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에는 과학력, 집단력集團力, 정보력이 과도하게 발달하게 되었고 오히려 인간은 거기에 결박되어 주체성을 상실하고, 자기 정신을 잃고 살아가게 되었습니다.
참사람은 일체의 한정限定을 절絶하고 형상을 절絶할 뿐만 아니라 무한의 자기부정을 자유로 하는 것이므로 무無(Nothingness, Nechts)라고 합니다.
이 무한의 자기 부정하는 무無에서 무한의 능동적 적극성이 나오며, 이것을 주체主體라고 합니다. 이 주체는 무한히 자기를 부정하고, 무한히 자기 실현하여 일체 중에 자유자재하게 활동합니다.
이 근원의 주체인 참사람은 세계를 형성하고 역사를 창조하는 작용을 합니다. 능동적 주체로서 참사람은 어디에도 걸림이 없이 자유자재합니다.
우리가 이 참사람의 입장에서 예술과 문학을 하고 정신을 함양하게 되면 한층 더 예술혼과 성숙된 문학 활동을 할 수 있다고 확신하는 바입니다.
남쪽 맨 끝자락 모퉁이에 위치한 산과 들 그 사이로 둘러싸인 작은 마을 그곳. 고향은 늘 시골향내음이 가득하였고 어두 캄캄한 밤이면 밤하늘에 보석처럼 수놓은 수많은 별들을 바라보면서 행복한 꿈을 꾸었던 그 추억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
태초의 원시적 윤회의 삶이 아직도 살아서 꿈틀거림을 영혼으로 느끼게 해주었던 고향, 인생에 있어서 가장 황홀했던 그 아름다운 경험을 생각하게 될 때마다 가슴이 뜨거워지며 자연이 주는 아름다운 매료로 마음이 늘 흔들렸고 하루하루 살아갈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생의 감사로 가슴이 벅차오르곤 합니다. 우린 스스로에게 화두를 던져볼 필요가 있습니다.
가령 지금까지 당신이 살아오는 동안에 가장 아름다운 모습을 볼 수 있었을 때가 과연 어느 때였습니까라고 물을 때, 아름다운 꽃, 붉게 물든 저녁놀, 새벽안개, 촉촉히 내리는 봄비, 뭉개뭉개 피어오르는 아지랑이, 산사에서 들려오는 새벽 예불소리, 어린 아이의 맑은 눈망울과 천진한 웃음, 남녀가 정답게 사랑하는 모습, 땀흘려 일하는 모습, 이 중 어떤 것입니까?
바로 우리 자신이 이 우주 안에서 가장 아름다운 모습은 부처가 될 수 있는 불성을 가지고 있을 때입니다. 옛 선승들의 어록을 읽고 스스로가 부처님께서 수행한 삶을 생활 속에 실천하길 기원하며 선사들께서 말씀하신 한 마디 한 글귀는 바로 깨달음의 문으로 들어가는 눈부신 빗장이며 자비와 사랑에 이르는 맑은 꽃입니다.
제삼 묻고 싶습니다.
언제 가장 우리가 아름답다고 느껴집니까?
자신에게서 이러한 아름다움을(부처가 될 수 있는 불성의 모습) 발견하는 때일 것입니다. 결국 우리가 이 세상 온 목적은 깨달음의 궁극적인 목표입니다.
한번 흘러가버린 과거의 고통과 상처, 그리고 아픔들은 우리 자신에게 깃들어 있는 부처님의 모습을 보지 못하게 만듭니다. 우리 자신의 안으로부터 진정한 아름다움을 발견할 수 있을 때까지 화두는 계속 더하여지게 될 것입니다.
스스로 깨닫지 못하여 아름다운 모습을(부처가 될 수 있는 불성) 발견하지 못한 사람은 자신 안이 아닌 밖으로부터 찾기 위해 발버둥치게 된다면 헛된 노력일 뿐 진정한 내 안의 자비와 평화는 결코 얻을 수 없을 것입니다.
우리에게 있어서 잊을 수 없었던 상처와 장애에도 불구하고 스스로에게서 부처가 될 수 있는 불성의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면 부처님께선 그 얼마나 자비스러운 마음으로 우리를 사랑하고 계시는지 가슴 깊이 느끼게 될 것입니다.
진정한 아름다움과 삶의 의미를 발견하고 내 자신을 더 깊이 사랑할 수 있게 된 사람만이 나와 남을 구별하지 않고 서로 사랑하면서 아름다운 삶을 살아갈 수 있을 것입니다.
아울러 여기에, 서세옥 화백의 명상과 초월의 사상思想적 인간을 주제로 한 작품에서 그 뜻을 함께 읽어주시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