 초경량 박형 필름
셀 기술 개발 490
8) OLED 소비전력 향상을 위한 화소별 원편광막 패턴 형성 기술 개발 492
9) 확장현실용 광변환효율 30% 이상의 친환경 색변환 양자점 소재 및 패터닝 공정 기술
개발 494
10) RGB OLED 마이크로디스플레이용 정밀 건식 식각 패터닝이 가능한 유기 발광체
소재 및 공정 개발 496
2-4. 디스플레이 제조 장비 기술 개발 498
1) (총괄) 40W급 고출력 자외선 레이저 다이오드 방식 광원 모듈 개발 498
2) (1세부) 고출력 광원용 600mW급 405nm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기술 개발 500
3) (2세부) 60개 이상의 레이저 다이오드 모듈 5μs급 펄스 동시 구동을 위한 모듈레이션
기술 개발 502
4) (3세부) 15,000시간 이상의 장수명 특성을 갖는 방열/냉각 시스템 및 40W급 광원
모듈화 기술 개발 504
5) (총괄) 1.5㎛ 패턴 해상도 구현을 위한 조명 및 투사 시스템 기술 개발 506
6) (1세부) 고출력 자외선 광원 빔의 전달효율 90% 이상을 위한 조명 광학계 및 빔
전달 광학모듈 기술 개발 508
7) (2세부) 공간분해능 300 LPM급 고해상도 투사광학계, 실시간 정밀 자동초점 보상
시스템 및 정밀 배율 조정 기술 개발 510
8) (총괄) 8세대 기판 중첩정밀도 0.5㎛ 이하 패턴처리를 위한 고해상도 실시간 데이터
생성 및 전송 시스템 개발 512
9) (1세부) 고해상도 60 GB/scan 급 대용량 데이터 실시간 패턴생성 및 왜곡 오차 보상
시스템 개발 514
10) (2세부) 60 GB/scan 대용량 데이터를 손실 없는 전송을 위한 디지털 전송시스템 개발 516
11) (3세부) 펄스당 10nm급 트리거 발진 분해능을 갖는 100 채널 이상의 다채널 트리거
시스템 기술 개발 518
12) (총괄) 8세대 1.5㎛급 해상도 디지털 노광기 시스템 개발 520
13) (1세부) 8세대 기판용 반복 정밀도 0.2㎛급 고정밀 스테이지 개발 522
14) (2세부) 온도제어 ±0.01℃ 이내 고정밀 환경컨트롤 유닛, 측정시스템 연동 하드웨어
및 패턴 보정 자동화 기술 개발 524
15) (3세부) 1.5㎛급 고해상도 디지털 노광기를 위한 핵심 모듈 정밀 조립·제어기술 및
평가 기술 개발 526
16) (총괄) 차세대 디스플레이용 8.x세대 대면적 불활성 저저항 전극 식각장비 개발 528
17) (1세부) 8.x세대 디스플레이 건식식각용 비주사형 안테나와 원격 방식의 하이브리드
고밀도 플라즈마원 기술 개발 530
18) (2세부) 8.x세대 디스플레이용 250℃ 가열 가능한 고온 식각용 하부척 기술 개발 532
19) (3세부) 8.x세대 디스플레이용 고온 하부척과 고밀도 플라즈마를 적용한 대면적
불활성 저저항 전극 식각장비 개발 534
20) 실시간 OLED 검사를 위한 1nm 급 분해능을 갖는 초고속 대면적 간섭광학 기반
박막 단차 측정 장비 개발 536

Ⅳ. 국내외 디스플레이산업 관련 업체 사업현황과 전략 541

1. 디스플레이 패널 업체 541
1-1. 삼성전자(주) 541
1) 회사 일반현황 541
2) 주요 사업 현황 542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44
1-2. LG전자(주) 552
1) 회사 일반현황 552
2) 주요 사업 현황 552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55
1-3. 삼성디스플레이(주) 559
1) 회사 일반현황 559
2) 주요 사업 현황 559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61
1-4. LG디스플레이(주) 564
1) 회사 일반현황 564
2) 주요 사업 현황 564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66
1-5. BOE [중국] 573
1) 회사 일반현황 573
2) 주요 사업 현황 574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75
1-6. TLC CSOT [중국] 582
1) 회사 일반현황 582
2) 주요 사업 현황 583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84
1-7. INNOLUX [대만] 587
1) 회사 일반현황 587
2) 주요 사업 현황 587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89
1-8. AUO [대만] 593
1) 회사 일반현황 593
2) 주요 사업 현황 593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95
1-9. Seeya [중국] 598
1) 회사 일반현황 598
2) 주요 사업 현황 598
3) 디스플레이 패널 관련 사업동향 599

2. 디스플레이 소재 업체 602
2-1. Merck [독일] 602
1) 회사 일반현황 602
2) 주요 사업 현황 603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04
2-2. UDC(Universal Display Corporation) [미국] 607
1) 회사 일반현황 607
2) 주요 사업 현황 607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09
2-3. Idemitsu Kosan [일본] 613
1) 회사 일반현황 613
2) 주요 사업 현황 614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16
2-4. (주)LG화학 619
1) 회사 일반현황 619
2) 주요 사업 현황 619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22
2-5. (주)이녹스첨단소재 625
1) 회사 일반현황 625
2) 주요 사업 현황 625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27
2-6. 덕산네오룩스(주) 629
1) 회사 일반현황 629
2) 주요 사업 현황 629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32
2-7. 솔루스첨단소재(주) 634
1) 회사 일반현황 634
2) 주요 사업 현황 634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36
2-8. (주)피엔에이치테크 639
1) 회사 일반현황 639
2) 주요 사업 현황 639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41
2-9. (주)LX세미콘 643
1) 회사 일반현황 643
2) 주요 사업 현황 643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45
2-10. 솔브레인(주) 647
1) 회사 일반현황 647
2) 주요 사업 현황 647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49
2-11. 미래나노텍(주) 652
1) 회사 일반현황 652
2) 주요 사업 현황 652
3) 디스플레이 소재 관련 사업동향 656

3. 디스플레이 장비 업체 658
3-1. (주)에스에프에이 658
1) 회사 일반현황 658
2) 주요 사업 현황 658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60
3-2. (주)탑엔지니어링 662
1) 회사 일반현황 662
2) 주요 사업 현황 662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64
3-3. (주)원익IPS 666
1) 회사 일반현황 666
2) 주요 사업 현황 667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69
3-4. AP시스템(주) 671
1) 회사 일반현황 671
2) 주요 사업 현황 671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74
3-5. 주성엔지니어링(주) 675
1) 회사 일반현황 675
2) 주요 사업 현황 675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77
3-6. (주)케이씨텍 679
1) 회사 일반현황 679
2) 주요 사업 현황 679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81
3-7. (주)이오테크닉스 683
1) 회사 일반현황 683
2) 주요 사업 현황 683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84
3-8. (주)DMS 686
1) 회사 일반현황 686
2) 주요 사업 현황 686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89
3-9. (주)필옵틱스 691
1) 회사 일반현황 691
2) 주요 사업 현황 691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93
3-10. (주)아바코 695
1) 회사 일반현황 695
2) 주요 사업 현황 695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699
3-11. (주)아이씨디 701
1) 회사 일반현황 701
2) 주요 사업 현황 701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703
3-12. (주)디바이스이엔지 705
1) 회사 일반현황 705
2) 주요 사업 현황 705
3) 디스플레이 장비 관련 사업동향 706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