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 현장과 강단을 오가며
공연 프로덕션의 생생한 경험과 노하우를 담아낸
기획자를 위한 공연예술 제작 지침서
오랜 시간 공연예술 현장에 몸담으면서 저술, 자문뿐 아니라 ‘공연 기획 및 제작’, ‘문화예술 홍보 기획’, ‘예술경영’ 등을 주제로 강의해온 저자 임정은이 공연예술 현장에서 프로덕션을 중심으로 벌어지는 일련의 과정과 실제적인 노하우를 한 권에 담았다.
성공하는 공연에 반드시 존재하는
프로덕션의 필요충분조건
예술과 기술이라는 무형의 재료로 시작해 ‘공연’이라는 유형의 결과물이 탄생하는 과정은 전혀 순탄하지 않다. 프로덕션의 모든 요소와 단계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기에, 성공적인 공연은 소수의 예술적인 기량이나 일부의 독특한 제작 방식만으로 결코 이뤄질 수 없다. 저자가 이 책을 쓴 가장 큰 이유 중 하나이다.
작품 개발, 공연 기획 등 프리 프로덕션부터 파트별 제작 과정, 홍보·마케팅, 리허설, 본공연을 실행하는 프로덕션과 공연 종료 후 평가와 후속 조치를 포함하는 포스트 프로덕션에 이르는 각 단계와 과정에 대한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저자는 공연 장르 및 사례로 오페라를 택했다. 음악과 극이 결합된 종합예술인 오페라처럼 규모, 단계, 변수가 다양한 장르가 드물고, 작품 면에서도 고전뿐 아니라 동시대 창작 작품을 개발, 제작하는 과정까지 살필 수 있기 때문이다.
공연예술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자료와 주요 제작 사례 수록
책에는 현장에서 고군분투를 시작한 공연 기획·제작자들이 수시로 참고할 수 있는 실제적인 내용이 가득하다. 기획 프로듀서의 관점에서 공연예술 프로덕션 흐름에 따라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안내서로 기능하면서 저자 고유의 정서와 언어로 현장의 생동감과 구체성을 녹여낸 것이 특징이다.
공연 기획 프로듀서라면 피할 수 없는 ‘자료조사 및 분석’, ‘컨셉 설정’, ‘예술가 섭외’, ‘프로덕션 내부 소통’ 등 주요 업무에 관한 구체적인 정보도 눈에 띈다. 여기에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다양한 자료를 수록해 공연예술 분야에 이제 막 입문한 이들이 실무에 참고할 수 있도록 제시했다. 또한 공연예술이 지닌 판타지 너머에서 벌어지는 일들이 궁금한 예비 지망생과 일반 관객들에게도 흥미롭게 다가오는 부분이 상당하다.
책의 말미에는 ‘공연예술의 지속가능성’을 주제로 국내와 해외의 다양한 사례를 소개했다. 더불어 성공적인 공연 제작 운영을 위해 필요한 역량을 제시하면서, 기획 프로듀서가 예술가들의 든든한 조력자이자, 팀워크와 협업을 이끄는 주도자, 대중과 예술을 연결하는 매개자로서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