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풍물의 미학

풍물의 미학

  • 송성섭
  • |
  • 바오출판사
  • |
  • 2024-10-25 출간
  • |
  • 316페이지
  • |
  • 150 X 225mm
  • |
  • ISBN 9788991428966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풍물이란 무엇일까? 어떤 이는 ‘풍물’이라고 하고, 어떤 이는 ‘농악’ 또는 ‘매구’라고도 부르는데, 이것의 정체는 여전히 안개에 휩싸인 미지의 기호이다. 도대체 언제, 누구에 의해서 이러한 연행이 시작되었으며, 이러한 장단과 가락에는 어떤 미학적 함의가 담겨 있는 것일까?
이 책은 우리 민족의 전통예술인 ‘풍물’의 역사적 유래와 그 예술적 의미를 미학의 관점에서 다룬 저작이다. 저자는 풍물이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어떻게 변화·발전했는지 그 변천과정을 추적하면서 풍물이 단순한 민속예술을 넘어 미학적·철학적 가치를 지닌 중요한 문화유산임을 강조한다. 특히 풍물이 농악, 매구 등의 민속 예술과 연결되어 공동체 의식을 표현하는 수단이었다고 설명한다. 풍물의 역사적 기원과 왕실에서의 사용, 그리고 현대적 변천 과정에 대한 분석을 통해, 독자들에게 풍물의 전통적 가치와 현대적 재해석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이제까지 없던 풍물에 대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한다는 면에서 출간의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풍물이란 무엇인가

풍물이라는 용어는 『조선왕조실록』 연산군 때 처음 등장한다. 그러나 풍물이 구체적으로 무엇을 의미하는지 명확한 언급이 없다. 풍물에 대한 규정은 『승정원일기』 인조 25년(1647) 11월 16일 기사에서 “풍물은 곧 임금이 거동할 때 대가의 앞뒤에서 고취하거나 (외국의) 칙사를 환영하는 연향 때에 사용하는” 악기를 지칭하는 것으로 처음 등장한다. 제사나 조회에 사용하는 악기와 구별하여 풍물이라 한 것이다. 제사나 조회에 편경이나 편종, 축과 어 등의 악기가 사용되었다면, 고취나 연향에는 방향, 비파, 필률, 월금, 대금, 가야금, 아쟁, 해금, 장고 등이 사용되었다. 그리하여 각종 진찬이나 진연 등을 기록한 ‘의궤’에는 “악기풍물”이라고 병기하여 명확하게 구별하였던 것이다. 풍물에는 군악의 요소와 연향의 요소가 짙게 배어 있다.

농악ㆍ두레ㆍ매구의 형식적·실질적 구별

농민들이 농사를 지을 때 능률을 올리거나 힘든 노동의 수고를 덜기 위해 했던 농악은 그 역사가 꽤나 오래되었다. 인조 때 안유신(1580~1657)이 지은 「유두관농악」을 비롯하여, 『영조실록』, 권섭의 『옥소집』, 황현의 『매천야록』 등에서 농악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특히 이정직(1841~1910)은 『석정집』에서 농악에 관하여 묘사하고 있는데, 이때 군악과 결합된 양태를 언급하기도 하였다. 또한 농사와 관련된 용어인 ‘두뢰(두레)’도 김윤식(1835~1922)이 지은 『속음청사』에서 처음 보인다. 두뢰(두레)는 7월 백종(百種)의 김매기와 연관된 용어이다. 음력 7월 보름에 김매기가 모두 끝나면, 그 동안의 노고를 위로하기 위하여 술과 음식을 장만하고 북을 치고 징을 울려 서로 오락하는 것을 ‘두뢰연’이라 하였던 것이다. 매귀는 매구라고도 하는데, 나례와 관련이 있다. 「울산부읍지」, 이옥의 「봉성문여」, 권상일의 『학성지』, 오횡묵의 『경상도함안군총쇄록』 등에 그 내용이 전해진다. 가면놀이를 하기도 하고, 꼭두각시놀음을 하기도 하고, 무동을 하기도 하고, 지신밟기를 하기도 하고, 북과 징을 울려 춤추고 뛰어 놀기도 하였다. 크게 보면, 농악과 매구는 그 뿌리를 달리하였지만, 조선 후기 군악적 요소와 결합하면서 발전하게 되었고, 군악의 진법과 가락을 주로 하여 연행되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전립에 상모를 달고 놀이하는 ‘중피(衆皮)’이다. 그리고 대포수청령할 때의 ‘순령수’, 조선의 군악대인 세악수가 호궤할 때 연주하였던 영산회상과 관련이 있는 ‘영산가락’ 등이 군악과의 관련성을 입증하고 있다.

풍물은 조선 폐망 후 농악ㆍ두레ㆍ매구를 지칭하는 별칭

풍물은 조선의 왕실에서 고취하거나 연향할 때 사용한 악기를 지칭하였지만, 조선의 폐망과 더불어 풍물이라는 용어도 쓸 일이 없게 되었다. 그런데 풍물이라는 용어는 1912년 매일신보의 기사에서 새롭게 부활하게 된다. 경기도 양주군에서 농업계를 조직하고 모를 심거나 맬 때 농악을 울렸는데, 일본에서 국상이 나자 근신하여 풍물을 폐지했다는 기사를 실었다. 이때 농악을 풍물이라고 기록한 것이다. 또한 1921년 동아일보의 기사에서도 농악이나 매귀라는 용어 대신에 풍물이라는 용어를 쓰기 시작했다.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노농동우회 등의 새로운 조직이 출현하기 시작하였고, 이들이 메이데이 시위 행렬을 할 때 풍물을 두드렸다고 기록한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12년에 등장하기 시작한 풍물이라는 용어는 조선시대의 풍물을 잘 이어받은 용어라 할 수 있다. 조선의 왕실에서 사신의 접대나 왕의 행차에 사용되었던 악기를 지칭하는 용어였던 풍물에는 군악과 연행의 의미가 들어있는데, 농악과 매귀를 통칭하는 현행 풍물이라는 용어에도 조선 후기 병법의 진법과 신호 그리고 백희, 잡희의 요소가 짙게 배어 있기 때문이다.

풍물은 천도(天道)의 현시이다

농악이나 두레 또는 매구는 군악을 중심으로 변화ㆍ발전하였다. 그런데 조선의 진법은 태극과 팔괘의 효시가 되는 그림인 「하도(河圖)」와 「낙서(洛書)」에서 그 원리를 취하였다. 「하도」와 「낙서」에 따르면 백성이 예의를 알게 되고, 국가는 늘 편안하게 된다고 생각하였다. 「하도」와 「낙서」는 천명의 현시이다. 그렇기에 전쟁에서 필승의 원리였다. 풍물에서 펼쳐지는 구궁진, 팔괘진을 비롯하여, 원진, 직진, 방진, 곡진의 상생하고 상극하는 진풀이는 하늘의 운행을 상징하는 12차(次)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는 천도의 현시를 본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천명은 「하도」와 「낙서」로 현시되고, 「태극도설」로 드러난다. 그런데 양자역학으로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닐스 보어는 양자역학과 가장 근접한 사유체계로 태극을 들었다. 그래서 그는 노벨물리학상을 받을 때 팔괘가 그려진 옷을 입었으며, 가문의 문장을 태극 무늬로 장식하였다. “대립적인 것은 상보적인 것이다.” 그가 가문의 문장에 새긴 문장이다. 풍물의 기본원리는 「하도」와 「낙서」이고, 「하도」와 「낙서」는 구궁, 팔괘를 비롯하여, 오행으로 드러나는데, 풍물의 치배들이 펼치는 각종 진풀이와 가락은 천명을 현시하고자 하는 우리 민족의 몸짓이라고 할 수 있다.

K-컬처와 풍물의 미래

바야흐로 K-컬쳐의 시대이다. BTS, 봉준호 감독과 박찬욱 감독의 쾌거에 이어, 우리나라에서도 드디어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나왔다. 『채식주의자』와 『소년이 온다』를 비롯한 작가 한강의 작품은 불과 며칠 사이에 100만 부가 넘게 팔렸으며, 해외에서도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 K-컬처 열풍은 군악에서도 불고 있다. 국제군악제에서 한국 전통악대의 공연에 대한 반응이 매우 뜨거울 뿐 아니라 직접 배우려는 사람도 늘어나고 있다. 처음 보는 군악이지만, 매우 역동적이고 다양한 가락과 진법에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것이다. 그런데 한국 군인의 전통악대가 선보이는 것이 다름 아닌 풍물이다. 바야흐로 풍물의 시대가 열리고 있는 것이다. 앞으로 풍물은, 전 세계에서 K-컬러를 선도해왔던 대중음악과 드라마, 영화, 문학에 이어 새롭게 각광받는 장르가 될 것이다. 바로 그렇기에 우리가 먼저 풍물에 대한 논의를 정립하고, 그 이론 체계를 단단히 가다듬어야 할 것이다.

목차

머리말·8

1장 풍물을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들
-풍물(風物)이란 무엇인가?·20
1부 풍물의 유래
1) 풍물, 「연산군 일기」에 처음 등장·23/2) 현행 풍물과 관련된 과제들: 매구·25/3) 현행 풍물과 관련된 과제들: 악기, 치배, 복색·29

2장 풍물, 왕실에서 사용했던 악기
1부 풍물과 악기
1) 소리가 공존하며 돕는 것이 평화(平和)·34/2) 풍물, 천한 사람들이 연주하는 귀한 음악·37/3) 인조 때 기록 『제기악기도감의궤』·40/4) 정조, 사도세자 제례악 위해 장인 200명 모셔·43
2부 풍물과 고취
1) 풍물, 제사나 조회 때는 서로 다른 악기를 사용·47/2) 고려의 예악을 이어받은 조선·50/3) 고려, 국가적 경사 때도 연주·52/4) 고려만의 특색을 잃지 않은 고려의 고취·54/5) 독특한 고려 고취: 안국기ㆍ고창기ㆍ천축기ㆍ연악기·57/6) 고구려, 백제, 신라도 고취 사용·59
3부 풍물과 군악
1) 북소리에 전진, 징소리에 정지·63/2) 현행 풍물에 배어 있는 군악의 흉터·66/3) 태평소, 조선 태조 때 첫 등장·69/4) 징과 북, 전진과 후퇴의 신호·73/5) 좌작진퇴는 금고 담당·76/6) 조선, 오행진법 적극 사용하다·79/7) 군악과 『병학지남』·81/8) 풍물과 세악수·86/9) 풍물과 대포수·90
4부 풍물과 연향
1) 음악은 하늘로 말미암아 지어진다·94/2) 사신을 성대하게 접대한 조선·96/3) 세종, 중국을 능가하는 아악을 완성·99/4) 세종, 향악의 폐지에 반대·102/5) 시각장애인에게 관현 연주를 맡기다·105/6) 세종이 창제한 음악 ‘균화’, 백성들과 조화로운 삶 꿈꾸다·108/7) 고려 때 빈번한 행사로 연주 명인들 탄생·114/8) 고구려 음악의 독특한 맵시·117/9) 빈손으로 춤추는 것이 춤의 근본·120/10) 혜경궁 홍씨 회갑연에 ‘처용가’ 연희·124/11) ‘수제천’과 ‘정읍사’는 다른 곡·126
5부 풍물과 나례
1) 외국 사신들이 반한 조선의 나례·130/2) 궁중유희, 희학과 풍자도 있었다·132/3) 신선이 줄을 타듯, 봉황새도 ‘얼쑤’·135/4) 사신 왕래, 궁궐 향연서도 거행·145/5) 화창한 봄날, 괴뢰를 연희·148/6) 나식 ‘괴뢰부’에 노장 사상 담아·150/7) 앉고 일어서고 눕고 ‘줄타기’ 유희·154/8) 조선시대 나례를 담당한 ‘재인(才人)·158

3장 풍물, 왕실에서 민간으로
1부 농악과 두레
1) 농악의 유래·164/2) 두레의 유래·170
2부 매귀와 군악
1) 매귀 또는 매구·174/2) 군악과 농악·두레·매구Ⅰ·191/3) 군악과 농악·두레·매구Ⅱ·197
3부 가락, 악보, 장단
1) 복잡하고 세밀한 우리의 가락과 악보·214/2) 농악·두레·매구의 진법과 장단 그리고 가락·244/3) 풍물 그리고 사당·농악(두레)·매구·277

맺음말·290-풍물의 미학/참고문헌·308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