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평화, 사랑과 배신의 경계에서
충성, 복수, 구원을 그린 중세 미스터리
1141년 스티븐 왕과 모드 황후 간의 왕위 다툼으로 혼란이 극심하던 때, 슈루즈베리 지역에서 벌어진 한 격렬한 전투에서, 스티븐 왕의 부하인 길버트 프레스코트가 전투 중 포로로 잡혀간다.
때마침 웨일스의 오아인 귀네드 쪽 청년인 엘리스가 스티븐 왕 측의 포로로 잡힘에 따라, 슈루즈베리 지역에서는 프레스코트와 엘리스를 맞바꾸는 포로 교환 이야기가 구체화된다. 이 교환 작전은 양측 간의 긴장감을 잠시나마 완화시키는 중요한 협상이 될 예정이었다.
슈루즈베리 수도원에 구금된 엘리스는 프레스코트 행정 장관의 딸인 멜리센트와 만나 사랑에 빠진다. 엘리스와 멜리센트의 사랑은 처음부터 순탄치 않았는데, 정치적 상황이 복잡할 뿐 아니라 둘의 가문이 서로 적대적인 위치에 놓여 있었기 때문이다.
이 와중에 프레스코트 행정 장관은 의문의 상황 속에서 죽음을 맞이하고, 시신 주변의 단서들은 누군가가 그를 의도적으로 살해했음을 암시한다. 프레스코트의 사망은 협상과 포로 교환을 더욱 어렵게 만들며 지역 내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킨다. 프레스코트 행정 장관의 죽음을 가장 먼저 발견한 캐드펠 수사는 전쟁과 사랑, 복수와 배신의 미묘한 경계 속에서 사건의 진실을 추적한다. 그 과정에서 캐드펠 수사는 프레스코트의 죽음이 전쟁으로 인한 결과가 아니라 복잡한 인간관계 속에서 벌어진 개인적인 감정과 음모의 산물임을 알게 된다.
어느 쪽도 내려놓기 어려운 상황에서 캐드펠 수사는 고뇌를 거듭한다. 벼랑 끝에 내몰려 단 한 번의 죄를 저질렀다고 할 때 과연 그를 거기까지 내몬 옆 사람들과 세상에는 죄가 없는 것일까? 참회한 죄인이 우정과 사랑을 위해 몸을 던졌을지라도 목숨의 대가는 목숨으로 갚아야 하는가? 한 생명을 떠나보내야만 세상이 더 정의로워지는가?
『죽은 자의 몸값』은 전쟁 속에서도 인간의 존엄성과 사랑이 어떻게 유지될 수 있는지를 질문하는 작품이다. 12세기 잉글랜드는 왕위 계승 문제로 인해 내전 상태에 있었고, 이 전쟁은 각 지역의 귀족과 평민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엘리스 피터스는 이러한 역사적 상황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면서, 그 속에서 사람들이 어떻게 서로 대립하고 갈등하면서도 사랑과 평화를 추구했는지를 짜임새 있는 구성과 활달한 문체로 생생하게 그려낸다. 캐드펠 수사의 지혜와 따뜻함은 이 작품 속에서 더욱 빛을 발하며, 전쟁 속에서도 인간적인 가치를 지키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무게감 있게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