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 〈아버지의 깃발〉은 깊은 산골에서 사냥을 하며 생활하던 순진한 청년이 호랑이 출몰을 인연으로 조선 총독부 2인자를 만나 이름도 〈일본고유종인 삼나무가 되어 태양을 향해 곧게 뻗으라〉는 의미의 스기야마 나오키(杉山直樹)로 고치고 평소 동경하던 일본 순사가 되지만, 만주에서 생활하는 동안 정체성에 눈을 뜨면서 겪는 내적 갈등과 마침내 독립군으로 변모하는 과정, 만주에서 블라디보스토크에 이르는 모험과 스릴, 불타는 애국심을 그리고 있다. 또한, 주인공 개동이의 아버지를 통해 동학농민혁명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갑오 농민혁명전쟁의 최후 결전장, 홍천 자작고개전투의 모습을 실증 자료를 바탕으로 그들의 영웅적 활동과 순국을 매우 사실적으로 표현했다.
주인공 개동이 〈일본명 스기야마 나오키(杉山直樹)〉의 아버지는 동학농민혁명군으로 백성이 주인이 되는 새 세상을 꿈꾸며 은밀하게 활동한다. 개동이는 어려서는 그런 아버지를 잘 알지 못했고, 우연한 기회에 아버지의 창고에서 동학농민군의 꿈이 깃든 깃발을 발견하고는 충격을 받는다. 일본 제국주의 형사(순사)가 돼 있는 자신의 처지를 생각하며 진정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고민하며 서서히 변해 간다. 일제의 악행과 중국 여러 지역에 흩어져 힘들게 살아가는 동포들 처참한 삶, 그리고 독립군의 활약상을 목도하면서 독립군 부대원의 일원으로 참여하게 된다.
소설은 근본적으로 허구를 바탕으로 하지만 한편으론 당대의 시대상을 반영한다. 가슴 뛰게 만드는 독립군들의 활동과 저항정신, 동포애 등이 장기간에 걸친 작가의 자료조사 덕분인 듯 사실성 있게 펼쳐진다. 항일투쟁을 하는 독립군들의 삶과 행적을 정밀한 취재와 상상력을 통해 카메라를 들이대듯 쫓아가며 세밀하게 복원한다.
작가는 이 소설을 통해 오늘의 우리를 있게 한 독립지사들의 애국애족 정신 함양뿐만 아니라 현재 우리의 문제를 에둘러 이야기하고 있다. 힘이 없어 나라를 잃은 게 지난 일이지만 그것은 단순히 과거가 아니고 현재이며 미래일 수 있음을 이야기하고 싶은 것이다. 그래서 작가는 소설 첫 부분 ‘액자 시(詩)’에서 ‘어떻게 되찾은 나라인가. 강토는 강탈당했으나 얼은 도도히 살아 있음에 허기지고 외롭고 두려운 곳에서도 상상에서 신념으로 투쟁으로 임들 계셨기에 오늘이 있지 아니한가.’라고 일갈한다.
일제강점기는 우리 근현대사의 질곡이며 비극이다. 불우했던 시대의 한계를 조금이라도 이해한다면 나름의 방식으로 삶을 살다 간 주인공 개동이에 대해 우리는 충분히 감동과 연민을 느끼게 될 것이다. 어렵고 고통스러운 일제의 탄압 속에서도 사랑은 피어나고 운명처럼 휘말린 이념과 인간적인 고뇌, 조국 독립이라는 큰 목표를 향해 달려간다. 〈아버지의 깃발〉은 전투와 음모, 일제의 잔악무도함을 고발하는 소설이기도 하다.
마침내 소설을 손에서 내려놓는 순간 우리는 한 사람의 애국자, 아니 한 사람의 신(新)독립군으로 다시 태어나게 될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