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는 글
‘스포츠 인스티튜트’는 두 부류의 대상에 도움을 주고자 기획된 실용서입니다. 첫 번째는 국제스포츠 필드에서 활동하길 꿈꾸며 아래의 질문을 갖는 학생들과 이들의 진로를 함께 탐색하며 적절한 도움을 제공하기 위해 고심하는 상담 교수들입니다. 두 번째 대상은 대학교 등의 교육기관에서 스포츠 관련 교과과정 또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교수들과 교육행정가들입니다. 이들은 스포츠의 본질을 이해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현상을 간파하며 이에 필요한 지식을 예측해 실제에 맞게 교과목을 구성하도록 요구받습니다. 이 책이 양쪽 모두에게 유익한 안내서로 쓰일 수 있길 기대합니다.
• 체육학 관련 학위가 있습니다. 더 깊이 있는 실무중심의 스포츠 경영/행정 공부를 위해서는 어느 대학원에 진학해야 할까요?
• 스포츠로 방향을 바꿔 석사부터 새로 공부해보고 싶습니다. 스포츠 야에서 널리 인정받는 학교는 어디인가요?
• 스포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해 스포츠 행정가가 되고 싶습니다.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자격증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 다른 분야를 전공했습니다. 스포츠 쪽으로 커리어를 만들어가려면 어디서부터 어떻게 시작해야 하나요?
본서는 총 3권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제1권 ‘국제스포츠 마스터’에서는 스포츠 경영/행정 관련 석사과정 진학을 고려하는 이들을 위해 우선적으로 추천되는 10개 기관 및 프로그램을 소개합니다. 제2권 ‘IOC 온라인 자격인증 과정’에서는 스포츠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길 희망하는 이들을 위해 권위 있는 8개 프로그램을 안내합니다. 제3권 ‘올림픽 스터디 센터’에서는 올림픽과 전 세계 스포츠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기관과 이의 프로그램들에 대해 살펴봅니다.
‘인스티튜트’는 일반적으로 특정 목적을 지닌 기관, 단체, 협회, 시설 등의 ‘조직’을 의미합니다. 상황에 따라 제도의 도입, 법률의 시행, 그리고 특정 공동체의 문화, 제도, 질서, 풍습, 도덕, 규범 등의 양식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스포츠 인스티튜트’는 ‘스포츠 관련 학문을 연구하고 교육하기 위해 설립된 조직체’로 정의합니다. 트레이닝 센터와 종목별 아카데미 등은 주목적이 지식의 전달보다 신체의 훈련에 있기에 고려 대상에서 제외했습니다. 유사 단어 ‘인스티튜션’은 개념과 범위를 엄밀히 분리하지
않고 여기서는 ‘인스티튜트’로 통칭했습니다.
‘스포츠 인스티튜트’는 아래 제시된 ‘스포츠 거버넌스’ 관점에서 ‘기능적 스포츠 조직(Functional Sport Organization)’에 해당합니다. 이는 거버넌스 핵심 조직들이 각 역할을 효과적으로 감당하고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각자의 고유 전문성을 바탕으로 측면에서 지원하는 독립기구들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