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문호 톨스토이는 위대한 작가이자 사상가일 뿐만 아니라 교육자로서도 유명하다. 그는 1859년 자신의 고향인 야스나야 폴랴나에 농민의 아이들을 위한 학교를 세우고 교육활동에 전념했다. 당시 농민의 아이들은 부모와 같이 노동을 하는 게 전부였으나 톨스토이는 이들에게 참된 삶을 일깨워주고자 교육을 시키기로 결심하고 이들을 위해 교과서를 썼는데, 이 책들은 처음에는 「아즈부카」로 이후에는 「새로운 아즈부카」로 개작되었다가 그중 읽기 파트만 따로 떼어내어 최종적으로 「러시아 독본」이라는 제목으로 출판되었다.
총 네 권으로 이루어진 「러시아 독본」에는 새로이 창작된 작품은 상대적으로 적다. 대부분은 러시아, 인도, 아랍, 페르시아, 터키, 독일의 설화나 이솝 우화를 자유롭게 각색한 것이고, 다른 작품들도 새롭게 개작하였다.
톨스토이가 기존의 이야기를 선택하거나 자신의 이야기를 쓸 때 언제나 염두에 두었던 원칙은 바로 스토리는 단순하되 흥미로워야 하고, 이야기를 통해 교훈과 깨우침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 책의 또 다른 특징은 톨스토이가 고대 그리스 문학 작품과 여러 민족들에게서 구전되던 시가를 주로 활용하였다는 점이다(톨스토이는 이를 위해 특별히 그리스어를 배워서 고대 그리스 작품을 원어로 읽었을 정도였다). 몇몇 이야기들은 야스나야 뽈랴나 학교 학생들이 썼던 글들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톨스토이는 「누가 누구에게 글을 배워야 할 것인가, 농민의 아이들이 우리에게 배워야 하는가, 우리가 농민의 아이들에게 배워야 하는가」라는 논문에서 이에 대해 탄복하며 언급한 바 있다.
톨스토이는 1872년 「아즈부카」를 출판하면서 자신이 여러 가지 이야기를 차용해서 썼다는 사실을 밝힌 바 있다. 몇몇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의 작품에는 원작의 출처가 명시되어 있었으며, 톨스토이가 쓴 작품과 원작을 대조해 보면 원작 스토리의 큰 틀을 가져오긴 했지만, 언제나 자신만의 이야기, 자신만의 우화, 자신만의 실화, 자신만의 설화, 자신만의 서사시를 창조해 냈다는 것을 어렵지 않게 확인할 수 있다. 톨스토이는 「아즈부카」에 수록되었던 작품을 「러시아 독본」에 실으면서 작품들의 장르만 명시하고 다른 원작을 차용하였다는 사실을 전혀 언급하지 않은 것은 바로 그러한 이유 때문이다.
「러시아 독본」은 다양한 작품들을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놀랍게도 전체적으로 특유의 통일된 스타일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아이들이 읽을 수 있는 이야기를 쓴다는 것은 사실 대문호인 톨스토이에게도 새로운 문체를 습득해야만 하는 어려운 과제였다. 이는 모든 예술적 요소들 속에 톨스토이가 민중의 시와 민중의 삶 속에서 얻어낸 특징을 담아내는 방대한 실험이었다. 그 특징은 "명확하고 분명하며 아름답고 온화한" 것으로 톨스토이는 그것을 이제 예술 전반에 반드시 필요한 특징으로 여기기 시작했다.
톨스토이는 70년대 초 자신이 품고 있던 꿈, 즉, "고대 그리스 로마 문학처럼, 그리스 예술처럼 군더더기 없는 순수하고 우아한 작품"을 창조하고자 하는 꿈을 어린이를 위한 책 속에 실현시켰다.
어린이 책을 쓰는 과정에서 톨스토이는 작품에 대한 섬세하고 엄격한 그 특유의 작가적 성향을 보여, 말 그대로 단어 하나하나를 선택할 때마다 신중하게 고민하고 이리저리 재보며 꼼꼼하고 치밀하게 써 나갔다.
1876년 「러시아 독본」에 실린 작품들에 대해 높이 평가한 예브게니 블라지미로비치 리보프 공작의 편지를 받고 톨스토이는 답장을 통해 그 이야기들은 “전에 써 놓았던 20배나 많은 이야기들 중에서 엄선되었으며, 작품들 하나하나는 열 번씩이나 되는 수정 작업을 거쳤으며, 자신의 작품들 중 그 어느 작품보다도 가장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고 했다. 톨스토이는 작업을 하면서 가장 어려웠던 부분은 ‘간결하고, 명확하며, 그 어떤 거짓이나 군더더기가 없도록" 쓰는 것이었다고 토로했다. 톨스토이는 편지에서 강한 자부심을 가지고 “나는 민중과 민중의 아이들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그들과 어떻게 대화해야 하는지 알고 있다. 나는 그것을 사랑과 노력을 기울여 얻을 수 있었다.”라고 했다.
이번 「러시아 독본」(하)에 수록된 「카프카스의 포로」는 1872년 「여명」이라는 잡지에 실렸던 작품으로, 어른을 위한 이야기를 쓰기 위한 방법과 언어를 시범해보는 사례로 간주했고, 「러시아 독본」에 실린 작품 중 가장 널리 알려진 작품이다. 또한 “신은 진실을 알지만, 바로 말해주지 않는다”와 같은 유명한 작품들도 수록되어 있다.
「아즈부카」에 실린 작품들을 통해 다듬어진 예술적 원칙("모든 것이 아름답고, 간결하고, 단순하며, 무엇보다 명확해야 한다는")은 의심할 여지없이 「안나 카레니나」나 이후 톨스토이의 작품 활동 후기에 쓰여진 미완성 역사 소설과 기타 다른 작품들의 문체에도 영향을 미쳤다. 빠르게 전개되면서 극적인 스토리를 보여주는 「전쟁과 평화」에 비해 더 방대하고 단순하며 명확하고 간결한 언어 구사와 같이 「안나 카레니나」와 「부활」에서 나타나는 주요 특징들을 살펴보면 작가가 70년대 초 농민의 아이들을 위한 단편을 쓰면서 연구했던 문학적 요소들을 명확히 찾아볼 수 있다. 톨스토이는 「예술이란 무엇인가?」라는 논문을 통해 창조적 여정의 종착점에서 심미적 원칙들을 천명했고, 이는 블라지미르 바실리예비치 스타소프가 언급한 바와 같이 「아즈부카」에 수록된 작품들에 상당 부분 이미 구현되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