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명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수명도 점점 더 늘어나는 중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2023년 기준 평균수명은 남성 약 81세, 여성 약 86세이며, 전체 평균 83세를 넘습니다. 하지만 건강수명은 남성이 약 71세이고, 여성도 약 75세로서, 전체 평균은 약 73세입니다. 즉, 한국인의 평균수명과 건강수명은 약 10년의 차이를 가지고 있습니다. 사망까지 약 10년 정도의 기간은 건강을 잃은 상태에서 삶을 유지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그러므로 ‘건강수명의 연장’은 개인의 희망을 넘어 지역사회와 국가가 해결해 가야 할 중대한 과제일 수밖에 없습니다.
건강수명을 연장하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물론 간단한 문제는 아닙니다. 당연히 여러 학문 분야에서 오랜기간 중점적으로 다루어져야할사항입니다. 예컨대 지난 2019년 말부터 전세계로 퍼진 코로나바이러스 때문에 건강을 향한 관심은 어느 때보다 높아졌습니다. 특히 일반인들에게 어렵게 느껴졌던 바이러스, 감염, 백신 및 면역과 관련된 용어가 꾸준히 보도됨으로써 ‘건강과 면역에 관한 관심’은 더욱 높아졌습니다. 수많은 과학적 연구결과가 면역력은 체력과 아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하고 있습니다. 실제로면역력(방위체력)은 체력의 한 영역이죠. 즉, 체력을 키우면 면역력을 증진할 수 있습니다.
본 교재는 ‘건강을 증진하고 이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개인마다 적절한 체력을 가져야 한다’는 주제를 견지합니다. 따라서체력을유지하고 보다좋게 만들기위한 운동의 역할과 그 방법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아울러 대학교에서 교양체육 교재로 활용한다는 관점에서 건강과 운동 관련 최신 연구 결과들도 내용에 포함했습니다. 운동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많은 주제를 다루고 세밀한 부분까지 담고 싶었으나, 한 학기에 마무리할 수 있는 정도의 분량과 교양 교과의 영역에서 이해될 수 있을 정도의 수준으로 한정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이를 위하여 우리 저자들은 대학 교양 체육 강의 경험을 토대로 ‘건강과 운동’과 관련된 최신 기준치와 안내 지침서에 대해 논의하였습니다. 그 결과, 11개의 단원으로 목차를 구성하였습니다. 각 단원을 기술하는 형식과 관련해서도, 먼저 주제를 간략히 소개하고, 그와 연관된 정의와 개념을 서술함으로써 각 단원에서 담고자 하는 내용을 더욱 명료화하였습니다. 또한 각 단원과 부합하는 최신 연구 결과를 내용에 수록하려 노력했습니다. 각 단원과 연관된 수많은 서적과 온라인 자료 중에서 중심이 되는 내용을 기술함으로써, 핵심적인 내용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울러 ‘웰빙을 위한 과학적 운동’이란 부제를 달았는데, 이는 유행하는 각종 건강 관련 과학적 운동 방법과 그 역할이 본 교재에서 담고 있는 내용과 맥을 같이 함을 드러내기 위해서입니다. 본 교재에서 담고 있는 핵심 내용을 이해한다면 건강 증진을 위한 다양한 운동 방법과 그역할에 대해서도어렵지 않게 이해할 것으로 기대합니다.
이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재 내용에 아쉬운 부분이 없진 않습니다. ‘건강과 운동’에 관련된 보다 다양한 주제를 담지 못한 아쉬움, 스포츠과학을 구성하는 여러 학문 분야를 더 포함하지 못한 아쉬움이 대표적입니다. 이는 향후 새롭게 개정될 건강 관련 기준과 안내 지침서와 함께 추후 보완하도록 하겠습니다. 이 교재가 ‘건강과 운동’에 관한 정보와 지식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2024년
저자 일동