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는 우리 민족문학의 정수精髓로 천년 세월을 우리의 호흡 속에 살아 숨 쉬는 시가입니다. 고려말부터 불려왔으니 그동안 얼마나 다듬어져 왔겠습니까! 사람은 오고 가지만 당대의 삶을 음각해 낸 시조는 진실로 이 땅에 남긴 그들 혼의 필적입니다. 『광주 전남 시조문학사』의 발간을 계기로 時調가 우리 삶과 어떻게 긴밀함을 형성하며 노래되고 전승되어 왔는가를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주전남시조시인협회에서는 2024년 협회의 중대한 사업으로 『광주 전남 시조문학사』 발간을 기획하였습니다. 이 책이야말로 광주와 전남의 시조문학사를 온새미로 저술한 책자입니다. 시조의 문학적 가치를 재고하고 시조시인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일이야말로 우리 협회의 역할이기에 산적한 난제를 극복하며 진행하였습니다. 광주와 전남을 중심으로 활동하거나 출향하여 활동하는 시조시인의 자료는 우리 지역 시조단은 물론 한국시조단의 귀중한 문학사료입니다. 그러므로 치밀하게 우리 지역 시조문학 실상을 찾아 기록하고 문학자산인 시조작품을 한데 모으는 것은 이 지역 시조의 위상을 정립함은 물론이고, 세계적 문학 자산을 남겨 두는 일입니다. 또한 한국 현대시조문학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는 광주와 전남의 훌륭한 시인과 작품을 발굴하여 만천하에 드높이는 기록물이 될 것입니다.
『광주 전남 시조문학사』는 총3부로 구성하였습니다. 1부는 광주와 전남의 시조 발전 역사를 써 온 시조 단체 중심의 시조사와 광주에서 태동한 시조전문지의 역사를 약술했습니다. 시조 단체 중심 시조사 집필자는 윤삼현, 오종문, 서연정, 유춘홍, 유헌, 백학근 선생이며 《겨레시조》, 《한국동시조》, 《열린시조》 등 광주를 모태로 태동한 시조전문지에 대해서는 김종, 박현덕 선생께서 집필해 주셨습니다. 1부를 통해서 광주와 전남 시조단체의 줄기가 그 모습을 드러냅니다. 2부에서는 광주와 전남의 시인과 작품을 함께 들여다볼 수 있습니다. 이 부분은 다음 단락에서 좀 더 말씀드리겠습니다. 3부는 『광주전남시조문학사』를 발간하는 광주전남시조시인협회의 연혁을 실었습니다. 광주전남시조시인협회는 2002년 창립하였으며 명실상부 광주와 전남 지역을 대표하는 단체입니다. 시조시인들의 면면을 살펴보면 치열한 문학적 진정성으로 우리나라 시조단을 건강하게 견인하고 입지를 굳건히 다지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 책의 2부에 대하여 다시 말씀드리자면, 시기적으로는 1920년대부터 2000년대를 망라하였습니다. 이 방대한 작업을 맡아 주신 노창수 선생은, 세밀한 자료 수집과 작가에 대한 애정을 기본적으로 가지고 있으며 허언을 배척하고 철저히 눈과 손으로 집필하는 분입니다. 집필기간, 집필료 어느 것 하나 충족되지 않는 조건임에도 시조를 아끼는 충정에서 집필을 수락하고 그 수락에 책임지기 위하여 어느 틈서리에 있는지 모르는 시인과 작품을 찾아내기 위해 불철주야 노심초사하셨습니다. 광주전남시조시인협회에서 전한 시인의 자료는 100여 명 정도였음에도 400명에 가까운 시인의 이름이 등장하고 작품과 작품평에 거론되는 시인 수가 213명에 이릅니다. 이처럼 방대한 작가와 작품 자료들을 피땀으로 기록해 주신 데 대하여 감사할 따름입니다.
저마다 맡은 분야에서 노력했습니다만, 기일의 촉박으로 체제가 치밀하지 못하거나 누락이 있을 수 있고 표현의 정확도가 떨어진 부분도 있을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하여 송구스럽게 생각하며 질정이 있다면 차후 개정, 증보판을 대비하여 잘 정리하고 그것을 다음 집행부에 넘기겠습니다.
송선영, 전원범, 김종, 노창수, 이한성, 문주환, 백학근, 윤삼현, 유춘홍, 유헌, 김강호, 박정호, 박현덕 선생의 자문과 협조, 정경화 본회 이사의 정리, 임성규 사무국장의 봉사 등 부족한 회장을 도와주신 많은 분들이 계셨기에 『광주 전남 시조문학사』 발간이 순조롭게 진행되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 지역 시조의 실상을 밝히고 위상을 높이려는 치열한 책임감으로 유난히도 무더운 올여름을 더욱 뜨겁게 보내신 여러분께 감사인사를 올립니다. 이 책자가 남아 있는 한, 아니 그 이후에라도 많은 사람들은 이를 기억할 것입니다. 발간의 발판을 지원해준 광주광역시, 기꺼이 자료를 보내주신 김연동 선생, 번거로운 과정을 싫은 내색 없이 도와주신 시와사람사에도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광주 전남 시조문학사』가 한국 현대시조문학사에서 광주와 전남 시조문학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데 이바지하고 우리나라 시조문학 연구에 유용한 기록이 되기를 바라마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