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사학은 삼학(三學), 라틴어로 ‘트리비움(Trivium)’이라는 교육 방법론의 최종 단계에 해당하는 학문이다. 트리비움은 고대 그리스에서부터 중세 유럽에 이르기까지 교육의 핵심을 이룬 커리큘럼으로, 1단계에서는 문법(Grammar), 2단계에서는 논리(Logic), 그리고 최종 단계에서는 수사를 가르쳤다. 그만큼 서양에서는 수사학을 ‘학문의 어머니’라 부르며, 설득과 소통의 기초와도 같은 학문으로 대접하고 있다.
최근에는 수사학을 ‘생명 없는 화석 같은 고대 유물’이나 ‘내용은 없고 겉치레만 화려한 조작과 선동’ 쯤으로 여기기도 하지만, 언어와 문자에 생각과 느낌을 담아 논리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인간에게 호흡만큼이나 자연스러운 행위이기에, 말과 글의 학문이자 기술인 수사학을 연구하고 익히는 것은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매우 유의미하다.
≪한 권으로 배우는 수사학≫은 그 주제를 ‘고전 수사학의 요소들과 적용에 대한 기초 교육; 논증의 전략과 전술; 담론의 효과적인 제시와 조직; 말과 글에서 드러나는 힘과 품위, 적절한 표현들을 발전시키는 것; 수사학적 원칙의 역사’라는 다섯 부분으로 나눠 설명한다. 그래서 1장은 과거 2천년에 걸쳐 서양의 학교들에서 꽃을 피웠던 수사학 훈련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고, 이후 세 장은 수사학의 세 가지 요소를 전개하고 있다; 2장 “논증의 발견(Discovery of Arguements)”, 3장 “자료의 배열(Arrangement of Material)”, 4장 “양식(Style).”
또한 호머와 소크라테스, 제임스 매디슨(미국의 4대 대통령, 정치가), 헨리 데이비드 소로(미국의 작가) 등의 글처럼 수많은 고전과 현대 수사학의 사례에서, 때로는 단락을, 때로는 아티클 전체를 자세한 분석과 함께 인용하고 있는 이 책의 이번 4판에는, ‘프로김나스마타(progymnasmata, 고전 작문 연습, 원뜻은 ‘우리의 초등학교에 해당하는 로마의 교육과정’)’에 관한 새로운 내용과 대중잡지의 컬러 광고에 대한 수사학적 분석, 수사학의 역사에 대한 최신 조사 결과, 창의력과 수사학에 관한 내용이 추가되었다.
영어권에서 학생들을 위한 고급 작문수업과 전업 작가를 위한 글쓰기 고급 과정에서 널리 사용되는 이 책은, ‘논증(argument)과 자료 배열(arrangement), 양식(style)’이라는 고전 수사학의 세 가지 중요한 요소들에 관해 논의하며, 이 요소들에 생기를 불어넣고 과거와 현재의 글쓰기에서 이 요소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지 체계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독자 대상
1. 주제와 청중, 상황에 맞게 품격 있고 설득력 있는 메시지를 전하기 원하는 강사, 교사
2. 자신의 의도와 견해를 전하고 변론하는 데 적합하고 효과적인 글쓰기를 하기 원하는 작가, 번역가, 일반인
3. 트리비움(문법-논리-수사) 고전교육을 시행하고 있는 교육 관계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