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plunk 입문자를 위한 기초부터 고급 활용 방안
◆ 기업 보안 담당자에게 필요한 시큐리티 모니터링의 주요 관점
◆ 네트워크, 엔드포인트 계층별 시큐리티 모니터링 기법
◆ 계층별 로그 특성 및 정보보안 관점의 분석 기법
◆ SIEM(Security Information & Event Management)의 개념 및 운영
◆ Splunk를 활용한 SIEM 설계 및 구축
◆ Splunk 대시보드 스튜디오 활용
◈ 이 책의 대상 독자 ◈
◆ 시큐리티 모니터링을 이해하고 기초를 쌓고 싶은 학생, 직장인
◆ Spunk를 처음 접하거나 관리 지식을 얻고 싶은 학생, 직장인
◆ Splunk를 정보보안 분야에 활용하고 싶은 보안 담당자
◆ Splunk를 활용해서 정보보호 업무를 개선하거나 성과를 얻고자 하는 보안 담당자
◆ Splunk로 자사 전용 앱을 구축하고 실무에 적용하고자 하는 보안 담당자
Splunk 활용 방안을 고민하는 사용자나 Splunk를 이용해서 정보보호 업무를 수행하려는 보안 담당자를 위한 내용을 담고 있는 책으로, 총 2부 10장으로 구성됐다. 1부는 Splunk의 기본 사항을 다루고 2부에서는 Splunk를 활용한 실제 SIEM 구축 과정을 설명한다. 각 장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 ‘Splunk 소개’에서는 Splunk 소개와 정보보호 분야의 공격자 동향을 소개한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어 모델인 사이버 킬체인과 MITRE ATT&CK을 알아본다.
2장. ‘검색’에서는 Splunk 검색 및 검색 명령을 살펴본다. 매우 방대한 Splunk 검색 명령어에서 보안 장비 로그 검색에 주로 사용하는 명령어 위주로 소개한다.
3장. ‘Splunk 지식 관리’에서는 Splunk 검색 명령어 결과에 의미를 부여하는 Splunk 지식 객체를 설명한다. 설명하는 지식 객체는 이벤트 타입(Event Type), 태그, 룩업(lookup), 워크플로와 검색 매크로다. 이런 지식 객체를 사용해 검색 결과 및 성능을 개선할 수 있다.
4장. ‘보고서와 대시보드’에서는 Splunk의 리포트와 대시보드 기능을 소개하고 각각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리포트는 검색어를 저장하는 방법과 동일한 효과를 가지며, 향후 재사용이 가능한 방법이다. 리포트를 사용해서 대시보드를 구축하는 다양한 방법도 설명한다.
5장. ‘SIEM이란?’에서는 SIEM(Security Information & Event Management)을 설명한다. 또 SIEM을 활용한 로그 수집 전략과 경고 생성 등 SIEM의 핵심 항목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SIEM을 구축하는 전략을 살펴본다.
6장. ‘로그 수집’에서는 Splunk에서 로그 분석을 위해서 로그를 수집하는 방법과 전략을 살펴본다. 수집 대상 로그는 네트워크 계층 로그와 엔드포인트 계층인 윈도우C P 로그 수집 방법도 알아본다.
7장. ‘네트워크 로그 분석’에서는 네트워크 계층 로그에서 이상징후를 추출하는 분석기법을 살펴본다. 그리고 예제로 살펴보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DNS, HTTP, SSL 등 네트워크에서 사용량이 많은 프로토콜 위주로 이상징후를 탐지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8장. ‘엔드포인트 로그 분석’에서는 엔드포인트 계층 로그에서 이상징후를 추출하는 분석기법을 알아본다. 또한 예제 로그인 윈도우 PC에서 발생하는 이상징후를 정의하고 이를 탐지하는 방법을 살펴본다.
9장. ‘SIEM 구축하기’에서는 Splunk에서 SIEM 앱(app, application)을 구축한다. 앱 설계, 메뉴 구성, 패널 시각화를 소개하고 대시보드를 구축해서 SIEM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Splunk 본연의 기능인 검색을 대시보드로 표현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인다.
10장. ‘SIEM 운영 강화’에서는 구축한 SIEM 앱에 경고, 드릴다운(drill down)과 같은 사용자 편의 기능을 추가해서 사용성을 높이는 방안을 설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