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의 웃음 다발’이라는 뜻의 《고금소총(古今笑叢)》은 현묵자 홍만종(洪萬宗)이 우리나라의 소화(笑話, 우스운 이야기) 가운데서 가장 우스운 것들을 모아 엮은 책이다. 많은 이야기가 남녀 간의 성(性)을 다루며 웃음을 자아내는 음담패설이다. 조선 시대 문헌에서는 드물게 수위가 높은 외설담을 내용으로 하기에 많은 사람들의 주목을 받아 왔다. 같은 제목의 번역서가 여러 차례 소개됐으며 내용과는 다소 거리가 있지만 영화와 드라마로 제작되기도 했다.
그러나 지금까지 홍만종의 정신을 제대로 반영한 책은 없었다. 우리에게 《고금소총》이 왜곡된 모습으로 알려져 왔던 가장 큰 이유는 ‘고금소총’이라는 말이 ‘고금(古今)의 소총(笑叢)’쯤으로 인식·사용되면서 홍만종이 직접 편집한 원본과 거리가 멀어졌기 때문이다. 홍만종은 그저 우스운 이야기를 수집한 것이 아니라 자신의 소화관에 맞는 이론적 바탕을 구축하고 그에 맞는 이야기들을 골라 《고금소총》을 편집했다.
이 책은 홍만종이 직접 편집한 일사본 《고금소총》(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을 저본으로 했다. 강희맹의 《촌담해이(村談解頤)》, 송세림의 《어면순(禦眠楯)》, 성여학의 《속어면순(續禦眠楯)》에서 58편의 소화를 뽑은 원본 《고금소총》이다. 그간의 번역서에 아쉬운 마음을 가졌던 독자라면 이제 원작의 모습을 살린 이 책의 일독을 권한다. 한시 일색인 우리나라의 전통문학 풍조 속에서 통속문학의 영역을 확장해 나갔던 홍만종의 작가 정신을 만날 수 있을 것이다.
* 홍만종의 소화(笑話)에 대해 더 알고 싶으신 분은 아래의 책을 함께 읽어 보시면 좋습니다.
《속고금소총(續古今笑叢)》(홍만종 엮음, 정용수 옮김, 지만지한국문학, 2024)
《명엽지해(蓂葉志諧)》(홍만종 엮음, 정용수 옮김, 지만지한국문학,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