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기획하고 만든 지난 반 년 간 두 가지 생각의 변화가 있었습니다.
첫 번째는 “장애아동들을 위해 특별한 놀이터를 만들어야 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가졌던 것입니다. 그러나 장애 유무와는 관계없이 아이들이 좋아하는 행동은 비슷합니다. 누구나 높이 오르고, 마음껏 뛰고, 숨는 것을 좋아합니다. 저희가 2021년 12월 진행했던 〈Play for All:모두를 위한 놀이〉 전시에서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상호작용 측면에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발달장애를 가진 아이들이 노는 모습은 전혀 다르지 않았습니다. 우리 아이들이 마주할 세상은 모두가 함께 살아가는 곳입니다. 그렇기에 장애아동의 부모님들은 장애 유무와 관계없이 누구나 어울릴 수 있는 놀이공간이 만들어지길 바랐습니다. 따라서 모두가 함께하는 놀이공간을 지향해야 합니다. 특히 공간 기획 단계부터 장애를 가진 아이들도 놀이터에 온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디자인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지체장애를 가진 아이도 놀이대에 올라갈 수 있고, 발달장애 아이들도 규칙과 관계없이 마음껏 뛰놀 수 있다는 여러 시나리오를 생각하여 디자인해야 합니다. 이렇게 디자인한 놀이공간은 분명히 비장애아동들도 더 즐겁게 어우러질 수 있는 공간이 될 것입니다.
두 번째로 제가 처음에 만난 인터뷰이들에게 자주 묻던 말이 있었습니다. “좋은 놀이는 무엇인가요?” 이렇게 물으면 무언가 가시적으로 도움이 되는 것들을 머릿속에 생각합니다. 아이의 성장에 도움이 되고, 아이의 정서 발달에 도움이 되는 목적의식을 갖는 놀이를 만들려고 합니다. 그러나 그건 놀이가 아니라 학습이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질문의 방향을 바꾸게 되었습니다. “진짜 놀이는 무엇인가요?”, “장애 유무를 떠나서 진짜 우리 아이들이 행복한 놀이는 무엇인가요?”
이번 책은 위 두 가지 질문에 대한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입니다. 초반에 책의 초점을 장애아동과 부모님들에게 주로 맞추었지만, 놀이에 대해 연구하고 알아갈수록 현시대 모든 아이들에게 ‘진짜 놀이’를 돌려주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아이들이 행복한 놀이공간을 어떻게 만들어갈 수 있을지 관계자분들과 추가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습니다. 놀이는 아이들의 기본 권리로 장애 유무 등 신체적 능력과 관계없이 공평하게 제공되어야 합니다. 우리의 시도가 이를 위한 자그마한 불씨가 되길 진심으로 바랍니다.
발행인 김병수
[출간 호 안내]
MSV 소셜임팩트 시리즈 01 이동Mobility - 교통약자 이동과 공공 디자인
창간호 〈이동〉은 이동에 제약을 경험하고 있는 사람들에게서 받은 인사이트와 인터뷰 그리고 교통약자의 이동 접근성 향상을 위한 흥미로운 해외 사례들을 모아 놓았습니다. 초고령화 사회의 도래와 국내 교통약자가 전체 인구의 사분의 일인 이 시점에 우리 모두가 준비해 나가야 할 제품, 공간, 서비스를 모색합니다.
MSV 소셜임팩트 시리즈 02 직업Job - 직업의 장벽을 넘어서는 사람들
2호 〈직업〉은 장애를 가지고 있으면서 각자의 자리에서 역량을 발휘해 나가고 있는 분들을 만납니다. 현재의 직업에서 자신만의 프로페셔널한 노하우와 관점을 나눔으로써 포용력 있는 사회를 만들어가기 위한 흥미로운 인사이트를 전달합니다. 또한 포용적인 업무환경을 위한 다양한 해외 사례를 소개합니다.
MSV 소셜임팩트 시리즈 03 놀이Play - 모두를 위한 놀이와 놀이공간 디자인
놀이는 아이들의 기본 권리로 장애 유무 등 신체적 능력과 관계없이 공평하게 제공 되어야 합니다. 〈놀이〉호에서는 장애를 가지고 있는 아이들과, 비장애 아이들의 통합적인 놀이, 놀이공간 등 우리 아이들의 놀이권에 대한 평등과, 건강한 놀이를 실현할 수 있는 아이디어들을 모색합니다.
MSV 소셜임팩트 시리즈 04 안전Safety - 생활안전부터 재난까지 안전을 위한 디자인
4호 〈안전〉에서는 생활 속에서 경험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서부터 총기 사고, 위생, 전쟁 등 일상적으로 겪기 어려운 재난 상황에서의 안전을 다룹니다. 이를 통해 안전에 대한 사고의 확장과 디자인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깊이 있게 고민해 보는 계기가 되길 기대합니다.
MSV 소셜임팩트 시리즈 05 시니어Senior - 시니어 세대의 디지털 접근성과 포용적인 디자인
5호 〈시니어〉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고연령층이 맞닥뜨리게 되는 여러 사회문제와 이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는 포용적인 디자인, 그리고 공간에 대해 다룹니다. 이를 통해 초고령화 사회를 앞둔 한국 사회가 더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는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