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을 공부한 지 반세기가 지난 지금에서야
철학이 이렇게도 쉽고 재미있는 걸
이 책을 읽고 알게 됐다.”
- 박이문(전 연세대 특별초빙교수)
서양 대표 철학자가 들려주는 일상생활 속 철학
플라톤, 데카르트, 칸트, 마르크스, 사르트르는 약 2400년 역사를 가진 서양 철학 중 가장 주목할 만한 이론 중 하나를 세워 냈으며 후대 철학 및 문화에 큰 영향을 끼쳤다. 플라톤은 형이상학의 근간을 다졌으며, 데카르트는 이성의 가능성을 찾음으로써 훗날 휴머니즘 논의를 가능하게 했다. 칸트는 그런 이성의 한계를 논하면서도 인간이 누릴 수 있는 자유를 확신했다. 마르크스는 당시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고자 노력했다. 사르트르는 인간 스스로가 삶의 목적을 찾아가면 된다고 독려했다. 각각의 철학 이론은, 플라톤, 데카르트, 칸트 등이 직접 등장하여 독자에게 말을 하듯이 설명된다. 플라톤은 삼각형은 아닌데 삼각형처럼 보이는 까닭을 설명하면서 ‘이데아’가 무엇인지 알려 준다. 데카르트는 1 더하기 1이 어쩌면 3일 수도 있다면서 의심하고 또 의심하면, 결국 ‘생각하는 나’라는 사실만이 유일하게 믿을 수 있는 것임을 주장한다. 칸트눈 만원 버스에서 할머니께 자리를 양보하고 나서 자신이 왜 그렇게 행동했는지 설명하면서 인간의 ‘자유’란 어떤 것인지 설명한다. 마르크스는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는 자신의 모습을 보여 주고, 일을 하는 것이 힘들고 재미가 없는 이유가 곧 ‘노동의 소외’ 현상임을 가르쳐 준다. 사르트르는 사람이 왜 태어났는지를 연필의 경우와 비교하며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가 무슨 뜻인지 알려 준다.
그림으로 이해하는 힘을 키우는 철학책
저자 우에무라 미츠오는 철학을 글자로만 설명해야 한다는 고정관념을 깼다. 일러스트레이터였던 자신의 그림 솜씨를 살려서 근엄할 것만 같은 철학자들을 친근하고 귀여운 캐릭터로 변모시켰다. 철학자들은 막대기로 바닥에 삼각형을 그리고, 칠판에 판서를 하고, 버스에서 할머니께 자리를 양보하고, 편의점에서 아르바이트를 하고, 커다란 연필 밑에 깔리기도 한다. 이렇게 편안하고 유쾌한 그림을 감상하다 보면 어느새 철학 이론의 핵심을 이해하게 된다는 점이 이 책의 큰 미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