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영재 유득공의 영재집 3

영재 유득공의 영재집 3

  • 유득공
  • |
  • 학자원
  • |
  • 2024-10-30 출간
  • |
  • 328페이지
  • |
  • 152 X 225mm
  • |
  • ISBN 9791162473320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9,1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9,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實學飜譯叢書를 펴내며 7


「영재집」 권5
5-1 어제 석왕사비문을 받들고 포천을 지나면서 奉御製釋王寺碑文過抱川 23
5-2 회양 길에서 淮陽道中 25
5-3 철령에서 鐵嶺 26
5-4 원현천을 애도하는 만사 輓元玄川 27
5-5 잠에서 깨어나 睡起 28
5-6 비성에서 병제를 편찬할 때 박 령(박지원)ㆍ홍 황주(홍원섭)ㆍ이 주서가 찾아와서 차운해 짓다 秘省纂次兵制 朴令洪黃州李注書見訪次韻 29
5-7 「노주설안도」에 적다 題蘆洲雪雁圖 30
5-8 비성에서 중양절을 맞이하며 秘省重陽 31
5-9 「장씨충효열정려록」 뒤에 적다 題張氏忠孝烈㫌閭錄後 32
5-10 맹영광의 「백동도」에 부치는 노래 孟永光百童圖歌 35
5-11 제용감 판관으로 도성에 머물며 차운해 짓다 濟用監留都次韻 43
5-12 연경에 가는 검서관 박계지에게 지어 주다 贈朴繼之檢書赴燕 44
5-13 북청도호부사로 부임하는 성용연을 전별하며 別成龍淵赴北靑都護任 45
5-14 이문원 연회에서 학사 서영보와 남공철, 승지 이서구, 동료 이덕무와 함께 시를 짓는데 ‘은(恩)’자 운을 얻어 북청도호부사로 부임하는 성대중에게 지어 주다 摛文院公讌 徐南二學士薑山承旨懋官寮兄同賦 得恩字 贈北靑成都護 46
5-15 대보름 이틀 뒤 학사 남공철과 승지 이서구가 승정원에서 함께 숙직하며 지은 시에 차운하다 上元後二日 次南學士李承旨銀臺伴直韻 50
5-16 교서관에서 책을 편수하다 작고한 벗 이덕무가 떠올라 붓 가는 대로 쓰고 한바탕 통곡하다 芸省編書 憶靑莊故友 信筆一慟 51
5-17 주부 서가운을 애도하며 짓다 【다섯 수】 悼徐稼雲主簿 【五首】 52
5-18 이사거 현감을 추억하여 만시를 짓다 【네 수】 追輓李斯擧縣監 【四首】 54
5-19 북둔의 복사꽃 【두 수】 北屯桃花 【二首】 56
5-20 늦은 봄 이송정에서 마시며 春晩飮二松亭 58
5-21 숙직을 마치고 나오는 날 계성의 서재에 들러 전라도 관찰사로 있는 강산 시랑에게 부치다 出直日 過季成書齋 寄薑山侍郞按節湖南 59
5-22 갑인년 3월 15일 꽃구경과 낚시를 하면서 갱진하다 【두 수】 甲寅三月十五日 賞花釣魚 賡進 【二首】 61
5-23 또 받들어 쓰다 【두 수】 又恭記 【二首】 63
5-24 비로소 가평군에 당도하여 공무의 여가에 읊조린 잡영 【여덟 수】 始到加平郡 公餘雜詠 【八首】 64
5-25 군재에서 홀로 지내면서 한양 집에서 공령문을 익히고 있는 본학과 본예 두 아이가 생각나서 칠언절구 8수를 부쳤는데, 간간이 속어가 섞여있기에 절로 웃음이 났다 郡齋獨居 念學藝二兒在京第課功令 寄七絶八首 間雜俚語 以自笑焉 67
5-26 비 내리는 여름날 남 령의 시에 차운하다 夏雨次南令韻 71
5-27 재차 연경에 가는 검서 박계지에게 지어 주다 贈朴繼之檢書再赴燕 72
5-28 봄눈 내린 가릉관에서 동파공의 취성당 시에 차운하여 본학과 본예 두 아들에게 보여주다 嘉陵館春雪 次坡公聚星堂韻 示學藝二兒 73
5-29 을묘년 3월 7일 임금께서 세심대에 행차하여 지은 시에 화답하여 올리다 乙卯三月七日 駕幸洗心臺賡進 75
5-29-1 앞의 운으로 다시 짓다 再疊 76
5-30 을묘년 3월 9일 꽃을 감상하고 고기를 낚았는데 세심대 운자로 지은 임금의 시에 화답하여 올리다 乙卯三月九日 賞花釣魚 用洗心臺韻賡進 77
5-31 장가를 지어 철옹성으로 부임하는 서 학사에게 부치다 長歌 奉寄徐學士出鎭鐵瓮城 78
5-32 영해 유배지에 있는 강산 시랑에게 부치다 奉寄薑山侍郞寧海謫中 81
5-33 기려객 騎驢客 83
5-34 병진년 정월 24일 화성에서 돌아올 때 지은 어제시에 화답해 올리다 丙辰正月二十四日 華城回鑾賡進 85
5-35 병진년 2월 초하루에 중화척을 하사하며 지은 어제시에 화답해 올리다 丙辰二月初一日 宣賜中和尺賡進 86
5-36 2월 9일에 눈이 내렸기에 차수와 함께 다시 동파의 시에 차운하다 仲春初九日有雪 同次修又次坡韻 88
5-37 황단에서 친향할 때 지은 어제시에 화답해 올리다 皇壇親享賡進 91
5-38 영변도호부사 서 학사의 「향산시권」에 실린 시에 차운하다 【두 수】 題寧邊都護徐學士香山詩卷 次卷中韻 【二首】 93
5-39 도양 감목관 박계지에게 화답해서 주다 和贈朴繼之道陽監牧 94
5-40 청석 도끼를 깎아 만든 벼루에 대한 노래 靑石斧硯歌 95
5-41 이십 운으로 호박을 읊어 차수에게 주다 南瓜二十韻 贈次修 97
5-42 차수의 「소청삼각에서 잠에서 깨어 일어나」에 차운하다 次次修小淸森閣睡起 101
5-43 「운암파왜도」에 대한 노래 雲巖破倭圖歌 103
5-44 「고창현지」에 실린 박의 사적에 대해 짓다 題高敞縣志朴義事 106
5-45 남영에서 「무경」을 교열하는데 차수가 방문하였기에 피리 불며 술을 마시다 南營校武經 次修來訪 吹笛命酒 108
5-46 복사꽃 아래에서 취해 병법 논하는 이에게 주다 桃花下醉贈談兵者 109
5-47 정유거사가 말을 잃어버렸다기에 貞蕤居士失馬 110
5-48 오위 남소에서 숙직하면서 부르는 노래 五衛南所直中歌 112
5-49 중복날 차수의 원정에 모이다 中庚日 集次修園亭 114
5-50 쥐덫 棝 115
5-51 정유거사를 찾아가서 호박을 먹고 차운하여 짓다 訪貞㽔居士食南瓜次韻 117
5-52 정유거사가 전에 강산 시랑에게 부친 시에 차운하여 전항을 새로 만든 걸 축하하다 次貞㽔居士前寄薑山侍郎韻 賀甎炕新成 118
5-53 다시 정유거사 시에 차운해 짓다 【세 수】 復次貞㽔居士韻 【三首】 119
5-54 차수가 영평 현령으로 나가게 되어 또 앞 운을 써서 짓다 次修出宰永平 又用前韻 123
5-55 가을날 한가하게 지내는 직각 남 학사에게 부치다 寄直閣南學士秋日閒居 125
5-56 앞 시에 차운하여 본예에게 보이다 次前韻示藝兒 127
5-57 내각에서 서책을 교정하면서 이 직학(이만수)ㆍ남 직각(남공철)ㆍ이 직각(이시원)ㆍ심 대교(심상규)와 세 검서가 함께 앞 시의 운을 차운하여 짓다 【세 수】 內閣校書 李直學 南李二直閣 沈待敎 三檢書同賦 次前韻 【三首】 128
5-58 자하 거사가 찾아왔기에 함께 남쪽 마을의 도화를 감상하다 紫霞居士來訪 同賞南里桃花 133
5-59 차운하여 간산 대교에게 부치다 【세 수】 次韻寄干山待敎 【三首】 134
5-60 간산 대교의 「복숭아를 먹다」에 차운하다 次韻干山待敎噉桃 140
5-61 원운에 차운하여 좌랑 정대업의 시권 뒤에 써서 주다 題贈佐郞鄭大業詩卷後 步原韻 141
5-62 부사로 연경에 가는 원임 직각 김 시랑에게 드리다 奉呈原任直閣金侍郞以副价入燕 143
5-63 연경에 가는 검서 이경인에게 주다 贈李景寅檢書游燕 145
5-64 신라 진흥왕 북순비 新羅眞興王北廵碑 146
5-65 신라의 깨진 비석 세 기(基) 新羅三殘碑 148
5-66 초여름 【두 수】 初夏 【二首】 150
5-67 그림 부채에 써서 연경에 가는 상사 한대연에게 주다 題畵扇贈大淵韓上舍赴燕 152
5-68 북소에서 숙직하며 北所直中 154
5-69 기미년(1799) 12월, 「춘추」를 다 읽자 자궁께서 음식을 베풀어 임금께서 오언율시를 지었다. 그 시에 차운해 올리다 己未十二月 賡進春秋畢讀慈宮設饌御製五律韻 155
5-70 남소에서 숙직하며 방옹의 시에 차운하여 규장각 동료에게 부치다 【두 수】 南所直中 次放翁韻 寄閣僚 【二首】 156
5-71 사월초파일에 육유의 시를 차운하여 본학과 본예에게 보이다 【두 수】 浴佛日 次陸韻示學藝 【二首】 158
5-72 차운하여 참봉 성붕지가 휴가를 얻어 견성으로 돌아가는 것을 전송하다 次韻送成鵬之參奉休暇還堅城 160
5-73 동음령의 「향소춘장가」 시에 차운하다 次洞陰令餉燒春長歌韻 161
5-74 동음령의 「옥병서간포소어」 시에 차운하다 次洞陰令玉屛西澗捕小魚韻 164
5-75 효렴 진중어에게 화답하다 和贈陳仲魚孝廉 168
5-76 중서 이묵장의 그림 두 폭에 쓰다 題李墨莊中書二帖 169
5-77 효렴 왕백우의 부채 그림에 쓰다 題王伯雨孝廉畵扇 171
5-78 유송람이 주소인의 백합꽃 그림에 쓴 절구에 차운하다 次劉松嵐題朱素人畵百合花絶句韻 172
5-79 연경의 여러 명사를 읊다 【일곱 수】 詠燕中諸子 【七首】 173
5-80 요동벌에 수레를 타고 가며 쓴 잡영 【서른세 수】 遼野車中雜詠 【三十三首】 177
5-81 서쪽으로 공무를 나가며 벽란도을 건너다 西征渡碧瀾 191
5-82 형암 거사의 이가 흔들려 장차 빠지려 하기에 시를 지어 위로하다 炯菴居士齒搖將落 詩以慰之 195
5-83 형암이 차운해 보내온 시에서 이빨이 이미 빠졌다고 하기에 다시 차운해 짓다 炯菴見和云齒已落矣 復次其韻 198
5-84 또 가선에 쓰다 又題歌扇 201
5-85 강화도로 가는 이를 전송하며 느낌이 있어 送人沁都有感 202
5-86 차운하여 송고의 신씨 초당에 쓰다 次韻題松臯申氏艸堂 204
5-87 이 시랑의 동장에서 다시 짓다 李侍郞東莊再賦 206
5-88 청석동에서 靑石洞 208
5-89 낭자산에서 娘子山 209
5-90 오잡조 【세 수】 五雜組 【三首】 211
5-91 진한 와당가 秦漢瓦當歌 213
5-92 계부의 회갑 수연 자리에 공손히 올리다 季父回甲壽席恭進 216
5-93 이날 다시 돌아가신 증조부 회갑연의 운을 따라 짓다 是日更次先曾大父周甲壽席韵 217
5-94 「이문원의 학」에 차운하여 김풍고 합하와 심두실 직각께 삼가 올리다 院鶴次韻 奉呈金楓臯院閤沈斗室直閣 218
5-95 직학사 남사영이 외직으로 나가 춘천도호부를 맡다 南思潁直學士出知春川都護府 219
5-96 춘천도호부사를 규장각에서 전별하며 여러 학사의 시에 차운하다 春川都護內閣餞席 次諸學士韻 221
5-97 연암옹의 작은 집에서 燕翁小齋 222
5-98 삼청동 화원 三淸洞花園 223
5-99 차운하여 박사행에게 주다 次韻贈朴士行 224
5-100 늦은 봄 소유재에서 복사꽃을 감상하며 경인의 시에 차운하다 春晩小酉齋賞桃花次景寅韻 225
5-101 다시 여러 동료들의 시에 차운하다 復次諸寮韻 226
5-102 서 세마의 「동교별업」 시에 차운하다 【두 수】 次徐洗馬東郊別業韻 【二首】 227
5-103 북둔에서 꽃구경하며 학아가 지은 시가 있어 그것에 차운하다 北屯看花 學兒有作 次其韻 228
5-104 경복 옛 궁궐 景福故宮 229
5-105 서 주서에게 주다 贈徐注書 230
5-106 성 주부가 네 가지 물고기를 보내오다 成主簿餉四種魚 231
5-107 소유재에서 숙직하며 경인의 거문고 소리를 듣다 小酉直廬 聞景寅彈琴 233
5-108 이무상이 잔칫술 작은 병 하나를 구해 왔기에 앞 시에 차운해 짓다 李懋賞得讌酒一小壺而至 次前韻 234
5-109 다시 앞 시에 차운하여 봉고에게 주다 贈奉杲 又次前韻 236
5-110 욕불일에 이중립 군이 와서 시를 지어 그것에 차운하다 浴佛日 李君仲立來賦詩 次其韻 237
5-111 「등석」 시에 차운하다 【세 수】 次韻燈夕 【三首】 238
5-112 「단오」 시에 차운하다 次韻端陽 241
5-113 강산 상서가 평안도 관찰사로 부임하기에 삼가 바치다 奉呈薑山尙書按節關西 242
5-114 두실 학사ㆍ권 승지ㆍ원 교리ㆍ이 정언과 함께 탕춘대에서 노닐다 斗室學士權承旨元校理李正言 同游蕩春臺 243
5-115 검서 원약허가 진도 감목관으로 가는 것을 전송하다 【두 수】 送元若虛檢書監珍島牧 【二首】 244
5-116 북둔 초당에서 두실 학사 시에 차운하다 北屯草堂 次斗室學士韻 246
5-117 원 복정과 오원에서 함께 짓다 元僕正吳園共賦 247
5-118 비로소 여강에 이르러 여주목사 박 학사 시에 차운하다 始到驪江 次州牧朴學士韻 248
5-119 양도에서 열병한 뒤 배를 타고 신륵사를 찾아 차운하다 羊島閱兵 挂席訪神勒寺次韻 249
5-120 활터에서 차운하여 짓다 䠶塲次韻 250
5-121 청심루에서 목은의 시에 차운하다 【두 수】 淸心樓次牧隱韻 【二首】 251
5-122 이천으로 가는 길에 차운하여 짓다 利川道中次韻 253
5-123 남여수의 강가 시골집에서 南汝修江天田舍 254
5-124 서장관으로 연경에 가는 원 교리에게 지어주다 贈元校理以書狀官赴燕 255
5-125 연경에 가는 이계명에게 지어주다 贈李季鳴游燕 256
5-126 김동심의 5백근 유묵에 대한 노래 金冬心五百斤油墨歌 257
5-127 두실 학사의 입춘시에 차운하여 드리다 次呈斗室學士立春韻 260
5-128 이인도 찰방으로 부임하는 정제덕을 전송하며 送鄭濟德赴任利仁道察訪 261
5-129 이중립에게 차운하여 주다 次贈仲立 262
5-130 흥양 감목관으로 가는 검서 이성신을 전송하며 送李聖臣撿書監興陽牧 263
5-131 서 죽석학사가 소동파의 「독락원」 운으로 지은 시에 차운하여 드리다 次呈徐竹石學士坡韻獨樂園 264
5-132 이무상과 아들 본예가 숙직하면서 벌에 대해 읊었는데 흥취를 기탁함이 빼어나 즐길만하기에 그 시에 차운하다 【네 수】 李懋賞與藝兒 直中詠蜂 興托超悟可喜 次其韻 【四首】 267
5-133 차운하여 정생의 양근 용진정사에 제한 시를 지어 보내다 次韻寄題鄭生楊根之龍津精舍 268
5-134 삼가 사국의 여러 공들이 수창한 율시를 읽었는데 내가 「일성록」 초안을 쓰는 것이 또한 책무였기에 슬픔을 가누지 못하고 공경히 차운하여 짓다 奉讀史局諸公唱酬長句 日省錄起艸亦職也 不勝愴褱敬次 269
5-135 순천 감목관 서경재에게 지어 주다 贈順天監牧徐敬哉 271
5-136 배봉 감목관 이경인에게 부치다 寄李景寅拜峯監牧 272
5-137 호남을 안찰하는 두실 학사에게 받들어 올리다 奉呈斗室學士按節湖南 274
5-138 가을날 한가로이 지내면서 백거이의 시체를 본받아 본학과 본예에게 보여주다 【열두 수】 秋日閒居 效白軆示學藝 【十二首】 275
5-139 대나무 새장 속의 앵무새 竹間舍鸚鵡 280
5-140 검서 경리의 면신회에서 유유옹의 시에 차운하여 드리다 【두 수】 景李檢書免新會 次呈酉酉翁 【二首】 281
5-141 대유재에서 교서하며 동료들에게 장난삼아 받들어 올리다 大酉齋校書 戱奉寮席 283
5-142 교정하고 인쇄하는 여가에 함께 본 것을 짓다 【다섯 수】 校印之暇 共賦所見 【五首】 284
5-143 박연암을 애도하는 만사 【네 수】 輓朴燕岩 【四首】 286
5-144 용강 현령으로 부임하는 자하 학사에게 지어 주다 贈紫霞學士出宰龍岡 288
5-145 정군복에게 주다 贈鄭君復 290
5-146 남여수에 대한 만시 挽南汝修 292
5-147 친척형 홍 동추의 회갑을 맞이해 戚兄洪同樞回甲 293
5-148 풍고 합하가 부채에 쓴 시에 차운하여 아울러 죽석 상서에게 드리다 次楓閤詩扇韻 兼呈竹石尙書 294
5-149 죽석 상서가 산동 대추를 보내와서 竹石尙書餽山東棗 296
5-150 병인년 여름 옛 책 상자를 살펴보다가 소주의 효렴 황성이 그려준 작약 그림 한 폭을 얻었기에 예아(유본예)를 시켜 본떠 그리도록 하고는 황성이 지어준 칠언절구에 차운하여 짓다 【두 수】 丙寅夏 撿舊篋 得蘇州孝廉黃成芍藥一幅 令藝兒倣寫 仍次其題贈七絶 【二首】 298
5-151 무더위에 지쳐 툇마루에 누워있다가 나는 새 두 마리를 보고는 장난삼아 짓다 苦熱卧小軒 睇二種飛禽戱賦 300
5-152 음마장성굴행. 고려악부를 본떠 풍고 합하의 시에 차운하다 飮馬長城窟行 擬高麗樂府 次楓閤韻 301
5-153 평강으로 부임하는 서 사군을 전송하며 送平康徐使君之任 303
5-154 영화 찰방 성붕지를 전송하며 送成鵬之迎華察訪 304
5-155 죽석 상서가 금강산을 유람하고 돌아와 단풍ㆍ계수나무ㆍ돌 세 가지를 풍고 합하에게 보내어 각기 절구 한 수를 읊었는데, 그 시에 차운하다 竹石尙書游金剛而歸 以楓桂石三種餉楓閤 各賦一絶 次韻 305
5-156 우사영정에 써서 받들어 올리다 題奉又思潁亭 307
5-157 차운하여 서유호와 송수경에게 주다 次韻贈徐攸好宋受卿 308
5-158 다시 서유호의 시에 차운하다 【세 수】 又次徐攸好韻 【三首】 310
5-159 우연히 짓다 偶題 312
5-160 죽석 상서가 화성의 능원전을 봉심하고 지은 시에 차운하다 次竹石尙書華城陵園殿奉審韻 313


찾아보기 31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