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 군승제도 연구

한국 군승제도 연구

  • 함현준
  • |
  • 운주사
  • |
  • 2024-10-01 출간
  • |
  • 252페이지
  • |
  • 152 X 224mm
  • |
  • ISBN 9788957468500
판매가

22,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1.
한국의 군승제도는 군사적으로나 종교적으로 대단히 특별한 사례이며 호국불교를 중요한 특징과 전통으로 여기고 있는 한국불교사에 있어서도 주목할 만한 제도이다.
이 책은 군대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서 활동하고 있는 군승들의 정체성과 그 한계는 무엇이며, 군불교와 한국불교의 성장을 위해 군승제도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는 등, 한국의 군승제도 전반에 대해 역사적이고 총체적으로 조명한 연구이다.
군승제도를 종교적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과 군사적 관점에서 판단하는 것은 그 입장과 논의에 있어 차이가 클 것이다. 따라서 한국 군승제도의 특수성과 보편성을 논의하기 위해서는 그 사상의 흐름과 시대적 대응을 면밀하게 검토하고 분석해야 한다.
평화와 공존을 강조하는 불교와 전쟁을 목적으로 하는 군대, 불살생계(不殺生戒)를 지켜야 하는 승려의 삶과 명령에 따라 움직여야 하는 장교는 상반되는 개념일 수 있으나 한국의 군승제도는 이 둘의 장단점을 융합하여 상호 성장, 발전시켜 나가기 위한 중요한 기능과 역할을 해왔다.

2.
이 책에서는 대승불교의 교리적 기반과 군승들의 실제 활동 사이에 존재하는 교리적 정합성(Doctrinal Coherence)에 주목한다. 이는 군 불교활동이 대승불교의 핵심 사상을 현대적 맥락에서 구현하는 방식으로 해석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보살도의 실천과 중생구제의 이상이 군 환경이라는 특수한 맥락 속에서 어떻게 적용되고 변용되는지를 분석하는 것은 중요한 연구 과제가 될 것이다.
대승불교의 전통을 받아들인 동아시아 불교사에서 승려가 종군하여 활동하거나 정치, 군사적인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한 승병의 활동 사례를 찾아보는 일은 그리 어렵지 않은 일이다. 그러나 현대적 의미에서의 군종제도 안에서 활동하고 있는 불교 군종활동에 관련된 연구는 아직 미진한 상태이며, 승려와 현역 군인의 신분을 동시에 가지고 군에서 활동하고 있는 한국 군승제도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과 그 활동에 관한 연구는 본 연구가 거의 처음이라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현재의 한국 군승제도가 한국불교사에서 보이는 승군활동과 전혀 관련이 없다고 할 수는 없겠으나 역사적 전통에서 드러나는 승군, 혹은 승병들의 활동과 현재의 군승제도는 그 맥락과 정체성을 달리하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군승제도의 역사와 현황, 그리고 향후 발전 방향을 종합적으로 고찰해 보는 데 있다. 즉 군불교가 갖는 특수성과 보편성, 군승제도의 의미와 한계를 고찰하고, 군승제도의 발전과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군승활동의 역사와 전통을 살펴보기 위하여 대승불교의 흥기와 군승제도의 관계를 고찰하여 역사 속 승군활동 사례를 분석하고 그 영향으로 대두되는 호국불교 이념과 전통을 조명한다. 그 결과 군승제도는 현대사회에서 대승불교의 이상을 창조적으로 계승하고 실천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평가될 수 있다고 결론짓는다.

3.
이처럼 군승제도는 대승불교의 보살정신, 자리이타, 중생구제, 원융무애, 화쟁 등의 사상을 군대라는 현실세계에서 구현하는 독특한 제도다. 이는 불교가 단순히 개인의 해탈만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와 국가의 고통에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참여하는 종교임을 보여주고 있다. 아울러 군승제도는 불교의 자비정신과 현실세계의 갈등 사이에서 발생하는 윤리적 딜레마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성찰을 요구한다. 이는 불교가 현대사회에서 직면하는 다양한 도전들과 어떻게 대화하고 타협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더 넓은 논의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 담아내고자 한 ‘군승제도에 관한 연구’는 단순히 역사적, 제도적 차원을 넘어, 현대사회에서 불교의 역할과 의미를 재고하는 중요한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머리말ㆍ5

1장 한국 군승제도 연구를 시작하며 13

2장 대승불교 사상과 군승제도 23
1. 군승제도의 사상적 기반과 교리적 근거ㆍ23
2. 대승불교 전통과 군승활동ㆍ28

3장 호국불교의 전통 37
1. 호국불교의 전통ㆍ37
2. 호국불교의 경전적 근거ㆍ41
3. 승군(僧軍)의 역사적 사례ㆍ45
4. 최초의 군승 원광 법사ㆍ50

4장 군승제도의 태동과 성장 57
1. 군종제도의 탄생과 불교계의 활동ㆍ57
2. 베트남전 참전과 군승제도의 태동ㆍ67
3. 군승제도의 정착ㆍ73
4. 군종특별교구의 설립ㆍ80

5장 군승의 역할과 기능 85
1. 군승의 정체성과 계율관ㆍ85
1) 군종장교의 임무ㆍ85
2) 군승의 계율관ㆍ88
2. 군승의 임무와 역할ㆍ100
3. 군승의 선발과 교육ㆍ106
4. 군승활동의 한계와 극복 과제ㆍ112

6장 군불교의 특수성과 보편성 117
1. 군사찰 의식의 특징적 요소ㆍ117
2. 일반사찰과 군사찰의 기능적 차이ㆍ125
3. 군승의 해외 파병ㆍ129
1) 베트남전 파병과 군승활동ㆍ129
2) 이라크전 파병과 군승활동ㆍ133
3) UN 평화유지군 파병과 군승활동ㆍ137
4. 비구니 군승의 활동과 의미ㆍ146

7장 군승활동과 포교성과의 관계 153
1. 군불교의 현황 분석ㆍ153
2. 군승활동과 군불교의 관계ㆍ157
3. 다종교 상황하의 군승활동ㆍ165
4. 군승제도 밖의 군불교ㆍ168

8장 군승제도 발전 방안 173
1. 군승제도 개선의 필요성ㆍ173
2. 군종장교 파송 관련 법제 검토ㆍ177
3. 군승제도의 개선 방향ㆍ184
1) 군승 문호개방ㆍ184
2) 군종교구의 확대 개편ㆍ186
3) 군승 교육시스템의 재정립ㆍ188
4) 군승제도의 민간화ㆍ194

9장 결 론 197

참고문헌ㆍ203
부록 1_군종업무에 관한 훈령ㆍ209
부록 2_군종장교 등의 선발에 관한 규칙ㆍ223
부록 3_군 종교활동지원 민간성직자 관리훈령ㆍ231
부록 4_군승의식 설문조사 결과ㆍ240
찾아보기ㆍ24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