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시나리오는 텍스트가 아니다"
스토리와 게임 시스템의 완벽한 조화, 최고의 스토리텔러가 되는 길
게임 시나리오를 대사 위주의 텍스트 작업이라고 생각했다면 큰 착각이다. 플레이어를 진정으로 몰입시키려면 스토리를 텍스트로 노출하지 않아도 플레이어가 세계관을 자연스럽게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많은 게임이 여전히 텍스트라는 가장 쉬운 방법에 의존하며 스토리텔링의 본질을 놓치고 있다.
저자는 이 책에서 게임 스토리란 단순히 텍스트로 읽히는 것이 아니라, 게임의 시스템과 유기적으로 연결되는 ‘경험’임을 강조한다. 그리고 스토리와 플레이의 완벽한 결합을 성공적으로 구현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러한 저자의 통찰을 가이드 삼아 몰입을 극대화하는 게임 시나리오를 기획해보자.
"사랑받는 스토리에는 성공 공식이 있다"
모든 게임 장르를 지배하는 스토리텔링 전략, 이 한 권으로 완성하라!
시나리오 작법은 단순한 ‘창작’이 아니라 체계적인 ‘이론’이다. 검증된 구조를 가진 스토리만이 성공에 한 걸음 더 가까워진다. 게임의 시나리오 작업이 다른 분야보다 더 까다로운 이유는 각 플랫폼과 장르마다 서로 다른 스토리 구조가 요구되기 때문이다. MMORPG와 VR/AR 게임의 스토리텔링이 특별한 이유 역시 이 구조적 차이에서 비롯된다. 이 차이에 완벽하게 대응하려면 ‘스토리 구조를 정확히 아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국내 최초 게임 컨설팅 회사를 운영 중인 저자는 다년간의 실무 경험을 바탕으로 3인칭, 중간적, 1인칭 관점을 체계적으로 정의하며, 각각의 관점에 해당하는 RPG와 AOS, MMORPG 그리고 VR/AR 게임별 스토리텔링 기술을 명쾌하게 설명한다. 이 책을 통해 스토리 구조를 깊이 이해한다면 어떤 게임 장르에서도 성공적인 스토리 기획이 가능해질 것이다.
| 이 책의 주요 내용 |
_게임 스토리텔링의 핵심 공식
_매혹적인 세계관과 캐릭터 설계 방법
_몰입을 높이는 대사와 보이스 작업 방식
_RPG, AOS, VR/AR 게임 장르별 스토리텔링 기술
_효과적인 네이밍 원칙
_실제 게임 시나리오 컨설팅 사례
_생성형 AI를 활용한 시나리오 작법
_컷신 제작을 위한 영화 연출 기법의 활용
| 이 책의 대상 독자 |
_게임 기획 직군에 취업을 희망하는 지망생
_플레이어가 게임에 더 몰입하게 만들고 싶은 현업 게임 시나리오 작가
_차세대 게임을 준비 중인 1인 게임 개발자
_게임 아트, 게임 서비스 기획자 등 게임 업계 종사자
_게임 시나리오에 관심이 있는 누구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