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을 안다는 것은 존재를 안다는 것입니다. 평생 숲을 연구한 저자가 엮어낸 이 책은 식물이란 존재를 새롭게 만나게 합니다.”
★★★★★ 전한길 추천(한국사 일타 강사, 역사 유튜버, 《네 인생 우습지 않다》 저자)
“‘식물 좀 아는 누나’가 들려주는 식물 이름에 얽힌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듣고 있으면 지혜로워집니다. 착한 사람들은 눈높이를 맞추고 가장 먼저 이름을 물어봅니다. 네 이름이 뭐니? 무슨 뜻이니? 누가 지어 주었니?”
★★★★★ 림태주 추천 (시인, 에세이스트, 《관계의 물리학》 저자)
“‘파릇파릇 나뭇잎이 돋았다’라고 말하는 사람과 ‘파릇파릇 까치박달 잎이 돋았다’라고 말하는 사람의 느낌이 과연 같을 수 있을까요?”
식물 연구자 김영희 저자는 이름의 중요성을 이렇게 설명한다. 이름을 알면 출근길의 흔한 가로수가 내가 아는 이팝나무가 되고, 예쁜 외모와 다르게 슬픈 이름을 가진 며느리밑씻개가 다시 보인다. 이름을 안다는 것은 존재를 안다는 것이고, 식물 이름을 알면 인간 삶을 지탱해 주는 그들을 보다 사랑하고 가까이할 수 있게 된다.
이 책은 한 번 본 식물은 잊어버리지 않는, 평생 숲을 드나들며 식물을 연구한 저자가 전하는 식물 이름 이야기다. 우리가 흔히 만나는 들꽃부터 나무들의 이야기는 물론, 직접 식물 이름을 지어주며 경험했던 식물명명학의 세계도 보여준다. 또 한국명과 국제적 학명을 넘나들며 닮은 점과 다른 점을 살펴보고, 그 이름들의 근간이 되는 식물의 모습을 자세히 탐구한다.
이름과 생태를 오가는 흥미진진 식물 이야기
까치가 열매를 먹는다는 까치밥나무. 그런데 까치는 까치밥나무를 만나기가 쉽지 않다. 까치는 민가에서 주로 살고, 까치밥나무는 깊은 산속에서 드물게 자라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왜 이 나무 이름은 까치밥나무가 되었을까?
우산제비꽃의 ‘우산’은 비 올 때 쓰는 우산이 아니라 울릉도의 옛 이름 ‘于山’을 뜻한다. 울릉도에 사는 이 제비꽃의 학명은 ‘비올라 우산엔시스Viola woosanensis’. ensis는 ‘~로부터’를 말하는데 ‘우산국에 분포하는’이란 뜻이다. 우산제비꽃의 국제적 학명에 울릉도가 표기된 것이다. 이런 경우는 매우 흔하다.
금강초롱꽃의 속명에는 ‘하나부사야Hanabusaya’라는 일본인의 이름이 들어가 있다. 금강산에서 처음 발견된 한국특산식물인데도 불구하고 처음 이름을 지어준 사람이 일본인이어서 그렇다. 그래서 북한은 이 금강초롱꽃속을 ‘금강사니아Keumkangsania’로 부른다. 공식적인 이름으로 인정받지 못하더라도 그렇게 부르고 있는 것이다.
율곡 이이 선생의 고향 강릉에는 ‘너도밤나무’와 ‘나도밤나무’ 전설이 있다. 율곡 선생의 호 때문에 생겨난 것이라 추정된다. 그런데 강원도 강릉에는 너도밤나무도 나도밤나무도 없다.
이 두 나무는 어떻게 ‘너도’와 ‘나도’라는 이름을 얻었을까?
당귀는 약효가 있는 식물로 유명하다. 이 당귀속의 학명은 ‘안젤리카Angelica’. 천사라는 뜻이다. 당귀가 오래전부터 아픈 사람들을 돌보아서 그랬을까? 당귀의 한자 이름은 ‘균형 있게 돌아오다’를 품고 있고, 학명은 ‘천사’를 품고 있다.
《식물의 이름은 어디서 왔을까》는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식물들의 특징을 살펴보며 그 이름의 유래와 이유를 섬세하게 알려주는 한편 몰랐던 사실들도 흥미진진하게 설명한다. 비슷한 이름을 가진 식물들은 과연 친척 관계일까? ‘참’이 붙은 식물은 먹을 수 있거나, 맛이 으뜸일 때 사용한다. 그렇다면 ‘개’나 ‘쥐’는 열등할까? 어떤 면이 사람이 보기에 열등할까?
모양에 따라, 쓸모에 따라, 생김에 따라 식물의 이름은 다양하게 지어지고 때로는 이름과 식물이 동떨어져 보이기도 한다. 또 한국명과 국제적 학명이 묘하게 일치할 때도 있고 전혀 다른 의미를 띨 때도 있다. 이 책은 그런 차이점과 공통점을 자세히 살피며 재미있는 이름 속 세계로 독자들을 안내한다.
식물 이름 읽는 법부터 짓는 법까지
《식물의 이름은 어디서 왔을까》는 ‘식물 이름 리딩 가이드’로 시작한다. 학명을 읽는 법, 학명을 이해하는 방법 등을 자세히 소개하고 정명, 이명, 속명, 향명 등 이름을 가리키는 여러 명칭 등도 알려준다. 또한 식물의 꽃차례 특징, 성별 구분법, 수정법 등도 친절히 안내한다. 이름이란 통로로 식물과의 만남을 주선하고 그들의 특징을 알아가도록 돕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직접 ‘쇠뿔현호색’의 이름을 지어주며 경험했던 명명의 규칙 등도 공개, 식물 이야기의 새로운 영역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