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사람의 발걸음이 길이 되기까지!”
우리가 지금 ‘SF 순정만화’를 기억해야 하는 이유
폴라북스 ‘순정만화xSF소설’ 컬래버레이션 시리즈 마지막!
“인류를 앞으로 나아가게 만드는 힘은 무엇인가?”
광막한 미래를 홀로 나아가는 영혼의 숙명적인 외로움
1999년에 첫 연재를 시작해 완결이 나지 않은 《제멋대로 함선 디오티마》를 순정만화 팬들이 20년이 지난 지금까지 잊지 않고 회자하며 완결을 기다리는 이유는, 이 작품이 우리가 사유하는 인간인 이상 가질 수밖에 없는 ‘아직 도달하지 못한 미지의 영역을 알고자 하고,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존재론적 열망을 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제멋대로 함선 디오티마》는 200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삶과 죽음을 반복한 한 ‘진화하는 영혼’에 관한 이야기다. 기원전 3세기 그리스에서 태어나 ‘더 많은 것을 알고 싶어 넓은 세상으로’ 나갔고, ‘세상의 모든 산을 오르고 싶었고, 달의 뒷면을 보고 싶었던’ 디오티마라는 이름의 여성은 갑작스런 사고로 비참한 죽음을 맞이한 후, 과거의 기억을 간직한 채 계속해서 새로운 삶을 반복하는 ‘진화하는 영혼’이 된다. 그렇게 2000년의 기억을 담고 다시 태어난 새로운 삶의 이름은 ‘나머 준’, 2092년 ‘달의 뒷면’이 보이는 거대 함선 우주정거장 ‘디오티마’의 역장이다.
전혜진 작가가 2024년의 문법으로 오마주한 《달의 뒷면을 걷다》는 나머 준과 동시대를 살아가는 달에서 태어난 월인 소녀 ‘디오티마 우코’에 관한 이야기이다. ‘디오티마’라는 이름을 들으면 “혹시?”하고 기대하는 사람들의 시선에 반발하면서, 달을 벗어나면 죽을 수밖에 없고 새로운 아이가 태어날 수도 없어 언젠가는 소멸할 수밖에 없는 ‘월인’이 할 수 있는 일을 찾아 싸우는 열여덟 소녀 디오티마는 《제멋대로 함선 디오티마》의 오랜 팬인 전혜진 작가만이 만들어 낼 수 있는 또 하나의 ‘진화하는 영혼’이다.
원작의 ‘진화하는 영혼’ 나머 준은 고민한다. 2000년의 세월의 기억을 가진 채로도 여전히 미지의 영역은 존재하고, 이렇게 영원히 답을 찾아 앞으로 나아가기만 하는 ‘영혼의 진화’에 무슨 의미가 있는지. 그리고 전혜진 작가의 《달의 뒷면을 걷다》 속의 디오티마 우코는 말한다. ‘진화하는 영혼’ 같은 거창한 수식어가 붙지 않아도, 막연함 속에서도 자신의 길을 잃지 않고 내딛는 첫 걸음이 중요하다고.
원작의 ‘광막한 미래를 홀로 나아가는 영혼’ 나머 준에게 느꼈던 달큰한 쓸쓸함을 다시 맛보고픈 독자들에게, 혹은 우리가 그때 느꼈던 쓸쓸함의 정체가 무엇인지 답을 찾고픈 독자들에게, 전혜진 작가가 미완의 원작을 향해 찍은 마침표 《달의 뒷면을 걷다》가 오랜 갈증을 해소할 수 있는 대안이 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